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P by baeba 2달전 | ★ favorite | 댓글 4개

"소수의 과잉 사용자, 인터넷을 왜곡하다"**

  • 인터넷의 독성은 소수 과잉 사용자의 활동 때문
  • 플랫폼 알고리즘이 과격 콘텐츠를 증폭
  • 대다수 사용자는 조용히 존재하지만 왜곡된 현실을 경험
  • 피드 조절만으로도 감정적 거리감 완화 가능

서론: 현실과 온라인의 괴리

  • 일상은 평온하지만, 소셜미디어는 분노와 혼란으로 가득 차 있음
  • 사소한 일조차 과장되며 극단적으로 다뤄지는 현상 존재
  • 연구 결과,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닌 극소수 사용자 때문임

본론

1. 소수 사용자의 과잉 활동이 여론을 주도

  • 상위 10% 사용자가 정치 관련 트윗의 97%를 생성
  • 백신 허위정보의 경우 12개 계정이 대부분 퍼트림
  • 0.1% 사용자가 가짜뉴스의 80%를 공유

2. 알고리즘이 극단성을 증폭

  • 소셜미디어는 사실의 반영이 아닌 왜곡된 ‘왜곡거울’ 역할
  • 플랫폼은 사용자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분열적 콘텐츠를 우선 노출
  • 그 결과 일반 사용자들도 과장된 발언을 하도록 유도됨

3. 사회 인식 왜곡과 그 결과

  • 사람들은 사회가 실제보다 훨씬 더 분열되었다고 인식
  • 이로 인해 플루럴리즘 무지(pluralistic ignorance)가 발생
  • 결국 잘못된 사회 규범 인식으로 개인의 행동도 변화

4. 해결 가능성: 사용자의 선택과 알고리즘 개편

  • 사용자가 과격 계정을 언팔하면 감정적 분열이 완화됨
  • 실험 결과, 정치적 적대감이 23% 감소
  • 플랫폼이 과격 콘텐츠 대신 중립적 콘텐츠를 강조하면 구조 개선 가능

결론: 건강한 디지털 환경은 가능하다

  • 소셜미디어의 독성은 일부 사용자와 시스템 구조의 결과
  • 사용자는 피드 구성과 정보 소비 태도를 바꿈으로써 통제력을 회복 가능
  • 플랫폼도 알고리즘 조정으로 대표성 있는 콘텐츠를 제공해야 함
  • 인터넷은 도구이며, 우리가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핵심임

사용자보다 더 큰 문제는 특정 정당이랑 편먹은 언론SNS나 유튜브에 댓글달면 득달같이 달라붙는 AI봇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굉장히 공감되는 내용이네요. SNS도 끊었고, 유튜브 댓글도 이제는 거의 안보게 되었어요.

유튜브 댓글에서 시비 걸고 싸움 여는 사용자들이 정말 많아서 보기가 피곤할 지경이던데 특정 사용자 차단(블락) 기능이 있으면 좋겠어요. 또 이거랑 별개로 AI가 작성하는 스팸 댓글들도 진짜 많던데 조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선 vanced 쓰시면 댓글 UI 없애실 수 있는데 추천드려요
웹브라우저에선 Improve Youtube나 Adguard 같은걸로 없애는거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