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N100 또는 N150은 Raspberry Pi보다 더 나은 가성비를 제공하는가?
(jeffgeerling.com)- 인텔 N100/N150 기반 미니 PC와 Raspberry Pi 5를 직접 비교한 결과, 성능은 N100 계열이 더 앞섬
- 미니 PC는 동일 구성 시 Pi 5보다 가격이 비슷하거나 높으며, 중고 미니 PC는 가격 경쟁력이 높음
- 전력 효율성에서는 Raspberry Pi 5가 Idle 시 더 뛰어난 성능을 보임
- 확장성과 호환성 면에서 인텔 미니 PC가 더 자유로우며, Windows 등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이 장점임
- 최종적으로 용도에 따라 무엇이 더 가치 있는 선택인지 상황에 따라 다름 결론임
개요
이 콘텐츠는 인텔 N100 및 N150 기반 미니 PC와 Raspberry Pi 5를 성능, 가격, 전력 효율성, 호환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는 내용임. 다양한 실제 벤치마크와 부품 구성을 기준으로 양쪽의 장단점을 정리함.
N100 기반 미니 PC의 스펙 및 성능 비교
- 인텔 N100 또는 N150 SoC는 여러 제조사에서 다양한 RAM, IO, 쿨링 방식 등과 결합해 출시하는 형태임
- 동일 N100 칩셋이라도 DDR4와 DDR5 RAM, 쿨링 수준이 다르면 실제 사용 경험이 크게 달라짐
- DDR4 기반 저가형 NucBox G3 미니 PC도 Raspberry Pi 5를 원시 성능에서 상회함. 벤치마크에 따라 1.5~2배 빠름 결과임
- 예시로 High Performance Linpack 벤치마크에서 N150이 Pi 5 대비 거의 2배의 성능을 기록함
- 하지만 전력 효율성(작업량 대비 소비전력) 은 Pi 5가 N150보다 더 높음. 인텔 N150이 최신 10nm 공정임에도 Pi 5의 ARM 칩 대비 효율이 낮은 현상이 존재함
- 즉, 단순히 공정(나노미터) 첨단화 ≠ 무조건 더 나은 효율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함
- 아키텍처, 피처 셋, 칩 디자인의 중요성이 여전히 큼
- 모든 세부 벤치마크 및 테스트 과정은 SBC Reviews에서 확인 가능함
중고 미니 PC의 가격 경쟁력
- 중고 Tiny/Mini/Micro PC는 신제품 Raspberry Pi 5보다 저렴하며, 신품 Tiny PC보다도 저렴한 경향임
- 사무실/병원 등에서 임대되었던 3~5년 전 모델이 다수 eBay 등에서 유통되고 있음
- 7세대, 8세대 인텔 CPU가 탑재된 중고 Lenovo Tiny PC는 Idle 시 소비전력은 다소 높지만, 홈랩이나 경량 데스크톱 용도로 가성비가 우수함
- 대체로 확장성이 더 뛰어나 대부분의 미니 PC 및 Pi 대비 다양한 옵션 제공함
- 단, 중고는 신품과 다르고, 중고 가격을 기준으로 Tiny PC가 Pi 5보다 싸다고 단정할 수 없음
- 새로운 Pi 5 16GB (NVMe HAT, SSD 512GB, 쿨러, RTC 배터리, 전원 어댑터, 케이스) 기준, 총 시스템 가격은 약 $208임. 이는 동일 사양의 신품 GMKtec NucBox G3 Plus와 비슷한 수준임
- $60~80 가격대의 Tiny PC 신제품은 Pi 5 (2GB)와의 직접 비교가 불가함. Radxa X4 등 x86 대체보드는 Pi 5와 구성에 따른 가격이 유사하게 형성됨
선택 시 고려사항 및 용도 차이
- 가성비 평가는 경우에 따라 다름
- Pi 5는 크기가 훨씬 컴팩트하고, Idle 시 전력 효율성이 약간 더 높음
- 인텔 기반 미니 PC는 데스크톱 용도에서 성능 및 소프트웨어 호환성, Windows 지원 등에서 우위임
- Pi 5는 PoE 전원으로 한 번에 네트워크 케이블과 전원을 해결 가능하므로, 원격, 배터리, 태양광 등 특수 환경에서 강점임
- 미니 PC는 다양한 OS 및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보다 높은 호환성을 제공함
