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20시간전 | ★ favorite | 댓글 1개
  • 9핀 시리얼 커넥터를 DB9으로 잘못 부르는 일이 보편적임
  • 올바른 명칭은 DE9이며, 이는 D-sub 커넥터 표준에 근거함
  • DB9이라는 이름이 잘못 퍼져 표준처럼 쓰이게 된 배경이 있음
  • SparkFun은 정확성을 중시해 신제품에 DE9 명칭을 사용함
  • 올바른 명칭 사용이 기술적 지식 나눔과 배움의 기회가 됨

DE9 명칭의 혼동과 올바른 표기

많은 사람들이 9핀 D-sub 커넥터DB9으로 알고 있으나, 실제로는 DE9이 정확한 명칭임
DB9이라는 용어는 널리 쓰여 반복되어 왔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부정확한 표현임
이에 SparkFun은 새로운 DE9 커넥터 브레이크아웃 보드 출시와 함께, 정확한 명칭 사용의 필요성을 강조함

D-Subminiature 표준의 이해

D-sub 커넥터는 "D-subminiature" 또는 줄여서 D-sub계열에 속함
"D"는 외형이 D 모양인 금속 실드에서 나옴
각 커넥터의 형식명 규칙은 첫 글자가 D(형태), 두 번째 글자가 쉘(외관) 크기를, 숫자는 핀 개수를 의미함

D-sub 규격 주요 크기 예시:

  • DA: 15핀 쉘
  • DB: 25핀 쉘 (구형 병렬 프린터 포트에서 흔히 봄)
  • DC: 37핀 쉘
  • DD: 50핀 쉘
  • DE: 9핀 쉘

9핀 D-sub 커넥터의 정확한 명칭은 DE9
DB9이라는 용어는 D-sub 명명 규칙상 틀린 표현
B는 25핀용 대형 쉘을 뜻하고, E는 9핀용 소형 쉘을 뜻하나, 잘못된 DB9 용어가 관행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왜 모두 DB9이라고 부르게 되었는지

명칭 혼동은 IBM PC 초기 모델에서 시작됨
IBM PC는 원래 DB25 커넥터를 사용했으며, 이후 소형 9핀 포트가 PC/AT에서 추가됨
사용자들은 기존에 익숙한 DB25 이름에서 숫자만 9로 바꾸는 실수를 하게 됨

이런 오용이 널리 퍼지면서 DB9이라는 잘못된 명칭이 일반적으로 굳음
일상적 사용 관행이 기술적 정확성을 뛰어넘은 전형적인 사례

SparkFun의 명칭 철학: 정확성과 명료성

SparkFun은 SparkFun Male DE9 BreakoutSparkFun Female DE9 Breakout 신제품 출시와 함께 기술적으로 올바른 명칭을 의도적으로 사용함
DB9으로 검색하는 사용자가 많다는 점을 알고 있지만, 기술적 정확성과Community 교육이라는 철학을 중시함
올바른 명칭 사용을 통해 오랜 명칭 오류를 바로잡는 데 기여하고자 함
신제품의 DE9 명칭은 보드의 설계만큼이나 의도적 선택
세상이 계속 DB9이라 부를지라도, SparkFun은 정확한 DE9이라는 명칭을 고수함

결론

DB9은 널리 통용되는 용어지만, 실제로는 DE9이 올바른 명칭임
정확한 단어 사용이 기술 교육과 지식 공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커넥터 명칭 혼동의 배경과 올바른 표기를 이해하는 계기가 됨
SparkFun과 같은 엔지니어 커뮤니티는 정확한 표준 사용 문화를 지향함
"DE9"이라는 이름에는 제품 개발자의 의지와 정확성 철학이 반영되어 있음

Hacker News 의견
  • 또한 이 커넥터는 8P8C이고 RJ45가 아님, 표준 기관의 용어를 사용할지, 모두가 이해하는 용어를 사용할지 상황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짐, 문서에는 "J3는 IEEE P802.3bz 2.5GBASE-T 통신용 8P8C 잭(일반적으로 RJ45라고 불림)이며, 이전 세대의 Gigabit 및 Fast Ethernet과도 호환됨"처럼 표기하는 것을 추천함

    • 맞음, 원래 RJ45는 일종의 8P8C였지만, 옆에 돌기가 있어서 “진짜” RJ45 케이블은 기본 8P8C 슬롯에 꽂을 수 없게 설계되어 있었음

    • 2.5GBASE-T라고 했지만, 나는 10GBASE-T도 문제없이 사용함, 단 Cat 6A 케이블이 내부에 있어야 하고 IEC 60512-9-3 및 IEC 60512-99-002 테스트 역시 거쳐야 함, PoE가 IEC 60512-99-002 기준에 맞지 않는 커넥터에서 분리될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재미있는 사진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음

