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GeekNews!

저는 공공임대주택에 최근에 입주하게 되었는데요,
대기자 번호를 받고 기약 없이 기다려야만 하는 상황이 불편하여
아파트의 계약 현황을 직접 파악해 입주 시기를 예측해볼 수 있는 간단한 대시보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 API를 이용해 특정 아파트의 공개된 신규·갱신 계약 데이터를 매일 가져옵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 월별, 평형별 계약 체결 건수 (신규·갱신)
  • 계약 만료일이 다가오는 세대 규모
  • 최근 4년간 계약 현황

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예비 입주자에게 가장 궁금한 건 그래서 이번 달에 사람이 몇 명 빠지는지 이니까요.
또 2년 단위로 다가오는 계약 주기를 통해 예비 번호가 많이 빠질 시기를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Bolt.new + Supabase 조합으로 개발을 진행하였습니다.
개발자가 아니고 첫 서비스라 부족한 점이 많으니 언제든지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순서를 기다리며 담당자에게 수시로 전화를 하고 예비 입주자 단톡방을 기웃거리는 게 아니라,
투명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황을 직접 파악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와 비슷한 답답함을 느끼셨을 공공임대주택 예비 입주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송파구랑 강동구의 동명 목록이 바뀌었네요; 그리고 동명까지 다 선택해야 아파트 목록이 나와서 일일이 다 찾아보기 힘듭니다. 구만 선택해도 구 내의 아파트 목록을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아랫분 말씀대로 공공임대아파트만 필터링 해서 어느 정도 길이 목록이 나오는지 본다면 구만 선택해도 아파트 목록이 나오도록 수정해보겠습니다

서초구를 선택했는데 노량진동 봉천동이 나와서 세번이나 다시 선택해봤습니다. 이러면 시군구명 선택하는 의미가 없지 않나요? 노량진동은 동작구, 봉천동은 관악구의 하위 행정구역입니다. 실제로 사용이 가능한 서비스가 맞는지, 제대로 동작하는 서비스가 맞는지 의문이 듭니다

수정되었습니다

제가 법정동코드를 직접 테이블에 넣을 때에는 인지하지 못했는데 법정동코드가 폐지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이제 알게 되었습니다. 최신 버전의 코드 목록으로 업데이트 하고 수정해보겠습니다!

관악구 눌러도 노량진이 나와요 AI로 만드셨나봐요..

공공임대주택의 입주자 계약현황이 맞나요?
공공임대아파트가 아닌 모든 아파트에 대한 데이터가 나오는것 같아서요

일단 모바일에서는 사용이 많이 힘들군요

드롭다운에서 검색 위주로 변경하였습니다

PC 기준으로 빠르게 만들다보니 모바일에서는 드롭다운 메뉴 등에 있어서 개선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시군구처럼 아이템이 너무 많을 때 어떻게 할지 고민 중이고요

혹시 바이브코딩으로 만들어진건지 궁금합니다!

네! Bolt에 프롬프트를 전달해서 화면 UI와 구조를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