- Idle/최대 전력소비 차이는 연간 $10~20 수준임. 특별히 제약된 환경(PoE, 태양광, 오프그리드)이 아니라면 큰 차이가 아닌 금액임
- "어떤 것이 더 싸다" 한 마디로 결론짓기는 어려움. 각각의 용도와 필요에 따라 최적의 선택이 달라짐
기타 참고 사항
- 리뷰용 NucBox G3 Plus는 GMKtec에서 Amazon을 통해 직배송된 고객 공급분과 동일한 제품임
- 테스트 중 동봉된 전원 어댑터가 불량(0.14V 출력)이라 기존 NucBox G3의 어댑터로 대체함
- NucBox G3의 팬 커넥터가 Raspberry Pi 5용 JST와 동일 규격임. SBC 외에서 드문 사례임
- DDR5 SO-DIMM과 DDR4 SO-DIMM은 서로 호환되지 않음. 주요 원인: DDR5 RAM의 ECC 회로, 동일하게 SO-DIMM에도 적용됨
- Ubuntu 24.04에서 N150 SoC의 iGPU 지원을 위해 커널 6.12로 업데이트 필요. Mainline Kernels 툴 활용함
Hacker News 의견
-
N100이 정말 가성비가 좋고, 뭔가 간단한 서버, plex/jellyfin, 셀프호스팅 프로젝트 같은 데서 라즈베리파이보다 훨씬 잘 써지는 느낌임. 내 N100은 주로 Jellyfin 서버랑 토렌트 다운로더로 윈도우에서 돌리고 있고, SSD 두 개 넣어서 2년간 문제 없이 사용 중임. 리눅스에서의 성능은 잘 모르지만, Pi를 많이 썼던 입장에선 비슷한 조건에서 가격과 편의성 모두 훨씬 낫다는 평가임
-
솔직히 예전엔 이런 분위기가 아니었음. 한때는 꽤 상위급의 라즈베리파이 모델도 30달러 미만에 살 수 있었고, 그때가 취미로 이것저것 하던 내 전성기였음. 집에는 그때 산 Pi들이 아직도 돌아다님. 그런데 요즘은 안 샀음. 처음엔 쓸데없는 기능이 늘더니, 팬데믹에 공급망 문제, 인플레이션, IPO까지... 라즈베리파이가 사람들에게 기술 경험을 열어준 귀중한 가치를 준 건 맞지만, 중간에 뭔가 방향성을 잃은 느낌임. N100을 보니 진짜 오랜만에 뭔가 만들어보고 싶은 욕구가 살아남. 옛날처럼 순수한 느낌은 덜하지만 실용성은 끝내줌
-
GPIO가 필요해도 상황에 따라서 USB GPIO 보드만 쓰면 됨
Adafruit USB GPIO 보드 참고 -
사실 라즈베리파이는 잠깐 동안만 돈값 했던 것 같음. 결국 그 시간 내내 생태계와 여기가 제일 인기 많은 플랫폼이었다는 점이 핵심임. 어느 하드웨어 라이브러리든 이 하드웨어, 이 OS에서 누군가는 이미 테스트 해봤다는 게 강점임. 하드웨어 디버깅이 진짜 고통인데 내 시스템 핀이 Pi랑 다를까봐 삽질하는 상황은 피하고 싶음
-
N100 미니 PC는 맞춤형 OS나 패키지 걱정 안 해도 돼서 훨씬 편리함. 난 개발자도 아니고 쉽게 리눅스 서버만 돌리고 싶었는데, SBC에 맞는 커스텀 OS 설치로 고생만 하다가 x86/x64용 일반 리눅스 배포판을 바로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상쾌했음
-
RAM 요구사항이 적으면 RPi는 여전히 괜찮음, 특히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 지원 품질까지 감안하면 말임. 전력 소모가 진짜 중요해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커버 안될 때엔 RPi가 가장 손쉬운 선택지임. 근데 그 외엔, GPIO조차 RPi가 공급 부족할 때 STM32 개발보드를 USB로 NUC나 낡은 PC에 연결해서 잘 썼었음. 나는 평소에 ESP8266이나 ESP32를 더 자주 선호함. 대역폭과 레이턴시가 내 용도엔 충분했고, 특수 로봇 분야 말고는 보통 이렇게 해도 문제 없는 수준임. 그래도 CSI 포트는 RPi만의 매력 포인트임. 대체제가 별로 없음
-
-
올해 NAS를 직접 만들었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비용 최적화였고, 전력 효율은 크게 신경 안 씀. 소비전력 생각해서 RPI 5나 raxda 5c를 처음엔 고려함. RPI 5, raxda 5c 기준으로 대기전력 3W, 최대 12W쯤이고, N100 미니PC는 대기 9W, 최대 24W 정도로 조사함.
