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P by GN⁺ 2일전 | ★ favorite | 댓글 2개
  • Chrome의 uBlock Origin 정책 변경으로 차단한 이후, 많은 사용자가 Firefox로 이동하는 경향 발생
  • Firefox는 100% 오픈소스로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과 다양한 대안 브라우저 제작 가능
  • uBlock Origin 전체 기능은 Firefox에서만 완전하게 제공되어 뛰어난 광고/트래킹 차단 경험 제공
  • Firefox for Android는 데스크톱과의 원활한 동기화 및 실질적인 브라우저 확장 기능 지원으로 차별화
  • 컨테이너 기능과 세밀한 설정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 멀티 계정 관리 등 강력한 편의성 확보

Chrome의 uBlock Origin 차단과 Firefox의 부상

  • 최근 Chrome이 인기 광고 차단 확장 프로그램 uBlock Origin 전체 버전을 제한함에 따라, Firefox가 다시 주목받는 중
  • Chrome 사용자들에게 Firefox로 전환할 이유와, 필수 확장 기능 및 설정 방법을 소개

Firefox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 완전 오픈소스: Firefox는 100% 오픈소스로, 소스코드를 직접 확인·사용·포크하여 다양한 대안 브라우저(예: LibreWolf, Zen Browser)로 배포 가능함
    • Firefox의 전체 소스코드는 공개되어 있으며, 자체 브라우저 개발이나 fork도 자유롭게 진행 가능함
    • 라이선스 상 제약이 거의 없으며, 개발자나 테크 애호가들에게 높은 투명성과 변화의 자유로움 제공
  • 웹 환경 개선: 광고, 팝업, 쿠키 알림, 트래킹 스크립트 등으로 오염된 웹에서 최고의 광고 차단 확장인 uBlock Origin을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
    • 현재 웹은 과도한 광고, 트래커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uBlock Origin은 커뮤니티 기반 필터 리스트를 사용하여 광고와 트래커를 효과적으로 차단함
    • Chrome은 Manifest V3 정책을 통해 uBlock Origin 전체 기능 확장을 제한함
    • uBlock Origin "Lite"는 다양한 기능 제한(필터 자동 업데이트 불가, 커스텀 필터 없음, 동적 필터링 미지원 등)을 가지며, Chrome 이용 시 원본만큼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
    • Firefox에서는 uBlock Origin의 모든 기능 사용 가능하며, 쾌적한 환경 제공
  • Android와의 동기화: Firefox for Android는 데스크톱과 탭, 북마크, 패스워드 등 데이터를 원활히 싱크함
    • Firefox for Android에서는 데스크톱 수준의 확장 기능(예: uBlock Origin 전체 버전)을 동일하게 설치·사용할 수 있음
    • Apple Safari는 확장 기능 도입과정에서 제약이 있고, iOS의 경우 'Lite' 버전만 사용 가능함
    • 모바일 환경에서도 완전한 광고 차단과 커스텀 필터링이 가능함
  •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 브라우저의 디자인과 동작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맞출 수 있음
    • Firefox는 디자인, 레이아웃, 탭 동작 등 사용자 맞춤 조정이 쉬움
    • 세련된 브라우저 모양도 짧은 시간 내에 적용 가능함

개인 Firefox 사용법 및 필수 확장 기능

  • 1. 필수: uBlock Origin

    • uBlock Origin은 광고, 트래커, 쿠키 알림 등을 로딩 전에 차단하여 브라우저 성능과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지원함
    • Reddit 등에서 추천되는 필터 설정만으로도 대부분의 불편 요소를 제거할 수 있음
  • 커스텀 필터의 활용

    • "My filters" 탭에서 직접 규칙을 작성해 위젯, 도메인 전체, 특정 네트워크 트래픽(예: Facebook) 차단 가능
    • Facebook Container 추가 기능 없이도, 임의의 Facebook 관련 트래킹 차단이 가능함
    • Google 계정 팝업, 회원 가입 유도 팝업 등도 커스텀 필터로 손쉽게 정밀 제어 가능
    • 이런 수준의 세부제어는 uBlock Origin 전체 버전을 완전히 지원하는 Firefox에서만 가능
  • 2. 개인정보 보호 강화: 컨테이너

