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GN⁺ 2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1862년 일본 사절단이 유럽을 처음 방문하여 문명과 기술에 충격을 받음
  • Nadar의 사진관에서 여러 문화계 위인들의 초상 사진이 남겨져 있음
  • Baudelaire, Manet, Dumas, Victor Hugo, Sarah Bernhardt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인간성을 사진으로 담음
  • Nadar는 사진 예술과 인간성 포착의 중요성을 강조함
  • 사진에 대해 “보고 볼 수 있는 사람과 아예 바라볼 수조차 없는 사람이 있다”는 의미 있는 말을 남김

일본 사절단의 유럽 방문과 첫 경험

  • 1862년, 240년 만에 일본 사절단이 유럽에 입국함
  • 오랜 기간 세계와 고립되었던 일본은 미국 함대의 등장 후 어쩔 수 없이 대외 개방을 시작함
  • 40명의 사절 중 상당수는 사무라이였으며, 이들의 사명은 해외 문명을 학습하고 자국의 강제 개방 속도를 조절하는 것임
  • 유럽에서 당시 일본과는 차원이 다른 산업 혁명기 기술을 목격함
  • 특히 프랑스에서는 전신 기술에 큰 충격을 받으며, 문자 메시지가 몇 분 만에 대륙을 넘어가는 모습을 인상 깊게 경험함

Nadar의 사진관과 일본 사절단

  • 프랑스에 방문한 일본 사절들은 유명 사진작가 Nadar의 스튜디오를 찾음
  • Nadar는 그들을 카메라로 기록함
  • 사진관에서 당시 최신 장비로 초상 사진을 촬영하며, 이 경험이 사절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남김
  • 파리를 방문한 유명인사답게 초상 촬영을 진행한 것임
  • Nadar의 손길로 인물의 특별함이 포착됨

모더니티와 Charles Baudelaire

  • Charles Baudelaire는 19세기 중반의 낯선 시대적 감각을 "모더니티"로 규정함
  • 그의 시는 종종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금서가 되기도 함
  • Baudelaire는 건강 악화와 중독, 빈곤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는 중 Nadar의 사진관을 방문함
  • Nadar는 단순한 배경에서 인물의 성격내면을 포착하는 스타일로 Baudelaire의 초상을 촬영함
  • 그의 시선에서 직설적인 눈빛이 드러남

예술계 인물들과의 인연

  • Nadar는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인 Edouard Manet, Alexander Dumas, George Sand, Victor Hugo 등을 촬영함
  • Manet는 Nadar와 친분이 있었으며 자신의 친구를 모델로 그림을 그려 헌정함
  • Dumas는 Nadar의 어린 시절 우상이었으며, 유쾌한 모습으로 등장함
  • George Sand는 Nadar와 오랜 친구로 여러 번 촬영됨
  • Victor Hugo의 초상은 노년기와 임종 직전까지 남겨짐

후기 인물들과 Nadar의 사진술

  • Franz Liszt 등 다른 문화계의 유명 인사들도 Nadar에 의해 기록됨
  • 노년의 Liszt는 여전히 눈에 생기가 남아있음
  • Nadar는 신흥 스타였던 Sarah Bernhardt의 놀라운 카리스마에 다시 사진관에 복귀하여 그녀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담음
  • Bernhardt는 결혼 밖에서 자녀를 두는 등 사회적으로도 파격적인 삶을 살았음

권력자와 사상가의 포착

  • Nadar는 벨기에 국왕 Leopold II 또한 촬영하였음
  • 사진에서 인간성의 차이를 읽을 수 있다고 느껴짐
  • Proudhon 같은 사회주의자 겸 아나키스트도 기록함