근데 HDD 소비전력을 보니까, 4개 디스크만으로도 대기 10~14W, 작동 시 16~20W가 들어가서, ARM 컴퓨터의 낮은 소비전력만으로 차별점이 사라짐.
AliExpress에서 N100 미니PC가 120유로(16GB RAM, 512GB SSD)라 가격 메리트도 컸음. 드라이브, 케이스, 파워 포함 안 된 RPI5 16GB RAM이나 raxda 5C 16GB 대비 훨씬 저렴했음. 결국 더 싸고 소비전력 크게 차이 없는 미니PC로 선택함. 다만 확장카드(최대 5개 HDD연결) 사용 가능성은 포기해야 했지만 4포트 USB HDD 독으로 내게는 충분함-
N100 대기 9W는 수상한 수치라고 생각함. 내 i5-6500T 서버는 현재 대기전력이 5W도 안 나옴. N100이 더 효율적이어야 함
-
PCIe 카드 사용 가능성 진짜 플러스임. RaidZ2 어레이가 1Gb 링크 포화도 거뜬히 가능하고, 저렴한 10Gb SFP+ 카드 활용도 가능. (다만 전력 신경쓰면 인텔 x710같은 신형 추천)
-
좀 더 안전한 선택 원하면 ASRock Industrial 미니PC 추천. 나는 AliExpress N150(수동쿨링)도 잘 썼지만 Arrow Lake-H 플랫폼이 더 눈에 들어와서 NUC BOX-225H로 넘어감, Opnsense 용도론 좀 오버스펙이지만 만족 중임
ASRock Industrial 제품군
Arrow Lake-H : 최대 28 PCIe 레인, N150은 9개. NIC 2개+여러 NVMe 필요하면 더 고민해볼 포인트임 -
내 엔터프라이즈 미니PC(i9, 64GB RAM, 1 NVMe) 대기전력은 약 2W임. tasmota 스마트 플러그로 측정했고, 거의 정확한 값. HP MicroServer Gen8(Xeon 20W, 디스크 4개)는 대기 약 21W. 이것도 스마트 플러그 기준임
HP MicroServer Gen8 Xeon 정보 -
미국 유저라면, 16GB/512 N150 모델이 몇 주마다 아마존에서 130달러에 세일함
-
-
저렴한 x86_64 솔루션이 PPPITA(삽질 대비 성능) 측면에서 ARM을 압도함. 라즈베리파이의 소프트웨어 생태계 메리트도 x86이 끼어들자마자 의미 없음. 그 대신 주말 내내 삽질하며 compile하는 재미도 사라졌다는 점은 아쉬움
Raspberry Pi, Orange Pi, Banana Pi 뭐든 보드랑 액세서리 다 사면 100달러 근처임. 딱 뭔가 작고 저전력 실리콘이 필요하면 N100/N150이 뻔한 선택임-
이 얘기 정확히 뭔지 잘 모르겠음.
