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nition(Devin AI), Windsurf 인수 발표
(cognition.ai)- Cognition(Devin AI) 가 Windsurf를 인수하기로 결정함
- 이번 인수로 Windsurf의 지적 재산권, 제품, 상표와 우수한 인재들이 Cognition에 합류함
- Windsurf 팀은 당분간 기존대로 독립 운영을 유지하고, 점진적으로 Cognition의 기술과 통합 작업이 이루어질 예정임
- Windsurf는 350개 이상의 엔터프라이즈 고객과 수십만 명의 일일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며, 연간 반복 매출(ARR)이 8,200만 달러에 달하는 성장세를 기록 중임
- Cognition은 이번 인수를 통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미래를 여는 차세대 혁신에 박차를 가할 계획임
Cognition(Devin AI), Windsurf 인수 개요
- Cognition은 Windsurf, agentic IDE를 인수하기로 최종 계약을 체결했음을 공식 발표함
- 인수 대상에는 Windsurf의 지적 재산(IP) 및 제품, 상표, 브랜드 그리고 고성장 비즈니스가 포함되어 있음
- Windsurf 구성원 전원이 Cognition 팀으로 합류하여, 업계 최고 수준의 인재들이 새롭게 한 팀이 됨
단기 및 향후 계획
- 단기적으로 Windsurf 팀은 기존과 동일하게 운영될 예정임
- Cognition은 Devin을 통한 엔지니어링 지원에 집중하면서, 수 개월 내 Windsurf의 핵심 기능 및 독자적 IP를 Cognition 제품군에 통합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할 계획임
- 이번 인수를 계기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미래를 선도하겠다는 Cognition의 목표를 더욱 강화할 예정임
Windsurf 인수 세부 내용
- Windsurf 인수를 통해 Cognition은 다음과 같은 자산을 보유하게 됨
- Windsurf IDE 제품(최신 Claude 모델 완전 접근권 포함)
- Windsurf의 지적 재산, 상표 및 강력한 브랜드
- 연간 반복 매출(ARR) 8,200만 달러 및 계속해 분기별 두 배 성장세를 보이는 비즈니스
- 350개 이상의 엔터프라이즈 고객 및 수십만 명의 일일 활성 사용자
Windsurf 구성원 및 인재 정책
- 업계 최고의 GTM, 엔지니어링, 제품팀 등 뛰어난 인재들과 함께 하게 됨
- Windsurf 팀의 업적과 재능을 존중하여, 모든 직원에 대해 특별한 대우가 이루어짐
- Windsurf 직원 *100%*가 재정적 인수 혜택에 참여함
- *100%*의 직원에 대해 기존 근속분 베스팅 클리프(vesting cliff) 면제
- *100%*의 직원에 대해 근속분 완전 베스팅(fully accelerated vesting) 적용
- 신규 및 현행 직원 모두에게 투명성, 공정성, 능력과 가치를 존중하는 환경이 보장됨
Cognition의 비전 및 전략 효과
- Cognition은 본 인수를 통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게 됨
- Devin의 빠른 시장 채택과 Windsurf의 IDE 및 GTM(Go-To-Market) 역량이 결합함으로써,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함
- 앞으로 엔지니어는 단순 반복 작업에서 벗어나, 시스템 설계와 창의 영역에 더욱 집중하는 미래 지향적 패러다임 변화가 예고됨
긍정적 전망 및 결론
- Cognition이 이러한 성과를 이루게 된 것은 임직원 모두의 헌신과 노력의 결과임
- 향후 팀 전체가 한 배에 탔다는 각오로, 새로운 동료를 환영하는 준비를 강조함
Hacker News 의견
- 나는 최근 이 거래들에서 나타나는 혼란이 시장의 거대한 거품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주는 느낌임, 기본적인 것들과 점점 더 동떨어지는 흐름이라 생각함, 결국 이 거품은 터질 것임
- Anthropic ARR가 올해 상반기에 $10억에서 $40억으로 껑충 뛴 것에 주목함, 나 역시 매달 $200을 쓰고 있는데 돈이 아깝지 않음, 분명 그만한 가치가 있음
- 웹도 한때 거품이 터졌지만 지금 Google, Amazon, Meta 상황을 보라며, 현재의 거품도 분명 존재하지만 그 형태가 암호화폐 거품보다는 웹 거품과 더 비슷함을 언급함
