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 by GN⁺ 9일전 | ★ favorite | 댓글 5개
  • 델리의 Nehru Place에 위치한 수리점에서 오래된 노트북의 부품을 모아 작동 가능한 기기로 재조립하는 기술자들이 있음
  • 메인보드, 스크린, 배터리 등 폐기된 노트북의 부품을 재사용하여 저렴한 하이브리드 노트북을 제작함
  • 최신 모델이 아닌 '작동하는' 저렴한 기기를 원하는 수요가 많아짐
  • 이러한 노트북은 학생, 프리랜서, 소규모 사업자 등 경제적으로 여유 없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됨

노트북 재조립의 실제 현장

  • 기술자 Prasad는 고장난 메인보드를 교체하고, 다양한 고장 난 기기에서 추출한 부품(콘덴서, 터치패드,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IC 등)을 활용함
  • 작업장 주인 Singh는 두바이와 중국에서 수입한 중고 노트북과 e-waste를 수리해 새 것보다 절반 가격에 판매함
  • 평균 10,000루피(약 $110)로 괜찮은 노트북을 구매 가능해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됨

사회적 의미와 수요 확대

  • Singh는 돈이 부족한 공대생에게 조립 노트북을 만들어주며 감동적인 사례를 공유함
  • 수많은 수리 기술자들이 전자 폐기물에서 구한 부품을 재활용해 가성비 좋은 기기를 만들어 판매함
  •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글로벌 기업과의 갈등 및 시스템적 문제

  • 글로벌 기술 기업들은 부품 접근 제한, 독점 나사, 소프트웨어 잠금 등으로 수리를 어렵게 만들어 계획적 노후화를 유도함
  • 수리 산업은 이러한 장벽에도 불구하고 비공식 시장을 통해 부품을 조달하며 생존하고 있음
  • 대표적인 e-waste 시장인 Seelampur은 하루 30,000톤의 전자 폐기물을 처리하며 5만 명의 비공식 노동자가 활동함

환경적 가치와 위험 요소

  • 기술자들과 NGO 관계자들은 이러한 재활용 활동이 폐기물 감소, 자원 절약, 환경 보호에 기여함을 강조함
  • 사용된 부품은 매립지로 가는 대신 다시 제품으로 생명을 얻음
  • 그러나 납, 수은,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을 보호 장비 없이 다루는 경우가 많아 건강 문제가 존재함
  • 일부 작업자는 기침, 건강 이상을 겪으면서도 생계 유지를 위해 이 일을 지속함

미래 전망과 제도적 변화 필요성

  • 인도 정부는 EU 및 미국의 사례를 참고해 '수리 권리(right-to-repair)' 법 제정을 논의 중이나 진행은 느림
  • 비공식 수리업체들이 합법적 부품 공급망을 갖출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 수리 산업을 정식 산업으로 인정하면 폐기물 감소, 일자리 창출, 기술 접근성 향상이라는 삼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정부가 품질 기준을 마련하고 독립 수리업체에 부품 접근권을 부여하면 산업이 더욱 성장 가능함

마무리

  • 델리와 인도 전역의 조명 낮은 수리 작업장에서 기술자들은 매일 '죽은' 기기를 되살리며 디지털 불평등을 줄이고 있음
  • 프랑켄슈타인 노트북은 인도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독특한 사례로 부각되고 있음

이런 수리 과정을 유튜브로 송출하면 꽤 구독자가 생길 것 같은데요? 손으로 만드는 길거리 음식 영상 말고...

린도 린도 린도, 노트북은 수리된 것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오늘도 평화로운 파키스탄..

