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N을 AI/LLM과 기타 주제로 포크할 때가 되었는가?
(news.ycombinator.com)- 최근 Hacker News(이하 HN)에서는 AI 및 LLM 기술에 관한 이슈, 논문, 프로젝트, 뉴스가 메인 피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향이 강해짐
- 그 결과, 프로그래밍/스타트업/기타 기술 중심의 전통적인 다양한 주제가 뒷전으로 밀리는 콘텐츠 다양성 저하 현상이 관찰됨
회원들의 논의와 문제 인식
- 다수 사용자들은 AI/LLM 논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HN의 성격이 AI 커뮤니티로 변화 중임을 지적함
- 정보를 얻고 소통하려 오는 기존 유저들은 주제 편향으로 인한 불편함을 토로함
- 이에 따라 게시판을 두 갈래(AI/LLM, 그 외 기타)로 분리(포크)하자는 제안이 제기됨
- 해당 방식이 정보 접근성 및 HN 특유의 다양한 관점 유지에 기여할지에 대한 찬반 의견이 오감
주제 분리(포크) 제안의 주요 논리
-
찬성 의견
- AI/LLM과 나머지 주제를 분리함으로써 각자의 관심사에 맞게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
- 오랜 IT·스타트업 전통을 지닌 HN의 콘텐츠 다양성이 회복 가능함
-
반대 의견
- 커뮤니티 분할이 전체 이용자 수와 참여도 감소로 이어질 우려
- AI/LLM 역시 IT 생태계의 필수 부분이므로 자연스러운 트렌드 반영이라는 시각도 존재
커뮤니티의 미래 지향점
- HN의 방향성에 대한 공론화 및 다양한 의견 수렴이 중요하게 부각됨
- AI/LLM 기술 발전과 정보량 증가에 따라 커뮤니티 운영 방침 재정립 필요성 대두
- 단순 주제 분리 또는 새로운 룰 적용 등 여러 가능성이 논의 중임
- 플랫폼의 개방성과 정보 교환 목적을 어떻게 균형 있게 유지할 것인지가 핵심 관심사로 자리함
Hacker News 의견
- 여러 서브레딧에서 AI와는 별개로 사람들이 불편하게 여기는 주제에 대해 "이 그룹을 A와 B로 나눌까?"라는 비슷한 논의가 반복되는 걸 자주 목격함, 제안을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A 그룹에 남길 원하고 B에는 참여하지 않으려는 의도가 있음, 본질적으로 “그 사람들은 이곳에 어울리지 않는다, 우리와 다르다”라는 뉘앙스가 느껴지며, 그들과 직접적으로 적대적이지 않다고 해도 커뮤니티를 점유하려는 시도로 보임, 누구나 원하는 콘텐츠로 웹사이트를 만들어 초대하고 성장시키면 되므로, 마음에 안 드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기존 커뮤니티를 분할하자는 유도는 문제임
- 체스 엔진이 인간을 이기기 시작할 때와 비슷한 현상이라고 생각함, 체스 커뮤니티도 그런 도구의 효용성에 대해 논쟁이 오래 있었지만 결국 모두 나름대로 사용하게 됨, 일부는 엔진 분석을 적극 활용하면서 실력 향상이 크게 있었음, 중요한 점은 엔진이나 LLM 같은 도구를 언제 어떻게 활용할지, 제한점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함, AI가 의미 없는 정보에서 신호를 분리해내는 능력이 대단함, 체스처럼 AI도 이런 엄청난 변화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 두고봐야 함
- Hacker News도 다른 테크 커뮤니티처럼 유행과 과장에 쉽게 영향을 받음, 오늘은 AI이고 몇 년 전에는 Bitcoin이었음, 어떤 주제가 너무 많은 관심을 받는지, 어떤 콘텐츠가 적합한지에 대한 논의는 주기적으로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각자의 아젠다가 어딘가에 휩쓸리는걸 원치 않는 것도 합리적임, 이런 논의는 쭉 이어가야 함
- 처음부터 HN에 사용자 제공 태그와 투표 기능만 있었다면 이런 문제는 사라졌을 것임, 원하는 주제를 간단한 크롬 익스텐션이나 네이티브 필터로 거르면 됨, 완벽하지는 않아도 충분히 실용적임
- HN은 벤처 캐피탈(VC)과 스타트업이 많은 곳이고, 그 자체도 VC에 의해 운영되므로, AI 뉴스가 사라질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이라 확신함, 현재 많은 YC 스타트업과 투자자들이 이 AI 열풍에 적극 편승 중임, OpenAI/Meta/Google 개발자까지 많이 활동하고 있어서 관심이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것임, 결국 자연스럽게 열기가 식거나 변질될 때까지 그냥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봄
