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 하라리가 말하는 사람들이 진실에 관심이 없는 이유는?

대부분의 정보는 진실이 아니며, 진실은 비싸고 복잡하며 때로는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 정보와 진실의 차이는 무엇인가?

정보는 현실을 상징하기보다 여러 사람이나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

진실은 전 세계 정보 중 아주 작은 부분이며, 시간, 에너지, 자원을 투자해야 얻을 수 있는 것


유발 하라리의 책 "넥서스"를 통해 정보의 양이 늘어나는 것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으며, 오히려 편견과 폭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역사 속에서 종교와 국가가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왔는지, 그리고 공산주의, 파시즘, 민주주의의 차이를 정보 처리 방식의 차이로 설명하며, 정보와 진실은 다르며 사람들이 진실보다 판타지나 거짓에 더 쉽게 연결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AI 시대에 전체주의 감시 체제의 위험성을 경고하지만, 기술의 사용은 우리의 선택에 달려있으며, AI 혁명을 이해하고 올바른 결정을 내린다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한다.


1. 정보의 중요성

  •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을 듣고 자란다.
  • 이러한 믿음은 개인의 지식과 정보가 많아지면 경쟁력이 높아지고, 사회 전체도 발전할 것이라는 생각에 기반한다.

2. 유발 하라리의 새로운 관점

  • 유발 하라리박사의 책 "넥서스"에서는 정보의 양이 늘어나는 것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 정보의 증가가 편견, 폭력, 파벌주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 역사 속에서 정보의 발전이 종교, 국가, 정치 체계에 미친 영향을 다룬다.

3. 중세기와 정보

  • 중세기는 정보의 양이 적어 좋지 않은 일들이 많았다고 알려져 있다.
  • 유발 하라리는 이러한 역사적 흐름이 단순화되었다고 지적하며, 인쇄술과 교육의 발전이 사회 발전에 기여했음을 언급한다.

4. 정보와 진실의 관계

  • 정보와 진실은 다르며, 대부분의 정보는 진실이 아닐 수 있다.
  • 진실은 비싸고 복잡하며, 많은 사람들이 불편한 진실을 알고 싶어하지 않는다.
  • 정보는 여러 사람이나 사물을 연결하는 것이며, 진실을 대표하지 않는다.

5. 정보의 역할

  • 유발 하라리는 정보가 집단을 형성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 헌법과 종교의 예를 통해 정보가 어떻게 집단을 형성하는지 설명한다.

6. 민주주의와 독재

  • 민주주의는 실수를 인정하고 수정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있다.
  • 반면 독재는 권력이 한 사람에게 집중되어 실수를 수정할 방법이 없다.

7. 정보 기술과 전체주의

  • 현대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대규모 전체주의가 가능해졌다.
  • AI와 같은 기술이 결합되면 개인의 사생활이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8. 중앙집중형 vs 분산형 네트워크

  • 중앙집중형 네트워크는 정보가 한 곳으로 모이는 반면, 분산형 네트워크는 정보가 여러 곳으로 퍼진다.
  • 분산형 네트워크는 실수를 줄이고 더 나은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9. 기술의 선택과 미래

  • 역사적으로 기술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유발 하라리는 사람들이 AI 혁명을 이해하고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