N150 아마존 검색
라즈베리파이5 아마존 검색
결국 라즈베리파이가 느리다는 얘기인지? 딱히 절감되는 포인트가 뭔지 설명이 명확하진 않음 -
요즘 arm과 x86 생태계에 차이 거의 없다는 입장임. 그냥 빌드 플래그 하나 주면 끝임. 삽질은 사실 자기 탓임
악세서리, 플러그 등 라즈베리파이 시작하려면 드는 추가 비용은 확실히 인정함
-
-
개인적으로 하드웨어 GPIO 헤더나 아주 저전력이 꼭 필요하지 않으면, 그냥 미니PC가 범용 연산엔 훨씬 나음
-
나도 대체로 동의함. 요즘은 Pi Zero야말로 진짜 제품 같음. 일반 Pi는 내 생각에 너무 비싸고 성능도 굳이 저 정도일 필요가 없음. Zero가 오히려 라즈베리파이의 원래 취지와 맞다고 봄
-
기사에서 보여주듯, 전력 소모도 요즘은 애매해짐. 같은 일 처리 속도 따지면, 인텔 미니PC 쪽이 미세공정 덕분에 더 적은 전력으로 일을 더 빨리 끝냄. 유휴 전력이 정말 중요한 케이스 일부라면 RPi가 여전히 나을 수도 있지만, 요즘엔 파이도 꼭 전력에서 압도적 장점은 아님
그래도 GPIO랑 커뮤니티는 여전히 탁월한 포인트임. 이제 라즈베리파이로 '집에 싸게 서버 만들기' 시대는 인텔/AMD가 ARM을 따라잡으면서 끝난 느낌 -
Pi 5도 최대 부하 시 진짜 저전력이라고 할 수 없고, 최근 몇 년간의 x86 SBC들에 비해 속도도 많이 느림
N100 + RP2350/2040 동시 탑재해서 GPIO 해결하는 SBC도 최소 두 개 있고, 네이티브 GPIO 달린 제품도 있음. 나는 Radxa X4 쓰고 Arch 완전 잘 돌아감 (아쉬운 점은 쿨러나 케이스, 그리고 Pi B 폼팩터임)
-
-
일부분의 산업용 Atom N150 보드는 GPIO, SATA, M.2, TPM 등도 지원하고, TXT/DRTM BIOS로 Windows IoT와 향후 Linux에 대응함
트리키하지만 N150 기반 NAS 폼팩터도 있음
BIOS 업데이트는 랜덤 OEM이라 믿을 수 없고, coreboot가 더 많은 N150 장치 지원했으면 좋겠음
관련 N150 소식
N150 NAS 소식 -
두 보드가 정말 같은 분야/등급인지 궁금함
난 라즈베리파이는 소소한 취미로만 씀
-
RPi Pico : PicoBalloon에 담아서 세계 일주
-
NOAA 기상 위성 이미지 디코딩해서 구글 드라이브에 저장
-
AIS 메시지 디코더/트래커 24시간 운영
-
ADS-B, MLAT 수신기 24시간 운영
-
RetroPie 세팅
-
OctoPrint 프린터 관리
이런 분야는 인텔 NUC 스타일 컴퓨터로 대체할 것 같진 않음-
인텔 N150 + GPIO 조합도 신용카드 크기 폼팩터로 가능함
관련 제품 기사 -
Pico만 빼면, 사실 나머진 다 미니PC로도 구현 가능함
Pi의 저수준 IO가 필요하면 대체 불가지만, 실제로 경쟁 상황에 놓이는 경우도 많음 -
왜 NUC 스타일 컴퓨터로 대체 안 하는지 설명해줄 수 있겠는지 궁금함
-
N100이 Pi보다 충분히 고성능인 건 맞는데, 그래도 대체가 안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궁금함
Pi Pico는 완전 별개로 논외라고 생각함. 여기서도 마이크로컨트롤러까지 PC로 교체하자는 건 아무도 얘기 안 하는 것 같음
-
-
두 제품 모두 좋다고 생각함. 결국에는 필요와 요구조건에 따라 다름
예를 들어, 나는 Pi-Hole용으로 RPi를 씁니다. 저전력, 단일 목적으론 이만한 게 없음. 또 firewall(PfSense)은 미니PC로 운용 중인데, VPN 쓸 때 스루풋이 중요해서임. 각 작업, 저장소/메모리, 처리량 등 과제별로 선택함-
DNS 서버를 똑같이 미니PC에 설치하면 안 될 이유가 있을까? 그게 오히려 최적인 것 같은데