Hacker News 의견
  • 중학교 시절, 작은 마을에 살면서 자전거를 타고 메인 도로로 나갈 수 있었음

    • 방과 후 TV와 라디오 수리점에서 시간을 보내며 그들이 일하는 것을 지켜봤음
    • 그들은 친절했고 고장 난 워크맨에서 나온 모터와 전구 같은 부품을 줬음
    • 그 부품들로 자전거에 "다이나모 라이트"를 만들고 "유선 RC카"를 제작했음
    • 몇 년 전 레이싱 드론을 만들 때 작은 전선을 납땜하는 것이 어려워 근처 모바일 수리점에서 도움을 받았음
    • 이러한 수리점 덕분에 호기심과 지식을 많이 얻었음
    • 요즘 전자기기가 점점 수리하기 어려워지고 있어 수리점이 사라지고 있음
    • 현재 가장 가까운 것은 메이커스페이스로, 고장 난 전자기기를 버리지 않고 수리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 더 많은 메이커스페이스가 필요하다고 느낌
  • 몇 년 전 Lenovo 노트북에 RAM을 추가하려다 실수로 RAM 없이 전원을 켰음

    • 노트북이 작동하지 않아 Lenovo 센터에 가져갔더니 7-10일과 최소 Rs 10,000(약 $150)이 필요하다고 했음
    • 오래된 노트북에 너무 비싸서 대안을 찾다가 뉴델리 네루 플레이스의 수리점을 추천받음
    • 작은 방에 노트북 부품이 가득한 곳에서 10분 만에 Rs 200(약 $2.5)로 수리했음
  • 수리 비용이 교체 비용보다 저렴하고, 인도에서 경제가 성장하면 비경제적이 될 것임

    • 장기적인 해결책은 수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제품을 설계하도록 강제하는 것임
  • 1990년대 초까지 포르투갈에는 수리점이 많았고, 고장 난 기기를 수리점에서 고쳤음

    • 현재는 계획적 노후화로 인해 대부분의 수리점이 사라졌고 수리 지식도 함께 사라졌음
    • 정부가 계획적 노후화 문화를 해결하지 않으면 수리 문화를 되찾기 어려움
  • 네루 플레이스에서 주말을 보내곤 했음

    • 하드웨어/게임 애호가에게는 최고의 장소였고, 해적판 책도 많았음
    • 사기꾼과 천재들이 휴대폰, TV, PC, 노트북, 시계 등을 수리할 수 있었음
    • 뉴델리의 IT 허브였고, 길거리 음식도 괜찮았음
    • 수리하는 사람들을 보는 것이 즐거웠고, 몇 대의 PC를 조립했음
    • 조심하지 않으면 지갑과 셔츠 없이 집에 돌아가야 할 수도 있음
    • 이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영화 두 편: Rocket Singh, Mickey Virus
  • 중국에서는 2015년형 MacBook Pro의 고장 난 화면을 제거하고 빈 플레이트를 설치해 HDMI 화면에 연결하는 트렌드가 있었음

  • 유명한 사람이 오래된 Thinkpad에 최신 메인보드와 Intel 10세대 칩을 넣어 판매했음

    • 그는 군 복무 중이라는 소문이 있었고, COVID 이전에 사라졌음
    • 친구가 coreboot를 새로운 메인보드에 백포팅하는 것을 도왔음
    • 노트북은 모두 coreboot를 실행했고, 품질이 매우 좋았음
    • X2100이 꿈의 노트북이었지만 구매하지 못했음
  • 친구가 Salesforce Admin 직장에서 해고된 후 노트북 메인보드가 고장났음

    • 지역 수리점에서 ₹25,000–₹30,000(약 $300–$360)을 요구했음
    • 네루 플레이스에서 ₹5,000–₹10,000(약 $60–$120)으로 수리했음
    • 저렴하게 수리했지만 재사용 부품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있었음
  • 대학 시절 집에서 컴퓨터 문제 해결을 아르바이트로 했음

    • 대부분의 경우 케이스를 열고 먼지를 제거하고 부품을 다시 연결하거나 Windows를 재설치했음
    • 90%는 RAM이 조금 빠져 있었고, 드물게는 부품 자체의 문제였음
    • 하이데라바드의 수리점에서 저렴하고 빠르게 수리했음
    • 그곳의 사람들은 엔지니어가 아닌 기술자였고, 그들의 작업을 보는 것이 놀라웠음
  • Dell XPS-15 노트북 화면이 떨어져 나가서 화면 테두리에 구멍을 뚫고 볼트를 끼워 고정했음

    • 동료들은 큰 볼트를 보고 놀랐지만 모든 것이 잘 작동했음

왜인지 모르지만 무적의 380도 유튜버 아저씨가 생각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