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GN⁺ 4달전 | ★ favorite | 댓글 1개

왜 물건을 잘 사기가 어려운가?

시장의 비효율성

  • 시장은 효율성을 강제한다고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비효율성을 가지고도 생존하고 있음.
  •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인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제품의 품질이 좋지 않더라도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가 있음.

소비자와 정보의 비대칭성

  • 많은 소비자들은 제품의 품질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려움.
  • 가격이 높다고 해서 항상 품질이 좋은 것은 아님.
  • 전문가의 조언도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님.

기업의 비효율성

  • 기업들도 종종 제품이나 서비스를 잘 선택하지 못함.
  • 외주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가 많음.
  • 내부에서 직접 해결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도 있음.

기술 제품의 문제

  • 기술 제품은 종종 설계 결함을 가지고 있음.
  • 많은 소프트웨어 제품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 "구매" 대신 "구축"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음.

배송과 물류의 문제

  • 배송 서비스의 신뢰성 문제로 인해 기업들이 자체 배송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 작은 기업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움.

문화적 차이

  • 다른 문화에서는 물건을 잃어버리거나 도난당할 가능성이 낮음.
  • 신뢰가 부족한 사회에서는 외부 기업이나 내부 팀 간의 협력이 어려움.

결론

  • 시장의 비효율성과 정보의 비대칭성은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큰 문제를 야기함.
  • 신뢰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내부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음.
Hacker News 의견
  • Fivetran의 직원이 Postgres의 변경 로그 처리 방식에 대한 오해를 지적함. Postgres는 논리적 복제를 통해 WAL을 유지할 수 있음.

    • Dan이 기술을 잘못 이해하고 빠른 결론을 내렸다고 주장함.
    • 전문가도 틀릴 수 있지만, Dan의 경우는 오만함이 문제라고 봄.
  • 소프트웨어의 품질 문제와 '구매 대 제작' 스펙트럼에 대한 흥미로운 논의.

    • 많은 소프트웨어가 품질이 낮고, 오픈 소스를 찾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음.
    • JS 생태계에서 품질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큰 생태계일수록 신뢰할 수 없다는 주장.
  • 최적화 문제에 대한 의견.

    • 저임금으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움.
    • 구매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평가할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음.
  • 시장의 효율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 큰 기업도 비효율적인 일을 자주 함.
    • 회사 내에서 비효율성을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구매자가 평가할 수 없는 분야의 문제.

    • 세무사나 치과의사 같은 전문가의 기술적 정확성을 평가하기 어려움.
    • 현실은 단순한 최적화 문제로 해결되지 않음.
  • 좋은 디자인에 대한 생각.

    • 제품이 아름다울 때 삶이 더 나아짐.
    • 고품질의 제품을 구매하여 오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
  • Dan Luu의 에세이에 대한 의견.

    • 조직 내 불신의 네트워크가 Nash 균형과 유사하다는 주장.
    • CEO가 신뢰와 협력을 강제하지 않으면 조직은 자연스럽게 불신에 강한 행동을 발전시킴.
  • iPhone에서 Android로의 이동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 Apple의 PR 실수로 인해 사람들이 iPhone의 성능을 오해함.
    • 결과적으로 더 나은 기기를 선택한 사람들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