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기존 OOP/디자인 패턴 기반 개발 경험에서, 새로운 개발 방식인 MSA와 Vibe Coding의 생산성에 충격을 받았던 경험 공유.
    •최근엔 LLM과 AI IDE(CLAUDE, Cursor 등)의 발전으로, 코드 작성 방식 자체가 변화하고 있음.

  2. DDVC란?

Design-Driven Vibe Coding은 크라우드웍스가 명명한 방식으로, 설계 문서를 기반으로 LLM에게 개발을 요청하는 체계적인 Vibe Coding 방법론이다.
•핵심은 PRD와 Requirements 문서 작성 후 이를 기반으로 AI가 코드를 생성하게 하는 구조.
•문서 작성도 AI가 초안 → 사람의 검토 및 수정을 통해 완성.
•PRD: 제품 목적, 기능 요구사항, 사용자 스토리, 우선순위 등 포함
•Requirements: 모듈 개요, 기능 요구사항, 파일 구조, 관련 코드 및 규칙 포함

  1. 두 가지 개발 전략
    •전략1: 모듈 단위 순차 개발 → 기존 방식과 유사, 안정적. PoC보단 Production에 적합.
    •전략2: 모듈 동시 생성 → 빠르나 테스트와 검증 난이도 높음. 테스트 코드도 함께 생성해 대응.

  2. 3-Day MVP Development 실험
    •리소스가 부족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3일 만에 MVP를 개발하는 실험 진행.
    Day 1: 설계 문서(PRD + Requirements) + 기술 설계
    Day 2: 코드 생성 + 기본 테스트
    Day 3: 통합 테스트 + 프론트엔드 + 검증

  3. MVP 사례: 문서 권한 기반 RAG 시스템
    •문서 파싱 및 Vector DB 등록, 권한 관리, 채팅형 검색 기능을 갖춘 시스템.
    •PRD/Requirements 생성 → AI가 코드 생성 → 테스트 코드 생성 → Cursor AI로 디버깅.
    •프론트엔드는 Next.js + TailwindCSS로 테스트용 UI 자동 생성.

  4. 실행 Tips 및 느낀 점
    •코드 수정보다는 재생성이 더 경제적일 수 있음.
    •로그 출력 중요성 강조 (줄번호 포함 포맷 권장)
    •AI의 코딩 능력 신뢰 필요 (특히 Claude 3.7 기준)
    •비동기 코드는 AI도 디버깅 어려움 → 처음엔 동기식으로 작성 후 변경 권장
    •초기엔 코드 양에 압도될 수 있으나 익숙해지면 생산성↑

  5. 문화 확산 방안
    •사내 해커톤 계획: DDVC 확산 및 Vibe Coding 실전 경험 공유
    •개발자/비개발자 트랙을 나눠 모두가 AI 코딩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

결론:
Vibe Coding은 코드 생산방식뿐 아니라 개발자의 역할, 문화, 협업 방식까지 변화시키고 있음. 빠르게 실전에서 경험하고 적응하는 것이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