- 닷컴 버블은 첫 번째 위기 신호에서 투자자들이 돈과 신뢰를 뺐기 때문에 터진 것임, 현재는 판도가 확 바뀌었고, 투자자와 VC들은 '우승자'와 성장 기업에 계속 붙으면 큰 수익이 난다는 교훈을 얻었음, 시장에는 자동화 자금, 소매 자금, 해외 자금이 많이 들어와 있고, '저점 매수' 현상도 과거보다 훨씬 강함, 예전에는 큰손이 빠지면 무조건 망했지만 지금은 리테일러들이 오히려 더 긴 시야와 믿음을 갖고 시장을 지지하는 경우도 많음(Musk, Altman 같이), 역사는 반복되지만 똑같은 타이밍이나 가격대는 아님을 강조함
- 어떤 거품은 오히려 전체 경제에 긍정적이라고 생각하게 됨, 닷컴 시절에는 아이디어와 도메인만 있어도 펀딩이 됐고, 본인이 일했던 회사는 필요 자금보다 7배 많은 투자를 받고도 리더십 부재로 망한 경험이 있음, 투자자들이 많은 돈을 날렸지만 그만큼 시장에 돈이 돌고, 실패한 회사 자산, 인재들이 싸게 흡수되어 새로운 스타트업들이 더 튼튼하게 만들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나타남, 위기는 배움의 기회임을 강조함
- 아직 거품이 터질 단계는 아니라고 봄, '이모가 NVDA 주식 사려고 담보대출을 또 받으면' 진짜 거품이라고 보고, 이런 세태가 몇 년간 이어질 것으로 예측함, 한편 AI 분야에서 사람들에게 엄청난 연봉을 주는 모습은 황당하고, 어떤 면에서는 마크다운 파일을 관리하는 수준에 큰 돈이 오간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봄
- 약간 혹평일 수 있지만, LSP 확장 기능으로 CLI 기반 에이전트(Claude Code 등)가 에디터 내에서 diff를 보여주고, 자동완성 결과와 일부 코드 스니펫을 CLI로 다시 전송하는 기능만 있으면 Windsurf, Cursor, 그 외 비슷한 도구들의 가치가 거의 사라질 거라고 언급함, 구글이 이렇게 돈을 쓰는 것은 실질적 가치에 비해 과도하게 자금이 몰려있는 업계의 현실을 보여줌
- 이런 기능은 이미 MCP로 구현되어 있음, MCP는 에디터의 종류와 상관 없이 WebSocket 서버만 돌릴 수 있으면 Claude Code와 연동되고, 실제 구현 예시와 링크, nvim 프로토콜 상세, Emacs 통합 예시까지 참고 자료 제공함
- Claude Code는 이미 JetBrains와 VSCode IDE에서 diff를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ide' 명령으로 CLI와 IDE 연동도 가능함, IDE의 실시간 에러/경고, 에디터의 선택범위, 커서 위치까지도 접근 가능한 등, 기능이 매우 풍부함을 강조함
- "과잉 자금"이라는 표현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해당 기업은 엄청난 수준의 수익성을 내고 있는 기술회사임을 상기시킴
- Cursor를 사용해본 경험상, 모델과 채팅 입력 창을 연결하는 그 '인터페이스' 부분에 실제로 많은 가치가 존재함, Claude Code, Codex도 비슷한 맥락의 혁신을 담고 있고, 특히 VSCode 환경에 이미 익숙한 사람들에게 Cursor의 접근 방식이 아주 잘 맞음
- Windsurf팀 역시 그 방향으로 이미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을 언급함
- 최근 관련 소식으로, OpenAI의 Windsurf 인수 무산, CEO는 Google로 이동, Windsurf Build Night에 창업자들이 Google DeepMind로 간 직전 참석한 후기 등을 소개함
-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만든다는 회사들의 높은 가치평가는 납득하기 어려움, 만약 Devin 같이 성공하는 제품이 있다면 누구든 곧바로 경쟁 제품을 만들 수 있어서 진입장벽(모트)이 전혀 없는 구조임, 결국 또다른 LLM 래퍼 SaaS일 뿐이라는 회의적 관점임
- 이런 유형의 회사들은 '하우스 오브 카드'가 무너지기 전에 재빨리 인수되는 걸 노리는 경향이 있음, 과도한 FOMO로 인해 인수대전이 벌어지고 있는데 기술은 아직 목표에 한참 못 미침, 진짜 AGI가 나온다면 누구든 소규모 자본으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업을 세울 수 있을 것임
- 반면, 진짜 성공하는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굉장히 복잡한 아키텍처와 혁신적 연구의 결과일 수 있다고 봄, 단순히 엔지니어를 많이 고용해서 똑같이 만들기는 어렵고, 시간과 노력, 최정상급 인력을 필요로 함, Devin은 엔지니어링 파워를 10배 키워줄 수는 있지만 '최정상급' 수준을 담보하지는 않음
-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런 얘기가 생각보다 잘 언급되지 않아 놀람, 정말 획기적인 AI라면 스스로를 다시 구현할 수 있을 것이고, 그렇다면 AI 회사들은 자기 자신을 스스로 잠식하는 구조가 될 것임