사진의 본질에 대한 Nadar의 생각

  • Nadar는 사진이 위대한 발견이면서도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지만, 진정으로 의미 있는 이미지를 발견하는 데에는 특별한 재능이 필요하다고 평가함
  • Nadar의 초상들은 2세기 전 인물들의 개성과 인간성을 현대의 우리에게도 전해줌
  • 그는 자신이 그들 중에서도 특출난 재능을 가진 이었음을 스스로 알고 있었음
  • 마지막으로 Nadar는 “사진에서, 그리고 모든 일에서 보자면, 보고 볼 수 있는 사람과 아예 바라볼 수조차 없는 사람이 있다” 라는 말을 남김
Hacker News 의견
  • 전 세계 1900년대의 다양한 장소를 보여주는 관련 동영상 시리즈 추천 정보 제공
    제품이나 패션의 대량 상업화와 의도된 노후화가 시작되기 전의 모습을 볼 수 있는 흥미로움 강조
    사진 속 사람들의 표정이 꾸며진 미소나 시선을 피하지 않고, 딱딱하고 진지해 보이지만, 이따금 장난스러운 모습도 연출된 장면 발견
    요즘엔 보기 힘든, 40대 남성들이 장난치며 노는 밝은 풍경 소개

    • 가짜 미소와 시선을 피하는 모습은 북미 특유의 문화적 특징이라는 생각
      스위스에서는 "Swiss stare"라고 부르는 특별한 정면 응시 행동 존재
      관련 블로그 링크 안내

    • 아시아에서는 가족사진에서도 여전히 엄격한 표정을 유지하지만 미국 이민 뒤에는 모두 사진에서 미소를 보이기 시작 경험
      부모님의 생각에 공감
      미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삶이 편하고, 사람들도 더 행복해 보여서 자연스럽게 미소 짓게 되는 사회적 분위기 존재
      자국에서는 미소가 많으면 특별해 보여 놀림을 받는 문화, 그래서 웃지 않는 것
      미국에서는 심지어 억지 미소라도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짓는다는 의견
      예전 사진에서도 생활의 어려움이 표정에 드러나며, 그게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생각

    • 이제는 어릴 때부터 사진이나 영상 촬영에 익숙해져서, 카메라 앞에서 기대되는 '모범적인 표정'을 연습하는 사회
      카메라 AI 셀피 모드가 표정을 자동 보정해 주는 시대임을 언급

    • 과거에는 사진의 노출 시간이 길어서 사람이 1분 가까이 표정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 설명
      자연스러운 미소를 오래 유지하기가 정말 어렵다는 해석 제시

    • “A Million Ways to Die in the West”라는 영화 속 패러디 장면을 예시로 엄격한 표정이 패러디되는 모습 공유

  • 사진 속 한 인물의 눈빛에서 이후 콩고에서의 만행을 예견할 수 있다는 원문 해설에 대해,
    현재 우리가 그 사람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에 따라 인식이 달라진 결과일 수 있다는 의견

    • 누구나 그런 편견이 있다는 점을 모두 인식하고 있으므로 원문도 주의 문구(디스클레이머)를 달았다는 설명
  • 유명 화가의 사진에서 지적인 인상을 받는다는 평가를 인용하며,
    외모만으로 지능을 판단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잘못된 일이라는 생각
    짧은 만남이나 한 장의 사진만으로 사람의 내면을 파악하려는 시도에 대한 회의감 공유
    사진이 한 인물에 대해 많은 걸 알려준다는 낭만적인 믿음에 대한 비판적 견해 제시

    • “겉모습으로 남을 평가하지 말자”는 교훈이 미국에서는 대중적으로 널리 퍼져 있고,
      성장하면서 자주 접하는 공익광고나 TV, 영화 등에서 이런 내용을 반복적으로 다루었다는 경험
      사회적 미덕에 대한 최소한의 위선이라도 지키려는 분위기가 있었는데,
      최근에는 이런 관점이 변했는지 궁금증 표출

    • 사진이 사람을 더 똑똑하게 보이도록 연출된 사례도 있다는 점에 주목
      예술적 연출에 대한 평가임을 강조

    • Manet이 실제로 지적인 인물이었기 때문에, 그 본질을 사진이 잘 포착한 경우는 문제없다는 의견
      음식 사진도 실물처럼 맛있게 보이면 잘 찍힌 것이라 평가
      오히려 인간의 얼굴에는 지능이 어느 정도 드러날 수 있고, 신경망이 훈련된다면 신호를 발견할 수 있을 거라는 흥미로운 의견
      인간은 오히려 지능을 숨기기보다 표시하는 진화적 경향 설명