    • 그리고 Molex 전원 커넥터는 실제로 AMP Mate-n-Lok 커넥터임, 올해가 되어서야 이 사실을 알게 됨

    • 최근에 그 사실을 알게 되었음, 엔지니어들은 제품 명칭에 있어서 참 단순하게 작명하고 외우는 경향이 있음

    • 나도 100% 해당 사항임, 오히려 8P8C의 “키드, 진짜 RJ45” 커넥터는 직접 본 적이 없음

  • D-sub은 벽면 콘센트를 제외하고 내가 아는 가장 오래 살아남은 커넥터 규격 중 하나임, 50년대에 군사 용도로 출발했지만, 오늘날 우주 하드웨어 신제품에도 여전히 적용되고 있음, 고주파, 동축/트윈축, 광섬유, 심지어 공압식 “접점”까지 필요한 곳엔 다 있음(물론 값은 어마무시함), 가장 선호한다 말하긴 어렵지만, 1세기 가까이 이렇게 꾸준히 살아남은 건 정말 재미있는 현상임

    • 오디오에 많이 쓰이는 XLR도 1950년대 규격임, 이런 표준 커넥터들은 다양한 용도를 지원하지만 덕분에 “케이블이 들어갔으니 동작한다”는 보장을 받을 수 없음, USB 케이블은 대부분 맞으면 잘 동작하지만, 안 맞으면 보통 기대 자체가 없음(예: 마우스를 전원 공급기에 꽂아도 동작하길 기대하지는 않음), USB-C가 좀 예외이긴 한데, 그래도 대부분 연결이 맞으면 동작하긴 함

    • 유럽 TV에서는 1922년에 처음 도입된 안테나 커넥터를 여전히 사용 중임, 관련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 가능함

    • 전화 잭도 예시임, 19세기 말에 발명되었지만 지금까지도 계속 사용 중임

  • Sparkfun이 “정류 전류(conventional current)”라는 수백 년 된 개념에 대한 혼동도 바로잡아주면 좋겠음

    • 항상 이 주제가 재밌었음, US Coast Guard 전기기술자 과정에서는 전자 흐름(electron-flow)이론을 배웠는데, 대학에 진학하면서 구멍 흐름(hole-flow) 이론으로 머리를 바꿔야 해서 적응이 쉽지 않았음, 수학적으로는 동일하지만, 회로도 해석에선 정말 혼란스러움

    • 그게 무슨 뜻인지 궁금함

  • “DB9”라는 용어는 25핀 “B” 셸에 9핀을 넣었다는 디자인이니 물리적으로 모순이라는 주장에 대해, 나는 B 셸에 9핀을 넣지 못할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겠음, 실제로 생산하지 않을 뿐 물리적 한계는 없어 보임

    • 가능은 하지만, 보통 DB-25 커넥터를 사용하고 일부 핀만 쓰는 게 더 저렴함, 9핀만 꽂은 “진짜 DB-9” 커넥터를 만들려면 최소 주문 수량, 툴링 및 인증 등 별도 비용이 듦, 만약 핀 간격에 의미가 있다면 crimp-and-insert 같은 방법을 쓰는 경우가 많음, 참고로 “DE-0”는 실재하지만 큰 문제는 아님

    • 16비트 컴퓨터 시절에 두 개의 조이스틱 포트를 한 번에 지원하려고, 중간 핀이 빠진 DB25 하우징을 사용해서 양쪽 끝에 9핀 클러스터를 넣은 사례가 떠오름, 본체 플라스틱이 중간 부분을 덮고 있었음

    • 예전에 DB 하우징에 25핀 간격을 가진 9핀짜리 커넥터를 본 적이 있음, 이름을 붙이자면 DB25C9P일 수 있겠지만 생각해보니 DE9와 DB25 사이의 변환 어댑터였을 가능성이 높음, 실제로 시리얼 통신에 9핀만 쓸 때 저렴하게 만들려고 이런 구조를 썼던 것 같음

    • “DB” 자체가 이미 25핀을 의미하므로, 25핀과 9핀이 동시에 있다는 것은 좀 이상함, 실제 DB-25에서 핀을 뽑아낸 것과도 다른 개념임, 이 경우는 “DB-9”라는 이름을 붙이긴 애매함

    • 기술적으로는 가능함, 심지어 핀 간격을 좁히면 9핀 하우징에 25핀을 넣을 수도 있음, 이런 제품은 존재하지도 않고 앞으로도 안 나왔으면 하는 바람임

  • "D-sub 커넥터 용어를 잘못 사용하고 있다"는 의견에 대해, 나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함, 사실 나와 대부분의 사람들은 D-sub 커넥터 용어 자체를 거의 쓰지 않고, DB9 커넥터가 달린(혹은 없는) 장치 기준으로 이야기할 뿐임, 우리가 하는 건 전혀 다른 “언어 게임(language game)”이며, 그래서 모두가 내 말뜻을 알아듣는 것임, 그러니 담담하게 주문해 달라는 언어유희임

  • 이런 사례는 정말 많음, 특히 커넥터 용도가 거의 하나로 고정된 경우에 자주 발생함, 예를 들어 “컴포지트 비디오”라고 부를 때 실제로는 아래 용어들이 혼용되는 것을 경험했음:

