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해에서 주요 해류 순환의 역전 현상 감지
(icm.csic.es)- ICM-CSIC의 위성 데이터 알고리듬을 통해 남반구 해류 변화가 최초로 감지됨
- 남극해의 순환 역전은 표면염분 상승 및 해수의 수직 흐름 변동으로 판단됨
- 이러한 변화로 온실가스(CO₂) 와 열이 대기에 방출되어 해빙 융해 가속 현상 발생함
- 기술적 혁신으로 극지방 표면 염분 데이터를 새롭게 확보함
- SMOC 변화가 지구 기후 시스템 전체에 파급 효과를 미칠 가능성 있음
연구 개요
- ICM-CSIC에서 개발한 위성 데이터 처리 알고리듬이 남반구 거대 해류 변화 감지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밝혀짐
- 지구 관측 위성 덕분에 국제 연구진이 남극해 해류 역전 현상을 최초로 포착함
- National Oceanographic Center(영국) 주도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PNAS에 게재되었으며, ICM-CSIC의 SO-FRESH 프로젝트(유럽우주국 지원) 하에 수행됨
주요 발견 및 현상 설명
- 2016년 이후 남극해 폴라-서브폴라 순환지대에서 표면 염분의 장기적 증가가 지속적으로 관측됨
- 이 수분 조성 변화로 남반구의 심층 순환(SMOC) 경로가 변화하며 역전 현상이 발생함
- 즉, 원래는 표면수가 심층으로 침강했으나, 최근에는 심층의 따뜻한 물과 이산화탄소가 표면으로 상승 전환됨
- 이로 인해 해양에 수세기 동안 갇혀 있던 열과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방출되기 시작함
파급 효과 및 우려
- 연구팀에 따르면, 심층 온난수 및 CO₂ 유출로 남극해 해빙 손실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남
- 장기적으로 심층 저장 탄소 방출로 대기 중 CO₂ 농도가 현 수준의 두 배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제시됨
- 이는 글로벌 기후에 심각한 파국적 결과를 야기할 위험을 내포함
기술 혁신 및 데이터 획득
- 극저온과 해빙 변화가 빈번한 남극해는 기존 위성 관측에 어려움이 있었음
- ICM-CSIC 산하 Barcelona Expert Center(BEC) 팀은 유럽 SMOS 위성을 위한 신규 데이터 프로세서를 개발함
- 이 프로세서는 극지방의 지리적·기후적 변동성에 특화된 설계임
- 덕분에 남극해 표면 염분 데이터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어 빠른 해빙 손실 원인에 대한 일관된 설명이 가능해짐
기후 시스템 내 남극해 역할 재정의
- 이번 연구로 남극해(SMOC) 의 역할이 지구 열 및 탄소 조절에서 매우 핵심적임이 부각됨
- SMOC의 변화는 AMOC 등 다른 해양 순환 시스템에도 연쇄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시사
- 유럽 및 타지역 기후 변동성에도 영향을 확장할 수 있음
미래 관측·연구 추진
- BEC는 ESA 지원으로 2025년 ARCTIC-FLOW(북극 해수 및 밀도 흐름 연구), CCI OSHF(해수면 열 플럭스 분석) 등 신규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임
- 두 프로젝트 모두 가속화되는 기후변화 모니터링 및 예측에 핵심적인 위성 기반 신규 관측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결론 및 시사점
- "지구는 점차 임계점을 넘는 강한 신호를 보내고 있음"이라고 연구진은 평가함
- 위성 등 첨단 관측 기술 덕분에 평소 접근이 어려운 남극해에서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변화 포착이 가능해진 상황임
Hacker News 의견
-
남극 남쪽의 심해 분출공은 실제 존재하지만 크기가 작고 연간 수치도 몇 억 톤(Pg C yr⁻¹) 정도임을 설명함 대기 중 CO₂가 두 배로 증가할 수 있다는 주장은 실제 관측값과 물리적 한계를 크게 과장한 주장임을 지적함 남위 60도 이남의 심해의 CO₂ 유출에 대한 최고로 낙관적인 추정도 연간 0.36 Pg C 수준임을 강조함 이 속도가 3배가 되어도 895 Pg C를 추가하는 데 800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언론 보도 자료의 주장은 근거가 없음을 밝힘 염분 역전 현상으로 인해 빙붕이 더 따뜻한 아랫물에 노출되고, 남대양의 탄소 흡수 능력이 조금 줄어들며, 대기 순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설명함
-
