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1달전 | ★ favorite | 댓글 1개
  • 미국 정부가 대사관과 영사관에서 수집한 대기질 데이터를 더 이상 공유하지 않기로 결정함. 이는 전 세계 대기질 모니터링과 공중 보건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노력에 우려를 제기
  • 국무부는 예산 제약으로 인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한다고 밝혔으며, 대사관과 영사관은 모니터를 계속 운영할 것이며 예산이 복구되면 데이터 공유가 재개될 수 있다고 함
  • 이 결정은 트럼프 행정부의 환경 및 기후 이니셔티브 우선순위 축소의 일환
  • 데이터 공유 중단의 영향

    • PM2.5와 같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국의 대기질 모니터는 호흡기 질환, 심장 질환, 조기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물질을 측정함
    • 세계보건기구(WHO)는 대기 오염으로 매년 약 700만 명이 사망한다고 추정함
    • 데이터 공유 중단 소식에 과학자들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 데이터가 신뢰할 수 있고 전 세계 대기질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했으며 정부가 공기를 정화하도록 촉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언급
  • 글로벌 대기질 연구에 미치는 영향

    • 뉴델리의 지속 가능한 미래 협력체의 대기 오염 전문가인 바르가브 크리슈나는 데이터 손실을 "큰 타격"이라고 표현함.
    • 미국 대사관의 데이터는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대기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현지 데이터의 품질에 대한 우려가 있을 때 교차 확인할 수 있는 잘 보정된 데이터로 간주되었음.
    • 콜롬비아 보고타의 프리랜서 대기질 컨설턴트인 알레한드로 피라코카 마요르가는 미국 대사관의 모니터링이 현지 모니터링 네트워크와 독립적인 대기질 정보를 제공했다고 언급함.
  • 지역적 노력 강화

    • 미국의 대기질 모니터는 일부 국가에서 자체 대기질 연구를 시작하고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함.
    • 중국에서는 베이징 주재 미국 대사관의 데이터가 정부의 공식 보고서와 상충하여 중국이 대기질을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음.
    • 인도의 글로벌 기후 및 건강 연합의 캠페인 리더인 슈웨타 나라얀은 모니터링 중단이 "큰 후퇴"이지만 인도 정부가 대기질 모니터링 인프라를 강화하고 데이터 투명성을 보장하며 대기질 보고에 대한 공공 신뢰를 구축할 기회라고 언급함.
Hacker News 의견
  • 미국의 대사관에서 제공하는 공기 질 데이터가 다른 나라의 연구와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함
    • 중국에서는 미국 대사관의 데이터가 정부의 공식 보고서와 상충하여 공기 질 개선을 촉진함
    • 2008년부터 미국은 해외 대사관을 통해 공기 질을 모니터링하며, 이는 검열될 수 있는 과학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사용됨
    • 2014년 중국은 오바마 대통령이 참석한 국제 정상 회담을 앞두고 미국 대사관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앱을 금지함
    • 연구자들은 이러한 투명성이 중국의 행동을 유도했다고 평가함
    • 오바마 대통령의 중국 대사였던 Gary Locke는 대사관과 영사관에 모니터를 도입하여 중국의 스모그 문제를 추적함
    • 뉴델리에서도 미국 대사관의 공기 질 데이터가 자주 참조됨
    • 데이터 공유 중단은 예산 제약으로 인한 것이며, 예산이 회복되면 데이터 공유가 재개될 수 있음
    • 워싱턴 기념비 증후군은 예산 삭감 시 정부가 가장 눈에 띄는 서비스를 중단하는 현상을 설명함
    • 이러한 데이터 공유 중단은 미국의 세계 리더십을 약화시킬 수 있음
    • 과거 Windows 95에서 시스템 파일을 삭제하여 컴퓨터가 부팅되지 않았던 경험을 떠올리며, 이러한 예산 삭감이 비슷한 수준의 분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느낌
    • 미국이 깨어났을 때는 다른 나라들이 더 나은 기술을 미국에 판매할 준비가 되어 있을 것임
    • 데이터 방송의 실제 반복 비용이 무엇인지 궁금함
    • 이로 인해 절약되는 금액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함
    • 미국이 오랜 기간 동안 제공한 공기 질 데이터에 감사함
    • 영향력은 평화 시기에 초강대국의 가장 강력한 무기이며, 이를 끊는 것은 돈을 절약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를 약화시킴
    • 이러한 조치가 연방 지출의 사기를 줄이고,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키며,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의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