    • composite video, RS-170, monochrome video, EIA-170, NTSC, black and white video, CVBS, B&W video, RS-170A, analog video, PAL, yellow RCA plug, 그냥 video 등 이 모든 용어가 완전히 같은 신호를 가리키는 건 아니고, 몇몇은 오히려 부정확하지만, 기술자들조차도 이런 용어들을 많이 혼용해서 씀, 또 다른 예로는 “Amphenol 커넥터”, “Cannon 커넥터”, “Molex 커넥터” 등이 있는데, 이건 “Ford 자동차”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한 맥락임

    • 1.44 MB 디스켓도 독특하게 명칭이 엉켜 있는 사례임, 원래 디스켓 용량은 1440 KiB(오늘날은 kibibyte라고 부르지만 예전엔 그냥 kilobyte 였으며 2의 거듭제곱 단위는 암묵적으로 전제되었음), 누군가가 그 상황을 잘못 이해하고 1.44 “MB”를 1.44 * 1000 * 1024 바이트로 산정해서 실제 용량은 1.41 MiB나 1.47 MB로 혼동이 생김

    • 내가 제일 좋아하는 사례는 “aux 케이블”이라고 하면 대부분 자동차 오디오에서 보조 입력(Auxiliary input) 단자로 쓰이는 3핀 또는 4핀 3.5mm 오디오 케이블을 의미함, 나는 일부러 “헤드폰 케이블”이라고 부르기도 함

    • SMPTE 170M도 빠트렸음, 아마 현시점에선 결정적 표준임, 문서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음

  • 나는 항상 그냥 시리얼 포트라고만 불러왔음, DB9 명칭 자체가 자꾸 기억나지 않았기 때문임, 앞으로는 더 정확한 명칭 기억해서 nerd들 앞에서 쓰면 나도 pedantic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함(비꼬는 의도가 아니라 정말 그렇게 해보고 싶음)

    • 누군가가 “시리얼 포트”라는 말만 쓰면 또 다른 pedant가 등장해서 “구체적으로는 RS-232임, DB-25도 같은 포트임, 시리얼 포트는 RS-422, RS-485, SIO, USB 등도 될 수 있음”이라고 이야기해줄 수 있음
  • 내 VGA(DE-15), 키보드와 마우스(Mini DIN #6) 포트는 이 분류와 동의하지 않음, 그리고 프린터 포트(DB-25)는 아직도 단방향 설정임

  • 이 상황은 마치 King Canute와 바닷물 싸움 같음, 기술적 자세함은 흥미롭고 종종 깊은 이해로 이어질 수도 있음, 하지만 언어란 소통을 위한 것이므로, 가장 정확한 언어란 소통이 가장 잘 되는 언어임, 어느 한 사람의 열정에 기반한 “well actually”류 대화가 반복되면 피곤해짐

    • 현장에서 “원하는 걸 요청하나, 아니면 내가 추측한 것을 원하는가?” 같은 오해가 자주 발생해서, 처음부터 명확하게 pedantic하게 설명하지 않으면 문제가 커질 때도 있음, 장비 공급 벤더가 제품명을 두고 재치있게 제목을 붙인 글에서까지 “well actually” 류 대화를 비난하는 건 적절하지 않음

    • 미국 문화에서는 “가장 잘 전달되는 언어가 가장 올바른 언어다”라는 관점이 강하지만, 독일에서는 단어의 유래나 의미까지 분석하고, 틀린 표현은 용납하지 않는 편임, 예를 들어 “Alternative”라는 단어는 “다른 하나”라는 의미에서 쓰여야 맞고, 둘 이상의 대안이 나오면 사실 다른 단어를 써야 더 정확함

    • 맥락에 따라 다름, 전체적으로 정확한 문서를 작업할 땐 이런 실수를 그냥 넘어갈 수 없기도 함, 일상 대화라면 크게 상관 없지만 공식 문서라면 일일이 확인해야 함

  • 왜 셸 크기와 핀수를 별도로 지정했을까 늘 궁금했음, 실제로는 셸 크기와 핀 개수가 1:1로 매칭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 같은데, 혹시 같은 셸 크기에 핀수를 줄이는 상황을 대비했던 것일까?

    • 9핀이 항상 정답은 아님, 셸 크기 안에 여러 종류의 핀(고전류, 동축 등)을 조합해서 넣을 수 있음, 예시로 고전류 접점 2개만 있는 DE 타입 사진, 15핀짜리 “VGA” DE 타입 사진도 있음

    • VGA 커넥터는 DE-9과 동일한 셸을 쓰지만, 세 줄로 구성되어 총 15핀이 들어감

    • 혼란스럽게도 실제로 올바르게 “DB-9”라 불리는 커넥터를 본 적 있음, DB-25를 DE-9로 변환하는 저렴한 버전이었는데, 추가 핀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한쪽 끝만 9핀으로 연결했음, 라인 속도가 충분히 느릴 때만 정상적으로 동작했었음

    • DE15와 DA15 커넥터도 존재하며 꽤 많이 쓰임, 특이한 구조의 D-sub 커넥터도 간간이 있으므로 셸 크기를 이름으로 구분하는 게 필요한 경우도 있음

    • 표준 커넥터처럼 생겼지만 핀 하나만 빠진 독자 규격도 본 적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