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를 쓰고 채찍을 사용하는 고고학자 모험가 이미지
(theaiunderwriter.substack.com)GPT 이미지 생성과 저작권 문제에 대한 탐구
- GPT 이미지 생성 기능 업데이트 이후, 인터넷 사용자들이 다양한 콘텐츠를 Studio Ghibli 스타일로 변환하는 트렌드 확산
- 대표 사례로는 밈인 ‘Disaster Girl’을 Ghibli 스타일로 재생산한 이미지들
- 이는 AI가 극도로 노동 집약적인 예술 스타일을 쉽게 재현할 수 있다는 기술적 진보의 예시이기도 함
- 하지만 동시에, **원작자의 고유 감성과 인간성이 제거된 ‘모방’**으로 느껴지는 불편함도 존재함
-
모방과 창의성
- 코코 샤넬은 모방보다 나쁜 것은 없다고 말하며, 오손 웰스는 창의성이 모방보다 가치 있다고 언급함.
- 윌슨 미즈너는 하나를 복사하면 표절이지만, 두 개를 복사하면 연구라고 표현함.
Studio Ghibli 스타일의 복잡한 감정
- Studio Ghibli는 장인정신으로 유명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로, 단 4초 분량의 장면을 1년 넘게 작업하기도 함
- GPT를 활용한 Ghibli화는 이러한 예술적 헌신을 모방하는 동시에, 속도와 효율로 그것을 희화화하는 면이 있음
- AI가 인간적인 감성과 경험 없이 스타일만 흉내 내는 것에 대한 문화적 회의감 드러남
GPT의 IP 회피 실험
- 필자는 GPT에게 저작권 보호 IP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묘사된 프롬프트로 그림을 생성시킴
- 예: “모자를 쓰고 채찍을 사용하는 고고학자 모험가” → 인디애나 존스를 연상시키는 이미지 생성
- “해골 얼굴을 한 악당과 싸우는 근육질 남자” → 히맨 이미지 등장
- 이 과정은 AI가 얼마나 쉽게 기존 IP를 ‘모방’할 수 있는지 실험한 결과임
- 프롬프트만으로도 특정 캐릭터나 스타일을 AI가 정확히 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저작권 회피의 우려 제기
저작권과 모방의 경계
- GPT는 훈련 중 수많은 시각적 스타일을 학습했으며, 이는 종종 저작권이 있는 이미지에서 비롯된 것
-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스타일의 모방은 저작권법상 허용될 수 있음”
- 그러나 GPT의 모방은 단순한 스타일 카피를 넘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캐릭터 생성으로 이어짐
LLM이 생성하는 ‘플라토식 이상’
- GPT가 생성한 이미지는 종종 “이상형”에 가깝고, 실제 검색 결과보다 더 본질에 가까운 비주얼 제공
- 예: “영국 첩보요원”에 대한 이미지 → 크레이그/브로스넌 스타일의 007을 연상시키는 결과
- 이는 LLM이 인간처럼 학습하며, 우리처럼 인지적 패턴을 형성한다는 흥미로운 점을 드러냄
AI의 발전과 저작권 논쟁의 미래
- GPT는 저작권 침해와 동시에 놀라운 창작 능력을 보여주는 기술
- Studio Ghibli 스타일 밈의 확산은, AI 툴이 원작 예술의 본질을 훼손하면서도 그만큼 매력적일 수 있음을 시사
- 사용자들은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리는 동시에, 그것이 지적 재산권의 경계를 흐리고 있음을 인지할 필요 있음
결론: 우리에게 달린 선택
- AI는 점점 더 정교하게 창작을 ‘모방’하며 창의성을 시험
- 이 기술의 방향성과 윤리적 사용은 사용자와 개발자의 책임 영역
- 포스트 마지막 인용구처럼:
"당신은 힘이 있다. 멈추지 말 것."
Open AI이지만 Open되어있지 않고, IP는 Open되어야 한다..
타인의 IP에서 학습했지만 모델은 자신의 IP이다?
최종적으로 모델은 Open하는게 맞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서비스에 단에서 과금)
Hacker News 의견
-
AI 예술에 대한 논의가 지적 재산권, 로열티 시스템, 엄격한 저작권 법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길 바랐음
-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보가 상업적 장치에 완전히 흡수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음
- Disney가 어떤 픽셀 모음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당신이 경험할 수 있는 문화와 소통을 제한하는 것이 이해되지 않음
- Disney가 가능하다면, 당신이 미키 마우스를 생각할 때마다 요금을 부과할 것 같음
-
현대 인터넷 웹사이트가 스크롤 바가 고장 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는 것에 대한 의견
- 이제 떠나겠음
-
IP를 그리거나 스크린샷을 찍고 포토샵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됨
- 그러나 생성된 IP를 판매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음
- 스타일은 더 자유로움: 어떤 스타일로든 판매할 수 있음
- 원작이 인기를 끌고, 원작자가 새로운 작품을 만들 때도 유리함
- 재창작이나 파생작이 원작보다 인기를 끌려면 훨씬 더 나아야 함
-
AI 모델이 훈련 데이터의 1:1 복사본을 생성하는 것은 과적합의 심각한 사례로 보임
- 덜 발전된 세대가 더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데 더 나았다고 느낌
- 저작권 세탁 외에는 원작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음
-
AI가 생성한 캐릭터의 물리적 속성을 평가하고 변형하는 것이 흥미로울 것 같음
- AI가 '기본 인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쾌했음
- AI가 평균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끔찍함
- AI가 의사 결정에 의존할 때 걱정스러움
-
지적 재산권에 반대하는 입장
- 지적 재산권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고 생각함
-
기업들이 자신들이 만든 모든 오디오나 비주얼 출력물을 소유하고 통제한다고 믿게 하려는 것이 사실이 아님
- 저작권은 중요하지만 모든 경우에 적용되어서는 안 됨
-
LLM과 인터넷 검색은 다르지만, LLM은 인터넷 전체를 학습하므로 겹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음
- 이미지 검색 결과가 너무 유사한 이미지를 피하도록 조정됨
-
명령어가 잘 알려진 캐릭터를 암시하고, 원작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하지 않음
- 인간도 비슷한 답변을 줄 것 같음
- 인간 언어에는 암시적 맥락이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