    • Firefox는 Total Cookie Protection으로 사이트별로 쿠키와 세션을 완전 분리함
    • 이전에는 Multi-Account Containers 확장이 필요했지만, 현재는 기본 내장 옵션으로 여러 계정(예: 직장/개인 GMail)을 한 브라우저 내에서 격리 관리 가능
    • 세밀한 설정(about:config의 privacy.userContext.newTabContainerOnLeftClick.enabled)으로 탭마다 다른 컨테이너 선택 가능
    • Containerise 확장 기능을 더하면, 도메인별로 항상 고정된 컨테이너에서 열리도록 자동화 가능
  • 3. 기타 확장 기능 및 커스터마이즈

    • 필수적이지 않으나, 다양한 확장 기능으로 사용 경험을 개선할 수 있음
    • 탭 동작 커스터마이즈 : browser.tabs.insertAfterCurrent를 true로 설정하면, 새로운 탭이 현재 탭 바로 옆에 생성되어 탭 정리가 쉬워짐
  • 4. 숨겨진 강점

    • / 입력 후 검색어로 빠른 찾기, ' 키로 하이퍼링크 텍스트만 탐색 가능
    • Shift+우클릭으로 우클릭 제한 사이트도 우회 가능
    • 주소창 단축 명령어(*=북마크, %=열린 탭, ^=히스토리)를 통해 검색 효율성 상승

마무리

  • Firefox 를 활용하면 웹을 보다 쾌적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

데탑 파폭은 참 좋은데.... 모바일 파폭은 안드로이드에서 조금 버벅이는 느낌이 있어서.... 비발디로 쓰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브라우저 간 동기화는 셀프호스팅 서비스 몇가지로 메우고 있는데, 익숙해지니 구글 손아귀에서 벗어난 것 같고 좋습니다.

Hacker News 의견
  • 많은 사람들이 Firefox에서 문제가 많다고 말하는 게 의외임. 로딩 속도도 전혀 불편하게 느껴본 적이 없고, ADHD 때문에 브라우저를 재시작하는 걸 자주 잊어서 100개 이상의 탭을 여러 데스크탑에서 띄우고 있음에도 내 MacBook Pro는 잘 돌아감. 단점이라면, 사람들이 거의 "Chrome 아니면 안 써" 마인드로 사이트를 만들어서 90년대 Internet Explorer 때처럼 범용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사이트가 제작되어 Firefox에서 가끔 버그가 있다는 점임

    • 나도 비슷한 입장임. 로딩 속도가 왜 문제인지 모르겠고, 예전 Firefox Quantum이 Chrome을 압도했던 걸 기억함. Chrome은 브라우저 창이 완전히 로딩되기 전에 창을 먼저 띄우는 트릭을 썼는데, Quantum 출시 이후로 Firefox도 같은 전략을 사용함. 20년 가까이 Firefox를 쓰면서 성능 저하를 느꼈던 적이 없음. 나는 Linux에서 사용 중인데, Mac에서는 요즘 어떤지 잘 모르겠음

    • Firefox가 마케팅을 잘 못하고 있다고 생각함. Chrome은 'Chrome achieves highest score ever on Speedometer'(2024) 같은 글을 발표하는데, Firefox는 그런 점수나 자료가 잘 안 보임. 컴퓨터 잡지에서는 Speedometer 3에서 Chrome 다음이 Firefox라고는 하지만, 실제 수치는 찾기 힘듦. Speedometer는 Webkit, Firefox, Chrome이 같이 개발한 브라우저 벤치마크임.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왜 오픈소스보다 구글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Mozilla에 대해 때론 파괴적이고 무례한 비판을 하는지도 이해할 수 없음. Chrome Speedometer 최고점 기사

    • 20년 넘게 Firefox를 쓰면서 한 번도 문제를 느낀 적 없음. Linux, MacOS, Windows 모두에서 사용했지만 기억에 남는 문제는 전혀 없음

    • "Chrome을 기준으로 사이트를 만들어서 Firefox에서 버그가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몇 달 써봤을 때 진짜로 그런 일은 한 번 외엔 없었음(그마저도 Google Photos가 Firefox User-Agent에만 작동하지 않는 기능이었고, UA 스위처로 해결됨). 오히려 Adblocker 때문에 사이트가 깨지기도 했지만, Chrome에서도 마찬가지임. Firefox에서 문제가 많다고 하는 것도, 제대로 잘 된다고 하는 것도 어떤 사람에겐 그냥 일상임. Firefox는 오랫동안 커스터마이즈가 뛰어난 대신, 재현 불가 버그가 종종 생기곤 했음. "프로필을 삭제하고 새로 시작하라"는 조언은 사용자 입장에선 너무 함부로 얘기하는 느낌임. 중요한 건 Chrome의 동기화 기능은 아주 안정적인데, Firefox의 Sync는 Android에서 계속 문제를 일으켰고 결국 못 쓰게 됨. 북마크나 확장 설정까지 동기화가 안 되기도 함