파이제로에 PiHole 돌리는데, 미니PC와는 비교 자체가 안 될 정도로 자원 적게 씀. 이제 대부분 라우터가 DNS 필터링 제공하지 않는 게 오히려 신기함 -
pfSense, OPNsense 둘 다 ARM 등 비 x86 시스템에선 아예 구동 불가임
-
-
N100에 32GB 메모리까지 꽂을 수 있고, 형편없는 SD 카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아직도 라즈베리파이 생태계는 특별한 호환성이나 니치 분야에선 의미 있지만, 전반적으론 가성비가 예전만 못하고 4세대 이후로는 더욱 그렇다고 느낌-
나는 이미 오래전에 SD카드에서 벗어났음
Pi 플랫폼에서 경험한 거의 유일한 불안정 원인이 SD카드였는데, 이제는 SSD나 HDD를 USB로 붙여 부팅할 수 있음 -
이게 무슨 메모리 장난감이냐고. 48GB 스틱도 넣을 수 있음. 가격 프리미엄은 세지만, 내 주머니 메인프레임을 꽉 채워 쓰는 것도 괜찮은 욕망임
-
-
개인 블로그-영상 동시 제공 포맷 정말 마음에 듬. 이런 사이트 더 많아졌으면 함
-
내 블로그는 사실상 개인 메모장 역할이라, 구글이나 DuckDuckGo로 검색 잘 되게 만든 용도임. 월 10~15시간 정도 투자해서 영상 발행 후 완전 새로 쓰거나, 영상 대본에서 블로그용으로 직접 정리하는데, 아마존 어필리에이트로 월 100~200달러 벌리고 있음. 결코 작은 돈은 아니지만, 그 정도로 생활이 크게 바뀌진 않음.
솔직히 대부분 영상 크리에이터들이 블로그까지 정성껏 안 쓰는 이유가 수익 구조 때문임. 개인적으로는 영상보다 글이 더 좋음 -
Skatterbencher가 이런 방식(영상+글)으로 운영함을 최근 알게 됨. 진짜 좋은 방식임. 필요할 때마다 영상 다시 돌리지 않고 글 콘텐츠로 바로 참고할 수 있음
-
"tl;dr:"로 요점부터 시작하는 것도 마음에 듬. 바로 핵심 파악 가능함
-
-
GMKtec PC 구매할 때는 주의 필요함. 모든 드라이버를 무료 Google Drive에만 올려둠. 만약 나중에 재설치가 필요한데 GDrive 용량 초과로 한 달 넘게 다운로드가 막히기도 함. 다른 미러도 없어서 운 없으면 몇 주간 해결 안 됨
-
이럴 땐 자기 구글 드라이브로 복사해서 받아야 함. 이렇게 하면 내 할당량으로 다운로드됨
-
윈도우 드라이버 말하는 건지 궁금함
-
커뮤니티 드라이버를 Github나 archive.org에 누적 백업해둘 수 있지 않을까 싶음
-
요즘 Hacker News에서 본 것 중 제일 황당한 이슈임. 원래 Pi4 대체로 N100을 알아보고 있었는데, 좀 더 알아봐야 할 듯
-
-
Pi의 40핀 GPIO 헤더 같은 기능이 꼭 필요하거나 혹은 극저전력만 필요한 게 아니라면, 범용 연산엔 미니PC가 훨씬 나은 선택임
-
RPi Zero야말로 지금 가장 본질에 가까운 제품이라는 평가함. 기존 Pi는 너무 고가이고 필요 이상으로 강력함
-
아티클에서 지적하듯 파이의 소비 전력 이점도 점점 사라지는 중임. GPIO와 커뮤니티는 파이의 남은 강점이지만, 집에서 싸게 서버 돌리는 시대는 인텔, AMD가 ARM 따라오면서 거의 끝물로 본다는 의견임
-
Pi 5는 고부하 시 전력 소모도 그리 낮지 않으면서, 최근 x86 SBC 대비 속도도 떨어짐. N100과 RP2040을 함께 넣은 보드도 몇 개 있고, Radxa X4도 Arch 잘 돌아가지만 쿨러/케이스 등은 좀 아쉬움
-
산업용 Atom N150 보드는 GPIO, SATA, M.2, discrete TPM, TXT/DRTM BIOS 등 다양하게 지원
form factor나 BIOS 업데이트는 랜덤이지만, coreboot 지원이 확대되면 좋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