본문과 PNAS 논문(https://www.pnas.org/doi/10.1073/pnas.2500440122)를 확인함 남극 심해 분출공 언급은 논점에서 벗어난 내용임을 강조하며, 실제로 논쟁거리는 남대양에서 CO₂가 풍부한 찬 물이 상승하는 현상임을 설명함 기사 요약문은 CO₂ 연결고리를 만들지만, 실제 PNAS 논문에서는 CO₂ 자체 언급이 없고 해수 용승에 중점을 둠 또, 현재의 빙하/해양 상호작용 모델이 관측 추세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도 논문에서 지적함
-
"Pg C yr⁻¹"이 "페타그램 탄소/연"이라는 의미가 맞는지, 그리고 "C"의 질량과 "CO2" 질량 간의 차이가 궁금함을 질문함
-
남극 남쪽에 심해 분출공이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는지 궁금함 지도를 찾아봤지만 남극 남쪽에는 아무 것도 없다고 느낌을 전함
-
특정 서브스레드에 달렸던 댓글이지만, 내용이 좋아 따로 떨어트린다는 맥락임
-
이런 선정적인 제목들이 자주 등장하며, 기후 과학의 중요한 논의가 혼란에 빠진다는 점을 지적함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자극적인 보도가 불필요한 공포심을 유도하고, 그 틈을 부정론자들이 이용해 신뢰를 깎는다는 두 가지 문제를 강조함 이런 연구들은 결국 기후변화가 더 심해지고, CO₂를 증폭시키는 피드백 루프가 나타남을 보인다는 점을 놓치지 말아야 함을 말함
-
-
기사에서 말하는 '심해가 더 따뜻해졌다'는 주장이 의아함 일반적으로 심해는 차갑고 표면이 더 뜨겁지 않냐는 궁금증을 가짐 (https://en.wikipedia.org/wiki/Upwelling) 2023년 연구(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3/03/230330102327.htm)에서 남극 해류 순환이 느려지는 현상을 관측함 남극에서 차가운 물이 가라앉아 북쪽 심해로 퍼져나가는데, 이 과정이 느려지면 심해가 더 따뜻해질 수 있음을 정리함 기사에 링크된 논문(https://www.pnas.org/doi/epub/10.1073/pnas.2500440122)을 인용해, 남극 해양 표면에 차갑고 신선한 물, 그 아래에는 더 따뜻하고 염분이 높은 물이 있는데, 최근 수십 년의 변화로 심해의 열이 깊은 곳에 갇히다가 2015년 이후 표층 염분이 오르고 혼합이 다시 일어나는 경향을 설명함
-
심해수가 더 따뜻해지는 것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링크를 공유함 (https://en.m.wikipedia.org/wiki/Circumpolar_deep_water)
-
심해에 '열이 갇혔다'고 해도 절대적인 의미에서 심해가 뜨겁다는 뜻이 아니고,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염분이 높고 밀도가 크며 약간 더 따뜻하다는 의미임을 보충 설명함
-
고위도에서는 해양 온도가 특정 깊이에서 거의 일정함을 언급함 남극 주변 표면 온도는 순수한 물에서 최대 밀도가 되는 온도(약 4도)보다 낮고, 남대양 염분 농도에서는 밀도가 가장 높은 온도가 0도 아래로 내려갈 수도 있음 이 현상이 해수의 밀도변화와 연동되어 해수 순환을 설명함
참고 링크도 같이 전달함([https://en.wikipedia.org/wiki/File:ThermoclineSeasonDepth.png](https://en.wikipedia.org/wiki/File:ThermoclineSeasonDepth.png), [https://en.wikipedia.org/wiki/File:T-S_diagram.pdf](https://en.wikipedia.org/wiki/File:T-S_diagram.pdf)) -
수온이 약간만 달라져도 게 같은 생물의 대사에 엄청난 변화가 올 수 있음을 상기함
관련 기사 링크 공유(https://globalseafood.org/advocate/…)
-
-
만약 심해수가 이제 상승해 수 세기 동안 저장된 CO₂를 방출한다면, 지구 기후 순환의 중대한 변화라는 점을 강조함 이런 현상이 위성 데이터 처리기의 혁신 덕분에 비로소 관측 가능해졌다는 사실도 신기함
-
이 현상이 위성 센서의 혁신으로 밝혀진 것이 인상적임을 밝힘 인류가 관측 수단을 갖춘 기간이 짧기 때문에, 과거에도 이런 일이 있었지만 관측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제기함
-
왜 심해수가 표층보다 더 많은 CO₂를 녹이고 있는지 궁금증을 표현함
-
-
'삼체' 소설 예시처럼, 외계인이 과학적 방법을 교란해 인류를 지배하기 쉬운 상태로 만든다는 설정에 빗대어 현실의 AI(LLM)을 언급함 오늘날 LLM 같은 AI가 오히려 과학적 토론을 흐리게 만들고, 선정적인 기사화와 AI 증폭, 사실 위에 사실 코멘트를 덧붙이는 구조 등으로 진짜 논의가 뿌옇게 되는 느낌임 때론 인간이 이미 외계인의 침공 아래에 있는 듯한 기분이 든다고 고백함 행동이 아닌 토론만 반복하는 세태에서 깨어나야 함을 강조함