    • 100개 이상의 탭을 여러 데스크탑에 띄워둬도 MacBook Pro는 괜찮다고 하셨지만, 리눅스에서는 백그라운드 창도 계속 렌더링돼서 성능에 치명적임. 특히 시스템 상태 표시줄을 숨기거나 리사이즈하면 모든 창이 새로 렌더링되어 CPU가 100%까지 치솟음. 이 문제는 GTK3의 한계로 수정 불가이며, Firefox가 앞으로도 GTK 기반을 버릴 계획은 없어 보임. 관련 버그 트래킹

  • Firefox에 대한 불만이 많은데, 정작 기사에서 중요한 부분인 Chrome에서 uBlock Origin이 제외된 이야기는 잘 안 다뤄지고 있음. 장기적으로 Firefox와 다른 브라우저의 사용자 수가 다시 늘어날 것을 기대함. 나는 Firefox를 엄격한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uBlock Origin, Multi-Account Containers와 함께 잘 쓰고 있음

    • Multi-Account Containers는 정말 최고의 기능임. 쿠키 트래킹 차단이나, 하나의 브라우저 창에서 서로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 중임

    • 결국 Alphabet이 장기적으로는 검증되지 않은 브라우저의 인터넷 접속 자체를 차단하려 들 것이라는 생각임

    • 빅테크가 권력을 남용할 가능성 중에서 광고 기업이 브라우저 독점을 토대로 실질적으로 웹의 광고 차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게 내 리스트에서 아주 높은 순위임. 이건 예전부터 예고됐던 Manifest v3 건이기도 함. 오히려 Apple에 대해 규제기관이 더 집중하는 것도 아쉽게 느껴짐

    • Firefox를 많이 비판하긴 하지만, 그만큼 많이 사용하기 때문임. 이건 싫어해서가 아니라,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제품에서도 문제는 쉽게 보게 됨. 이 점은 HN 사용자라면 대부분 공감할 부분임

    • 나는 uBlock Origin Lite를 써도 거의 똑같은 경험임. 그리고 NextDNS도 같이 써서 효과가 큰 것 같음

  • 요즘 페이지에 광고가 얼마나 많이 뜨는지 몰랐는데, uBlock을 오래 쓰다보니 까먹고 있었음. 원래 Chrome에 익숙해서 Firefox를 망설였지만, 구글이 내가 직접 선택한 소프트웨어를 강제로 끄는 걸 본 순간 Firefox로 넘어감

    • 파트너의 아이폰이나 내 폰에서 Chrome으로 링크를 열 때마다 광고 때문에 크게 스트레스를 받음. Firefox+Adblock일 때와 비교해서 차이가 극명함

    • uBlock Origin 때문에 몇 달 전부터 완전히 Firefox로 이주함. 사실 Chrome에서 계속 쓰던 건 관성 때문뿐이었음

    • pihole을 써도 같은 경험임. 예전에 reddit에서 광고 때문에 글을 읽기 힘들다는 불만이 많았지만, 내 화면은 전혀 문제가 없었음

    • 광고회사가 자기 브라우저에서 광고 차단을 못 하게 막는 것이 오히려 당연해 보임. 오히려 이 일로 인해 그들이 본질적으로 광고 기업임을 모두에게 제대로 보여준 셈임. 광고와 개인정보 침해가 싫은 사람이라면 Google이랑 Microsoft는 분명히 금지해야 할 존재임

  • "아이폰에선 데스크톱에서 쓰던 브라우저 확장 기능을 쓸 수 없다"는 글에 동의할 수 없음. 작성자가 실제로 최신 브라우저를 써본 것 같지 않음. Orion 브라우저는 iOS에서 데스크톱(특히 Firefox) 확장 프로그램들을 지원하고 있는데, ‘모든 iOS 브라우저는 Safari일 뿐’이란 말을 반복하는 대신 실제로 해킹해서 이런 기능을 구현함. Orion에 대해 자세히 보기. Orion은 Web Extensions API도 70% 지원하고, 고급 보안 기능도 있어서 확장기능별로 허용 사이트를 지정할 수 있음