- Reddit에서는 “이 그룹을 A, B로 나누자”는 얘기가 종종 약간 배제적이라는 데 동의함, 하지만 HN은 사람들의 관심사가 보다 주제 중심적으로 움직인다고 느낌, 기사 읽으러 오는 비중이 크고, 일부 주제가 과도하게 논의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토픽 중심 문화가 유지된다는 점에 무게를 둠
- 내가 이런 걸 만들어봤음: Hacker News Filtered는 AI, LLM 관련 이야기를 걸러낸 HN을 볼 수 있음, 필터 단어를 변경해서 localStorage에 저장할 수도 있음, ChatGPT로 2~3분 만에 만들었고, 처음 프롬프트와 몇 번의 세부 요청만으로 완성했음, “Hacker News 홈페이지에서 특정 검색어를 기본값(‘llm, ai’)으로 필터하는 웹 툴을 만드세요, React는 쓰지 마세요”라는 요청에서 시작했고, 유저명을 링크로 연결하거나 타임스탬프 툴팁 등 추가 기능까지 만들었음, OpenAI와의 작업 예시: ChatGPT 대화 공유
- 이제 200개의 글을 불러오도록 개선해서, 필터 적용 후에도 140개 이상의 글이 남아서 읽을 자료가 충분함, 커밋 내역
- 현 시점에서 가장 상위 글 제목은 "Kiro: new agentic IDE"임
- LLM의 장단점이 동시에 드러나는 흥미로운 사례임, 몇 분 만에 실용적인 툴을 만들 수 있는 건 강점이지만 필터 대상이 HN 같은 특정 사이트로 고정된 건 약점임, 예전 usenet의 ‘킬파일’ 문화를 떠올리게 함, 로컬 필터링 수요는 꾸준히 있었고, 더 일반적이고 통합된 솔루션으로 확장될 여지가 크다고 생각함, 다만 다양한 접근이 난립하며 사용자층이나 UX 모델이 산산이 쪼개질 수 있음, 여전히 흥미로운 현상임
- 이런 기능은 유저스크립트로 구현하면 더 나음, 사이트 서버가 다운되거나 종료돼도 HN을 문제없이 쓸 수 있음, ChatGPT가 이런 것도 자동으로 해낼 수 있는지 궁금함
- 제공해준 기본 필터(‘ai’, ‘llm’)로도 여전히 14개 중 4개(25% 이상)가 AI 관련 글임, 헤드라인에 직접적인 키워드가 없거나 예외적인 케이스는 필터링이 곤란함
- 이 글이 최근엔 이틀에 한 번꼴로 계속 올라오고 있음, 이전까지는 “AI가 30개 중 4~5개니까 별 문제 아니다”라고 했는데 오늘은 9/30임, 실리콘밸리 VC나 엔젤 투자 딜 플로우 역시 비슷할지 궁금해짐, “new” 페이지에서 좋은 비AI 글을 찾아 업보팅하는 게 가장 효과적인 저항 방법임
- “new” 페이지에서 마음에 드는 글을 발견하는 빈도가 더 높아졌음, 요즘은 내 취향과 메인 페이지가 점점 멀어지는 게 느껴짐, 질 좋은 글을 골라서 겉면에 올릴 수 있으니 실질적으로 두 가지 이유에서 new 페이지를 자주 봄
- 본인은 Ask와 Asknew 탭을 자주 들락거림, 그리고 Paul에게 2021년에 생성된 이슈도 빨리 닫아주길 바라고 있음, 풀 리퀘스트는 이미 머지됐으니
- 이 글이 반복적으로 올라오는 것 자체가 문제를 설명함(“Res ipsa loquitur”)
- 본인에게 실질적으로 더 크게 다가오는 건 댓글 내에서 AI 언급이 계속 증가한다는 점임, 단순히 AI가 메인 페이지에 많이 보여서가 아니라, 거의 모든 포스트마다 누군가 AI 얘기를 꺼내서 지긋지긋함, 이젠 AI에 관한 이야기는 종류를 불문하고 듣고 싶지 않은 상태임
- HN을 처음 접하는 사람은 모를 수도 있지만, 한때 Erlang이 AI/LLM보다 훨씬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 적도 있었음, Ruby on Rails, Postgres, SQLite, Rust 등도 저마다 유행한 기간이 있었고, LLM 역시 그때들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함, 오히려 Erlang이 더 심하지 않았나 싶음
- 그때와 지금은 다름, Erlang으로 도배된 전성기는 하루 이틀에 불과했음, 반면 AI는 1년 넘게 40~50%를 차지하고 있고 끝날 기미가 잘 안 보임, web3 같은 건 최대 10%도 못 됐고 명백히 일시적이었음, 지금은 단지 상황을 진술하고 싶음, Erlang과 비교가 안 된다고 생각함
- HN에서 기술 위주만 선호한다면 딱히 신경쓰지 않을 수도 있음, 본인은 테크 쪽 글이 제일 좋고 유행성 트렌드와 거품은 거르고 싶음, AI 글들이 블록체인 유행기에 비해선 덜 심하다고 느낌