- 이미 이런 약속을 하는 도구가 넘쳐나고 있음, 실제로 프로젝트 완성과 시장 출시가 여전히 쉽지 않음을 경험으로 강조함
- 마케팅 문구를 너무 과하게 믿고 성급하게 무시하지는 말라고 조언함, 그런 태도는 좋은 투자 기회와 스타트업을 놓칠 위험이 있고, 거꾸로 본인을 허위적 안도감에 빠뜨릴 수 있음
- 처음엔 "Cognition"이 뭔지 몰랐는데 Devin 만든 회사라는 사실을 알고 납득함, 결국 경쟁사를 그냥 사는 셈이고, 의외인 점은 이런 기업들이 대기업보다 더 돈을 많이 쓸 수 있다는 부분임
- Google도 Windsurf 기술 라이선스에 $25억을 투자했으니, Cognition 쪽은 그것에 비하면 훨씬 적은 금액(남은 인력 등)을 썼을 것임
- Windsurf의 실제 매각가는 원래 논의보다 크게 낮췄을 가능성이 높음, $0로 가라는 예측도 있었고, 경영진 이탈 후 가치가 거의(예전만큼) 유지되지 못했다는 해석
- 대부분 사람들이 회사명보다 그 악명 높은 첫 제품 혹평만 기억한다는 점이 좀 웃김
- Devin이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슬로건으로 내세운 최초의 회사였던 것으로 기억함
- "돈을 더 많이 썼다"라는 건 실제로는 소액에 Cognition 주식을 많이 얹어주는 구조일 수도 있음
- 이런 거래들에 대해 부분적 정보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배운 계기라 생각함, Google, Windsurf, Cognition 팀이 발표 전까지 완전히 보안을 지켜서 놀랍고, 이런 과정만 봐도 OpenAI 같은 기업도 참고할 게 많다고 봄, 다만 결국 외부인으로서 모든 세부를 알 수 없다는 점, 최근 수일간 Windsurf 창업자가 직원들에게 피해를 줬다거나, OpenAI가 계약을 어겼다는 식의 논란이 불필요하게 과장되어 안타까움, 이번 건은 모두가 비교적 해피엔딩으로 끝난 듯해서 Windsurf팀에 축하를 보냄
- "Windsurf 직원들도 모두 딜에 재정적으로 참여한다"는 발표 내용 외에, 구체적인 형태가 명확히 안 나왔으니 '직원들이 손해를 봤다/안 봤다'는 단언이 불가능함, 팩트에 기반한 논의가 중요함
- 내 생각이 맞다면 이번 딜은 직원들 입장에서 기존 Google식 인수(스톡 가속, 일반주 전환)에 비해 상당히 안 좋은 조건일 것 같음, Cognition의 보상은 명목상 평가액도 낮고 현금 아닌 비상장(과대평가된) 주식일 것으로 추정함
- 마치 창업진이 Cognition으로의 인수를 계획적으로 설계했다는 뉘앙스처럼 들리는데, 실제로는 전혀 아니었음, 창업진이 떠난 뒤 남은 경영진이 주말에 판매 협상으로 마무리한 것임
- OpenAI가 Windsurf 인수를 공식 발표한 적이 있는지 의문임, 대부분 루머나 리크 정보였고, 공식 인수 발표는 없었다고 보임, Bloomberg가 오보를 냈을 가능성까지 지적함
- "모든 딜을 완전히 보안에 부치고 발표한 점에 Kudos!" 같은 평가는 너무 과하게 감정이 실린 해석임, 단순한 사실도 쉽게 예측 가능한 사안이었음
- 요약하면 Google이 인재를 데려가고 Devin이 브랜드/제품을 가져간 것 같은데, 굉장히 혼란스러운 거래임
- Windsurf보다 좋은 옵션이 많으니 굳이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함
- 인재는 Devin에 그대로 남아있고, Google은 CEO만 가져간 셈임, 왜 CEO가 필요했는지 모르겠고 혹시 Pichai가 조기 은퇴라도 노리는 것 아니냐는 농담
- Windsurf는 이제 인수계의 'soham parekh'처럼 느껴짐, Windsurf를 인수하지 않은 회사가 남아 있긴 한지 궁금해짐
- Google의 유사 인수 이후 남은 '껍데기' 회사만 사는 건지, 아니면 그 딜이 아예 취소된 건지 불명확함, Google 딜에 일반주주도 보상이 없었다는 의미인지도 궁금하고, 궁금증만 점점 더 많아짐
- Windsurf 창업진은 이미 Google에 합류함
- Google이 Windsurf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24억 달러의 라이선스를 누구에게 어떤 목적으로 지불하는지, Windsurf에 과연 제대로 된 기술이 있는지 의문임
- Windsurf 팬덤으로 Hacker News에 있으면서 좀 소수파나 비정상 느낌을 받을 때가 있음, 대화의 초점이 거의 Cursor나 최근엔 Claude Code 중심이기 때문임, 또 최근엔 'Ross와 Rachel의 인수'같이 셋이나 되는 이상한 스토리라인이 이어져서 혼란스러움, 주요 소회는 Devin/Cognition이 드디어 진짜 AI dev 에이전트를 갖게 된 것, Google은 베스트 자산 없이도 그만한 가치를 인정하고 베팅한 점이 놀랍고, Windsurf가 결국 사라지거나 약화(B2B 요금제 등)되지 않을까 미리 걱정된다는 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