    • groady/grody와 grotty의 의미 설명
      grotty는 호주 등지에서 명사로도 쓰일 수 있다고 정보 추가

    • 인상 예측이 완벽하진 않아도 무작위보다 낫다는 개인 견해
      더 강력한 데이터가 있다면 외형에 의존하면 안 된다는 교훈

  • HN에는 보통 새로운 도구와 프로그래밍을 다루는 글이 많지만,
    이제는 도구나 방법이 아닌 '무엇'을 프로그래밍할지 결정하는 게 더 중요해진 상황
    그 해답은 사용자 관점에서 가치와 세상을 바라보는 능력이라고 생각
    Nadar의 사진을 보며 그가 대상을 어떻게 보고, 역사의 한 장면을 남긴 인물들을 바라보는 관점에 주목
    제품 디자인은 타인의 시선으로 또 다른 세상을 상상하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기술과 맥락의 잠재력이 제품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주는지 보여줌
    사진이라는 발명이 사무라이의 검보다 더 오랫동안 인간사에 영향을 끼쳤으며,
    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빛을 기록하는 강력한 힘을 선사했다는 감탄
    이 글이 누군가에게 다음 '사진'을 남길 동기가 되길 바란다는 격려

    • “무엇을 만들 것인가”라는 질문은 언제나 중요했고, 대표적으로 Dropbox 사례가 있다는 의견

    •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기술과 회사 취업용 역량이 달라서,
      실제 무엇을 만들지 결정하는 데 더 혼란을 준다는 지적

  • 한 남자의 19세기 프랑스 사진 여행이 정말 흥미로웠고,
    최신 AI 스타트업 기사들보다 훨씬 더 강렬한 인상 경험 고백

    • 인간 화가의 작품이 AI보다 의미상 '풍부함'을 줄 수 있다는 효과의 정량화 가능성 궁금증
      다음 단계로는 AI가 인간 예술 위에 덧입혀질 가능성 제기
  • 문화별로 몸짓과 표정이 얼마나 다른지에 대한 관찰
    어떤 사회는 개방적이고 표현적이지만, 다른 사회는 더 절제되고 중립적임을 세계 여행에서 직접 경험
    고개 끄덕임이나 작은 미소조차 사회마다 의미가 다르며,
    표정이나 시선의 규범이 집단주의/개인주의 또는 삶의 속도와 같은 더 깊은 사회 구조에서 비롯된 것인지 궁금증
    사소한 행동이 큰 문화적 태도를 반영할 수 있는지 질문

  • 기사와 사진을 정말 흥미롭게 읽고 감상했지만,
    “cannot even look”이라는 표현의 의미가 잘 이해되지 않아 궁금증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유형에 해당하는 것인지 자조 섞인 물음

    • “see”조차 시도하지 않는 사람, 자신이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모르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해석
      다양한 해석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며 자신은 단순한 프로그래머라고 겸손 표현

    • 누구나 사진을 찍을 수 있지만, 진정한 사진가는 별개의 존재라는 본질의 의도가 담겨 있다는 해석

  • 미국 여권 사진에서 미소 짓지 않는 것이 최근에 필수가 됐고,
    홍콩이나 중국 비자 사진에서는 아주 오래전부터 미소 금지가 있었다는 정보
    미소/엄격한 표정 규정도 시대와 지역을 오가는 규제의 예시

  • 19세기 인물 사진이 현대 컬러사진보다 인물의 본질을 더 잘 담아낸 기분이라는 감상

    • 당시 사진이 훨씬 비싸고 드물었으며, 전문 사진가가 찍어서 평균적으로 더 매력적이라는 합리적 설명
      물론 현대에도 훌륭한 컬러사진은 많이 존재한다는 의견

    • 초상화가란 한 인물을 오래 관찰해 결정적인 순간을 포착하는, 긴 노출 사진 같은 것이라는 생각

  • “[사진술]은 위대한 지성을 끌어들이는 과학이고, 기민한 정신을 자극하는 예술이자, 바보도 할 수 있는 분야”라는 문구를 소개하며 감탄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도 딱 들어맞는 말이라며 재미를 느끼는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