- Erlang이 메인 페이지를 다시 점령해도 오히려 좋을 것 같음
- Erlang이 많았던 시기는 "정치 얘기가 너무 많다"는 불만에 대한 커뮤니티의 대응으로 일부러 Erlang 글을 올리던 시기라 특수함, 그 외엔 Bitcoin, Rust 등도 한때 다 크게 유행함
- 매일 Haskell 글을 보던 시절이 그리움
- 최근 10년간 가장 중요한 테크놀로지인 AI를 테크 포럼에서 내쫓자는 흐름 자체가 이상하다고 생각함, 이게 커뮤니티에 무슨 의미인지 싶음
- AI 관련 이야기가 넘쳐나면서 문제는 주제라기보다 품질에 있음을 지적하고 싶음, AI 연구 논문을 이해하려면 전문성이 필요한데, 경력 많은 프로그래머도 transformer 같은 개념은 잘 모를 수 있음, 그래서 실질적으로 HN의 'AI' 토론은 미래 예측, 프로그래머 생산성 논쟁, LLM이 어디까지 할 수 있나, "AI"라는 단어가 LLM에만 한정돼버린 것 등의 잡담 위주로 넘어감, 특히 “vibe coding” 붐이 생기면서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한 글이나 AI툴로 자동화한 짧은 코드 소개 등의 수준 낮은 글이 Show HN을 지배하게 됨
- 인터넷에서 AI를 싫어하는 게 일종의 정체성이 되어버린 사람들이 많음
- 예전에도 비슷하게 한 주제가 메인 페이지를 점령할 때마다 Show or Ask 섹션으로 분리를 해왔음, 지금도 마찬가지로 그냥 AI에 관심 많으면 거기로 가면 됨
- 어느 커뮤니티나 불평 많은 사람들은 있기 마련임
- 최근 vibe coding 관련 AI 글들이 너무 많아져서 HN을 읽고픈 의욕이 줄었음, 주제 자체가 싫은 건 아니라 가끔 흥미로운 것도 있으나 질 낮은 논쟁이나 콘텐츠가 늘어난 게 고민임
- 구체적인 예시를 알려주면 감사하겠음, 모든 장기 이슈 토픽과 마찬가지로(참고: Major Ongoing Topic by dang), 프런트페이지에는 높은 품질의 글만 올라가고 후속 글은 가중치를 낮추려고 함, 완벽히 통제하긴 어렵지만 계속 노력 중임
- AI가 너무도 범용적이라 HN 전체에 흥미를 줄 정도가 아니라고 생각함, 본인은 어떤 문제에 AI를 적용했는지 그 문제가 흥미롭거나 적용 방식이 재밌으면 관심이 가지만, 대다수는 문제 자체에 흥미가 없으면 AI 적용 노하우도 그리 궁금하지 않음
- 다행히도 시간을 보낼 곳이 워낙 많으니 큰 문제로 여겨지지 않음
- 2007년 Hacker News의 색채가 지금도 많이 남아 있어서 늘 고맙게 생각함, 여전히 인위적인 추천 알고리즘이나 클릭베이트 없이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올라오는 콘텐츠가 즐거움, 이런 자연스러운 발견이 가능한 곳은 HN 포함 두 군데밖에 본 적 없음, 신호(signal) 측면에서 HN은 엄청난 가치를 가짐, 지금 어떤 주제가 테크 본인들에게 큰 관심을 받는지 실시간으로 가늠할 수 있음, 그래서 공동의 관심사가 편향되는 한이 있어도 그게 HN의 기능임, 어쨌든 이건 내 작은 소회임
- HN은 원래 스타트업 지향성이 강한 커뮤니티임, 지금 스타트업이 AI를 투자자용 슬라이드에 넣지 않으면 투자받기가 힘든 분위기임, 다만 AI에 대한 열기는 점차 부풀려졌던 기대가 벗겨지면서 서서히 식고 있다고 보여짐
- 아직 하락 기운은 못 느끼겠고 오히려 vibe coding 경험담과 MVP 제작 잘되면 후원금 링크까지 다는 식으로 더 가속화되는 듯함, 많은 오픈소스 vibe coded 프로젝트 제작자들이 프로젝트 자체보다는 번외 수익이나 관심 유도에 더 관심 있는 것 같음
- 만약 HN의 AI/LLM 관련 콘텐츠가 별로라 느껴진다면 LinkedIn이나 X(구 Twitter)를 경험해보면 더 심함을 알 수 있음, HN이야말로 AI/LLM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가장 좋은 공간 중 하나라고 생각함, 포용적인 커뮤니티가 계속 논쟁을 이어가길 바람
- HN에 태그나 라벨 기능이 있으면 주제를 쉽게 분류, 필터링할 수 있을 거란 피처 리퀘스트를 하고 싶음
- LLM으로도 손쉽게 자동 라벨링이 가능할 것임
- 사용자 측 키워드 필터만 지원돼도 콘텐츠 등록이나 모더레이션 부담이 적음, 카테고리는 오히려 복잡함을 유발함
- 분명 HN을 위한 맞춤형 브라우저나 솔루션을 만들어둔 사람이 있을 것임
- 이 제안은 예전부터 꾸준히 반복돼온 떡밥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