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P by GN⁺ 2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Spotify를 떠나 Jellyfin을 사용하게 된 경험을 공유함
  • Spotify를 탈퇴한 후 대체 음악 감상 방법을 찾아 여러 로컬 음악 플레이어를 시도했지만 대부분 불편하거나 시대에 뒤처진 UX였음
  • 웹 기반 음악 플레이어를 직접 만들기도 했지만, 오프라인 사용 불가 등 한계가 있었음
  • 결국 Jellyfin 셀프 호스팅 미디어 서버를 선택해 음악 라이브러리를 구축함
  • 다양한 기기에서 음악을 오프라인으로 들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셀프 호스팅을 통해 디지털 자율성을 얻었고, 다른 오픈소스 솔루션까지 확장 중임

Spotify를 떠나며

  • Spotify 사용을 중단한 후, 대체 솔루션을 여러 개 시도함
  • 최종적으로 선택한 것은 Jellyfin, 오픈소스 셀프 호스팅 미디어 서버임

로컬 음악 파일 수집과 플레이어의 한계

  • mp3, flac 등의 음악 파일을 모아 로컬에서 재생 시도
  • Winamp 같은 클래식 플레이어는 UI는 좋지만 라이브러리 탐색에 불편함
  • VLC는 flac 파일 처리 성능이 낮음
  • foobar2000는 설정이 너무 복잡하여 포기

웹 음악 플레이어 직접 제작

  • htmx를 배우기 위해 간단한 웹 음악 플레이어를 직접 제작
  • 브라우저에서 로컬 서버를 통해 음악 스트리밍 가능
  • 문제점:
    • 인터넷이 없거나 서버가 꺼진 경우 사용 불가
    • 오프라인 기능 추가하려면 앱 형태로 재구성해야 했음
    • 프로젝트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부담스러워 대안 필요

Apple Music 앱 사용 경험

  • Apple Music 앱은 구식이지만 음악 플레이어로서는 괜찮은 기능 제공
    • 정렬, 동기화, 오프라인 사용 가능
  • 단점:
    • 기기 간 라이브러리 동기화가 용량 문제 발생
    • 어떤 곡을 유지하고 어떤 곡을 지울지 결정하는 “저장공간 배틀로얄” 필요
    • Spotify와 같은 클라우드 기반 편의성과 비교해 불편함 존재

Jellyfin 발견과 전환

  • Jeff Geerling의 유튜브 영상으로 Jellyfin을 알게 됨
  • Jellyfin은 넷플릭스/디즈니+ 대안이자 음악 감상 플랫폼으로도 활용 가능
  • 유일한 단점: 직접 호스팅해야 함

셀프 호스팅에 대한 조언

  • 프로그래머가 아니어도 설치가 어렵지 않음
  • NAS 같은 장비 없이도 구형 PC로 홈서버 구성 가능
  • 로컬 설치 후 바로 사용 가능했으며, 매우 간단한 초기 설정

오프라인 앱 연동

  • Jellyfin용 클라이언트 앱:
  • 앱을 통해 음악 다운로드 후 오프라인 재생 가능

디지털 자율성을 위한 다음 단계

  • 작은 미니 PC 구매 후 Jellyfin을 상시 실행
  • 그 외에 Immich도 호스팅 중 → Google Photos 대안

셀프 호스팅을 고민 중이라면

  • 터미널 사용에 익숙하다면 셀프 호스팅은 누구나 가능
  • 일단 설정해두면, 어느 기기에서든 자신의 음악 라이브러리에 접근 가능
  • 오픈소스가 계속 발전한다면, 우리는 점점 클라우드 서비스 없이도 원하는 기능을 직접 구축할 수 있게 될 것임