-
과학 자체에 대한 논란보다, 실질적인 미온적 대응의 주 요인은 죄수의 딜레마적 국면과 석유업계의 정치적 영향력임을 설명함 지구온난화의 큰 흐름은 이미 자명함을 강조함
-
이미 수십 년간 인간이 직접 이런 식의 논의를 반복해 왔다고 설명함 LLM이 이런 걸 자동화했을 뿐, 근본적 사회 문제는 그대로임 모두가 현실을 제대로 인식해도 해결책에 따른 비용을 서로 전가하고 싶어 하므로 실제 행동은 거의 없음 게다가 이 상황을 아예 '사기'라 믿는 영향력 있는 세력이 있어 진전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움 실제로 문제는 빨라지고 있다는 우려를 덧붙임
-
과학과 선정적 저널리즘을 구분하지 못한 채, 선정적 기사와 잦은 코멘트로 과학 자체가 흐려진다는 불만을 토로함 동시에 만약 적대 AI가 2011년에 인류 멸망 유도를 시작했다면 오늘과 똑같을 것 같다는 불안감도 표현함
-
LLM이 잘만 쓰면 정보 홍수 속에서 오히려 맞춤형 학습과 정보 탐색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양날의 검이지만 희망도 보임을 밝힘
-
-
대부분의 기후 연구는 낙관적~비관적 전망 범위를 제시하고, 지난 30년간 예측과 실제 일치 여부가 궁금하다는 의견임 왠지 비관적 전망이 더 많이 실현된 느낌임
- 예전 기사에서(https://scientificamerican.com/article/…, https://vice.com/en/article/…) 기존 전망들이 너무 보수적이었다는 사례를 링크로 공유함 최근엔 '염세론(doomerism)'이 강하게 억제되다 보니 부정적 뉴스가 제대로 다뤄지지 않는 분위기임을 지적함
-
남대양에 대해 잘 몰랐는데, 간단한 영상이 유튜브에 있음을 추천함
관련 영상 링크 -
이 내용을 아주 쉽게 풀어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뭔지 궁금함을 질문함
-
기상 패턴이 예측불허가 되어 사막에 폭우/몬순이 내리고 몬순에 의존하는 국가가 건조해지는 식으로 극단적 변동이 생길 수 있음을 설명함 이 결과로 투자 불확실성이 커지고, 집이나 공장이 사막 계곡에서 침수 위험에 노출되고, 발전소가 있는 댐도 제역할을 못 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임 보험 불가한 자산이 사라지는 것이나 다름없게 될 수 있음
-
어떤 전환의 결과(예: 해류 역전)인지, 대기 중 CO₂가 두 배로 오르는 결과인지 명확히 해달라고 추가 질문함
-
이런 댓글 스레드에서는 극단적 기후 염세론이나 인간이 지구를 망친다는 식의 비관적, 냉소적 코멘트가 많으므로, 사실 기반 논의 기대는 어렵다는 점을 솔직히 밝힘
-
-
다음은 AMOC(대서양 열염순환) 붕괴 차례라는 언급임
- AMOC가 2025~2075년 사이 무너질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고, 2025년 붕괴는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된 점을 언급하며, 아직도 희망을 품고 있음
-
이번 뉴스가 걱정스럽긴 하지만, 새로운 기법으로 얻은 데이터이고 이전의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다면 혹시 원래 남대양엔 이런 변화가 있었던 건 아닐지 질문함
- 현장 측정 등으로 과거에도 소수의 데이터가 있었지만 매우 드물었다고 추정함
-
런던에서 서쪽으로 선을 그어보고, 뉴욕에서 동쪽으로 선을 그어 비교해 보면, 해류가 런던을 따뜻하게, 뉴욕을 시원하게 만들어 준다는 설명임 남극 북쪽은 지구에서 유일하게 바다가 육지를 막힘 없이 완전히 순환할 수 있는 곳이고, 해류 엔진 역할을 함 해양은 우리가 배출한 초과 CO₂를 대부분 흡수해 왔고, 일부는 심해에 매몰되어 왔음 하지만 바다 온도가 오르면 CO₂ 흡수량이 줄고, 미래가 더 암울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함 이 뉴스는 해당 지역의 탄소 흡수 둔화만이 아니라, 해류 전체 시스템에 예측할 수 없는 하류 영향을 불러온다는 신호임을 강조함
- 해류가 어떻게 뉴욕을 시원하게 하는지 의문을 가짐 오히려 뉴욕의 더위는 록키산맥에 의한 대기 순환이 더 큰 역할을 하고, 유럽의 온화함도 걸프스트림만이 아니라 다른 대기 흐름도 원인이 된다고 설명함 걸프스트림은 오히려 미국 동부를 따뜻하게 만든다는 점을 짚음 참고 링크도 추가함(https://americanscientist.org/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