    • Orion이 좋은 선택이긴 하지만, Firefox Android와 비교하면 아직 부족함. 많은 확장기능은 설치만 되고 정작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며, uBlock Origin도 문제 있음. 또한 업데이트 후 자주 크래시가 생기기도 함. 지원 API 목록도 공개 안 했고, 오픈소스 약속했지만 아직 오픈도 안 됨

    • “모든 iOS 브라우저는 Safari”라는 말이 정말 틀렸다고 할 순 없음. 렌더링 엔진이 같기 때문에 실제로는 껍질만 다르고 기본은 동일함. 이런 이유로 애플이 EU로부터 제재를 받은 것임

    • Orion을 직접 사용해봤는데, uBlock Origin 외에 다른 확장기능들은 거의 안 됨. 확장기능의 70%만 지원하는데 내가 즐겨쓰는 것들은 거기에 없는 것 같음. 아직 베타 제품 같은 느낌이고, 그래도 일단 uBlock이 되는 점은 쓸 만함

    • 대부분의 확장기능은 설치가 가능하다 해도 실제로는 50% 정도만 제대로 작동함. 어떤 확장기능이 안 되는지 알 수 없어서 더 불편함

    • 글쓴이가 Android를 쓰는 게 명확해서, 이런 점은 어느 정도 감안할 수 있다고 봄. 또 Orion이 Windows, Linux에 지원되지 않는 한, 많은 사람들에게는 쓸 수 없는 옵션임

  • 내가 Firefox를 계속 쓰는 주된 이유는 장기적으로 브라우저 엔진 다양성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임. 예전 웹 개발 초기에 표준은 있었지만 다들 Internet Explorer만 지원해서 코드 짜는 게 제일 싫었음. 최근 "Chrome에서 최적화됨" 같은 사이트가 생기는 게 볼 때마다 걱정되긴 하지만 아직은 괜찮은 수준임. 그러나 커뮤니티가 Chrome 중심으로만 흘러가면 예전 구시대가 반복될 것임

    • 나도 "Chrome 추천 사이트"가 늘어나는 게 걱정임. 특히 마이크, 웹캠, 화면 공유는 거의 항상 잘 안 되고, Slack이나 Teams는 Firefox 동작을 신경도 안 씀
  • 팁 하나 추가하자면, 이제 Firefox는 사이드바(측면) 탭을 확장 없이 기본 지원함. 환경설정의 Browser Layout에서 Vertical Tabs(세로 탭)를 선택할 수 있고, 탭 그룹과 Multi-Account Containers와 조합하면 더 편리함

    • 탭 그룹과 세로 탭 조합이 진짜 멋진 사용 경험임

    • 언제 추가된 기능인지 궁금함. 나는 “Tree Style Tab” 익스텐션을 1년 넘게 쓰고 있는데, 확장 대신 기본 기능만 써도 될지 고민임

    • Edge와 Opera도 사이드바 탭을 기본 지원함

    • 알려줘서 고마움. Arc 얘기를 하며 암시했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보니 그게 잘 안 드러나서 내용 수정할 예정임

    • 여전히 다중 행 탭 바(멀티로우)나 메인 탭 바 숨기기 API 지원은 없음. TabMixPlus 확장 제거 때 분명히 약속했는데도 아직 안 됨

  • 내 세팅과 비슷하지만, 최근 몇 주마다 새로운 자동 활성화 스파이웨어(분석/추적 관련 기능 등)가 계속 추가되는 느낌이라 Firefox 그만 쓸 생각임. “Firefox 데이터 수집 및 사용”, “웹사이트 광고 환경설정”에서 옵션을 항상 꺼야 하고, 최근에는 주소창 광고("스폰서 제안")까지 기본 활성화되어 있는 데서 실망스러움. Firefox 자체는 좋은 제품이지만, 비기술 경영진이 서서히 상품 가치를 깎아먹고 있음

    • 업데이트로 인해 설정이 리셋되면 안 됨. 혹시 그런 일이 있다면 버그 리포트를 제출해서 수정 요청하는 게 좋음

    • 가장 쉬운 해결책은 데스크톱에서는 LibreWolf, 안드로이드에선 IronFox를 쓰는 것임. 이들 브라우저는 모든 비프라이버시 디폴트를 제거함