마무리 소감

  • 미래에는 음악, 영화, 사진, 추억 등을 “타인의 컴퓨터”가 아닌, 자신의 서버에서 자유롭게 즐길 수 있기를 희망
  • 오픈소스는 조금 느릴 수 있지만, 더 낫고 자유로운 미래를 만들 수 있는 길임이라고 믿음
Hacker News 의견
  • 이 기사는 일반적인 음악 스트리밍 구독에서 Jellyfin 라이브러리로 이동할 때 기능이 크게 축소되는 점을 언급하지 않음
    • YouTube Music에서 특정 노래나 밴드를 선택하고 "Radio"를 클릭하면 유사한 노래의 재생 목록이 생성됨
    • 이 기능을 통해 새로운 음악을 발견하고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음
    • 이러한 기능을 잃게 됨
    • 많은 서비스가 시간이 지나면서 사용자의 청취 습관을 기반으로 믹스를 생성함
    • 음악 포럼을 탐색하지 않기 때문에 좋아하는 밴드 외에는 새로운 앨범 출시를 알지 못함
  • 개인적으로 Jellyfin은 비디오 용도로만 사용함
    • 오디오북과 팟캐스트는 AudioBookShelf를 사용함
    • 음악은 Navidrome을 사용함
    • Navidrome의 스마트 플레이리스트 기능이 훌륭함
    • Subsonic API를 구현하여 많은 앱이 이를 활용함
    • 개인적으로 Substreamer를 선호하지만 DSub 등 다른 앱도 사용 가능함
  • Navidrome은 음악에 있어 우수함
    • Navidrome과 Jellyfin을 도커 컨테이너에서 실행함
    • NordVPN Meshnet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안전하게 연결함
    • Navidrome에서 전체 FLAC 라이브러리를 호스팅하고 실시간으로 Opus로 트랜스코딩 가능함
    • 1년 넘게 거의 문제가 없었음
    • 강력히 추천함
  • 셀프 호스팅은 기술이 있다면 훌륭함
    • 지난 2년간 가능한 많은 구독을 셀프 호스팅 솔루션으로 대체하려고 노력함
    • 구독 비용이 한 달에 약 200 AUD에 달했음
    • 현재까지 약 150 AUD의 구독을 취소함
    • 500 AUD의 오피스 데스크탑을 홈 서버로 사용 중이며, 이미 비용을 회수했음
    • 올해 말에 더 나은 것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임
    • 현재 Emby로 모든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를 대체 중임
    • Spotify와 Adobe Lightroom은 아직 해야 할 목록에 있음
    • 최종적으로 YouTube, Fastmail, Borgbase만 남길 계획임
  • 개인적으로 Lyrion Music Server를 추천함
    • 오픈 소스, 셀프 호스팅, 다양한 좋은 플러그인을 제공함
    • 집안의 여러 기기에서 음악을 동기화할 수 있음
    • 물리적 기기는 더 이상 판매되지 않지만, Raspberry Pi로 쉽게 제작 가능함
    • 회사가 훌륭한 것을 만들고 오픈 소스로 제공하여 프로젝트가 지속 가능함
    • 앞으로도 계속 사용할 계획임
  • Spotify에서 음악을 다른 곳에서 찾는 것이 문제임
    • 음악 파일을 구매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고, 구매 후에도 소유권이 명확하지 않음
    • Linux ISO 사이트에서 찾는 것은 악몽임
    • 쉬운 방법이 있기를 바람
  • 음악 라이브러리를 스마트 플레이리스트로 동기화하는 전략을 사용함
    • 5성 평가를 받은 노래 중 8개월 이상 듣지 않은 노래
    • 4성 평가를 받은 노래 중 16개월 이상 듣지 않은 노래
    • 3성 평가를 받은 노래 중 32개월 이상 듣지 않은 노래
    • 가장 적게 재생된 20GB의 음악
    • 크리스마스 음악과 보관용 음악 파일은 제외함
    • 매일 동기화하여 신선한 음악 선택을 유지함
  • Emby 서버를 포함한 몇 가지를 셀프 호스팅함
    • 음악 라이브러리를 셀프 호스팅하는 것이 흥미로움
    • Jellyfin의 음악 수집 과정이 궁금함
    • Spotify의 "노래 라디오" 기능으로 음악을 더 빠르게 발견할 수 있음
    • 더 나은 미디어 플레이어와 "프론트엔드"를 원하지만, 수집 부분을 해결하지 못함
  • Jellyfin 사용을 중단한 이유는 iTunes 라이브러리에서 내보낸 노래가 귀를 찢는 소리를 냈기 때문임
    • 파일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Jellyfin이 이를 비판 없이 재생함
    • 비슷한 노래가 더 있을 수 있어 사용을 중단함
  • Plex의 클라이언트 재작성으로 셀프 호스팅 사용자들이 불만을 가짐
    • 기능이 손상되고 유용한 기능이 제거됨
    • 스트리밍에 중점을 둔 UI로 변경됨
    • Plex 경로를 아직 선택하지 않았다면, 커뮤니티와 개발자가 로드맵을 정리할 때까지 기다릴 것을 권장함
    • Plex는 피드백에 열려 있지만, 많은 사용자가 배신감을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