10P by neo 3일전 | ★ favorite | 댓글과 토론
  • 발표자 Gergely Orosz는 Pragmatic Engineer 뉴스레터·팟캐스트 운영자이자 전직 Microsoft, Uber 엔지니어로, 현장에서 본 GenAI 도입 현실을 공유함
  • CEO·창업자들의 과장된 기대와 달리, 실제 개발자 경험은 도구의 한계와 생산성 편차로 인해 더 복잡한 양상을 보임
  • AI 개발 도구 스타트업·빅테크는 내부 사용률이 높고 투자도 활발하지만, 일부 스타트업과 특수 분야는 여전히 낮은 효용성을 보고 있음
  • 독립 개발자와 베테랑 엔지니어들은 최근 GenAI의 전환점을 체감하며, 코딩 생산성과 창의성 확장에 긍정적 반응을 보임
  • 켄트 벡은 LLM 도입을 인터넷·스마트폰급 패러다임 전환으로 평가하며, 새로운 시도와 실험을 강조함

발표자 소개

  • 게르게이 오로스(Gergely Orosz)
    • Pragmatic Engineer 뉴스레터·팟캐스트 운영
    • JP Morgan, Microsoft(Skype), Skyscanner, Uber 등에서 10년간 엔지니어 경력
    • 현재 GenAI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탐구

과장된 기대와 현실

  • Microsoft CEO: "AI가 전체 코드의 30% 작성"
  • Anthropic CEO: "1년 내 100% 코드가 AI로 생성"
  • Google의 Jeff Dean: "AI가 곧 주니어 개발자 수준에 도달"
  • 그러나 현실:
    • AI 에이전트가 버그를 만들어 수백 달러 비용 발생
    • Microsoft Build 시연에서 AI가 복잡한 코드 수정에 실패

AI 개발 도구 스타트업

  • Anthropic:
    • 내부 엔지니어 전원이 Cloud Code 사용
    • 코드의 90% 이상이 AI로 작성됨
    • MCP(Model Context Protocol) 도입 → IDE·DB·GitHub 등 연결 가능, 대규모 확산 중
  • Windsurf: 코드의 95%가 AI 작성
  • Cursor: 40~50% AI 작성, “절반은 잘 되고 절반은 한계”

빅테크 현황

  • Google:
    • 자체 IDE Cider에 AI 기능 내장 (자동완성·리뷰·코드 검색)
    • 최근 1년간 내부 도입 급속 확산
    • SRE 조직은 10배 더 많은 코드 라인 대비 인프라 강화 중
  • Amazon:
    • Amazon Q Developer Pro → AWS 관련 작업에 강력
    • Anthropic 모델(Claude)도 내부 문서 작성·평가 시즌에 적극 활용
    • MCP 서버를 광범위하게 통합 → 내부 툴 자동화 확산

스타트업과 개별 사례

  • Incident.io:
    • 팀 전체가 AI를 적극 실험하며 Slack에서 팁 공유
    • Cloud Code 도입 이후 사용률 급증
  • 바이오테크 스타트업:
    • 자체적으로 novel 코드 작성 필요성이 커서 LLM 효율성 낮음
    • 여전히 직접 코딩이 더 빠르다고 평가

독립 개발자 및 베테랑 엔지니어

  • Armin Ronacher (Flask 창시자): 에이전트를 가상 인턴처럼 활용, 생산성 증대 체감
  • Peter Steinberger (PSPDFKit 창업자): 언어 장벽이 낮아지고 “기술적 불꽃이 되살아났다”는 평가
  • Simon Willison (Django 공동 창시자): 최근 모델 개선으로 “AI 코딩 에이전트가 실용적 단계” 진입
  • Brigita (Thoughtworks): LLM은 스택 전체를 아우르는 새로운 추상화 도구
  • Kent Beck (TDD 창시자): “52년 경력 중 지금이 가장 즐겁다”, LLM을 인터넷·스마트폰급 혁신으로 평가

남은 질문들

  1. CEO·창업자가 엔지니어보다 더 열광하는가?
  2. 실제 AI 도구 사용률은 주간 기준 50% 수준, 아직 보편화는 아님
  3. 시간 절약 효과: DX 조사에 따르면 주간 3~5시간 절약 수준, 과장된 “10배 생산성”과 차이 큼
  4. 개인 단위에서는 효과가 큰데 조직 단위에서는 덜 효과적인가?

결론

  • LLM은 어셈블리 → 고급 언어 전환에 준하는 생산성 도약 가능성
  • 단, AI는 결정적(deterministic)이지 않고, 효율은 팀·분야별 편차 큼
  • 메시지: 지금은 실험하고 학습할 시기, “싸졌고 가능해진 것들을 적극 시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