    • 그래도 아직 Google 브라우저에 비하면 Firefox가 훨씬 나은 편임

  • '리더뷰' 기능은 거의 매일 쓰는 기능임. 다른 브라우저에도 있는지 모르겠지만, FF의 주요 장점임. Firefox 리더뷰 도움말

    • Chrome에도 리더 모드가 있는데, 메뉴 깊숙히 숨어 있고, Android에선 OS 기능으로 있지만 UI가 불친절함. 첫 시도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많음. 명확하게 강조하는 기능은 아님

    • 나도 Firefox의 리더뷰가 제일 맘에 드는 기능임. 가끔 유료 기사(페이월)도 리더뷰로 볼 때는 읽을 수 있음

  • 몇 년 동안 늘 고민이 많았음. Firefox를 쓰고 싶지만, 이상하게도 Chrome만큼 부드럽게 동작하는 느낌이 없음. Firefox의 Multi-Account Containers나 뛰어난 프라이버시 확장 기능은 좋아하지만, 전반적으로 부드럽지 않고, Windows와 macOS 모두에서 비디오 코덱 이슈, 개발자 모드로 확장 실행이 안 되는 문제(이건 LibreWolf에선 해결됨)가 있음. Chrome 자체는 신뢰할 수 없는 회사라 Ungoogled-Chromium을 선호함. 다양한 브라우저(Vivaldi, Brave, Orion)도 써봤지만 만족스럽게 부드럽거나 안정적이진 못했음. 더 좋은 추천이 있으면 알려줬으면 함. 내 브라우저 후기 블로그

    • 예전엔 Multi-Account Containers 때문에 Brave로 안 갔는데, Brave는 사이트 단위로 쿠키를 샌드박스 처리하니 이제는 필요 없어짐. 여러 계정 동시 로그인은 Brave 프로필로 해결함. 지금은 Brave가 주 브라우저고 가끔 Librefox도 씀. Firefox가 사용자 데이터를 AI에 주려는 전략을 본 이후로 멀어짐

    • "그냥 Chrome만큼 부드럽지 않다"는 게 맞음. Windows11 등 주요 벤치마크 확인

    • 확장 프로그램 개발 시 dev 모드에서 실행이 안 된다 했는데, 나는 그런 이슈가 없음. LibreWolf에서 되면 설정 문제일 가능성이 높음. 코덱 이슈도 없는 편이고, 내게 진짜 문제는 Teams나 Slack같은 서비스에서 마이크/카메라가 Firefox에선 잘 안 되는 점임. 이런 서비스들은 Chrome 전용 JS만 쓰고, Firefox 지원은 신경조차 안 씀

    • "Firefox가 Chrome만큼 부드럽지 않다"는 거 공감함. Firefox도 가끔 쓰다보면 사이트 따라 퍼포먼스 차이가 크고, Chrome도 어떤 사이트에선 무겁고 고구마 같은 느낌임. 체감상 차이가 항상 크게 남

  • 여러 해 동안 uMatrix, uBlock Origin, 다양한 Firefox 확장 기능을 써 봤지만 내 생각에 Firefox만의 최고 강점은 이런 확장도 아닌, 잘 알려지지 않은 about:config 옵션, network.dns.forceResolve임. Chrome에도 커맨드라인 옵션이 있긴 한데, Firefox는 실행 중에도 글로벌 도메인→IP 매핑이 가능함. 나에게 중요한 건 그래픽보다 HTTP 요청의 상세 제어와 실시간 TLS 트래픽 확인임. 이런 목적엔 프록시 툴이 더 직관적이고 빠름. Firefox는 크고 복잡해서 부담스럽지만, 이런 복잡함을 좋아하는 사람도 많을 거라 생각함. 내가 쓰는 시스템은 직접 빌드하기 쉽고, 텍스트 전용 브라우저로 속도와 제어 모두 Firefox보다 더 뛰어남. 복잡한 웹사이트의 그래픽/JS 환경에선 uBlock Origin과 uMatrix가 최고이겠지만, 내가 원하는 “딱 요청만 할 수 있는 블로킹” 목적은 프록시로 더 잘 해냄

    • 세팅과 웹 접근 방법에 대해 더 듣고 싶음

    • 나도 CLI 브라우저(links, w3 등)를 시도해봤지만, 현대 웹 구조상 원하는 기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음. 예를 들어 HN 스레드도 계층 구조가 다 깨져서 댓글이 일렬로 나오곤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