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GN⁺ 6달전 | ★ favorite | 댓글 5개
  • Weird Gloop이 League of Legends Wiki를 Fandom에서 독립시켜 호스팅하게 되었고, Minecraft Wiki도 Fandom에서 독립시킨 경험이 있음.
  • 이러한 변화는 커뮤니티와 개발자가 Fandom의 제약에서 벗어나 더 나은 위키를 만들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임.
  • Fandom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
    • Fandom은 광고와 불필요한 콘텐츠로 인해 사용자 경험을 저해함.
    • 위키 커뮤니티가 Fandom을 떠나고 싶어도, Fandom은 여전히 그들의 위키를 유지하여 검색 엔진 순위를 차지함.
    • 독립 위키는 Fandom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최근 Google이 독립 위키에 우호적으로 변하면서 상황이 개선됨.
  • Fandom을 떠나는 것이 좋은 이유
    • Fandom을 떠나면 위키 편집자 수가 두 배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
    • 독립 후 기술적 프로젝트를 구현할 수 있는 유연성이 생김. 예를 들어, 게임 내 아이템 조회, WikiSync, 실시간 가격 정보 등이 가능해짐.
  • 위키 독립 지원
    • Fandom에서 독립하고자 하는 위키 커뮤니티에 구체적인 전략을 제공할 계획임.
    • Weird Gloop이 호스팅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호스팅 옵션도 고려 가능함.
  • Fandom 2.0이 되지 않기 위한 두 가지 방법
    • 위키 커뮤니티의 자유로운 이동 보장
      • 위키 커뮤니티가 불만족할 경우 자유롭게 떠날 수 있도록 보장함.
      • Weird Gloop은 위키 커뮤니티와의 협약을 통해 이러한 자유를 명확히 규정함.
    • 글로벌 브랜딩의 부정적 가치
      • Fandom의 과도한 브랜딩은 개별 위키의 정체성을 약화시킴.
      • Weird Gloop은 최소한의 브랜딩을 유지하며, 개별 위키의 명성을 우선시함.

GN⁺의 정리

  • Fandom에서 독립하는 것은 위키 커뮤니티의 자율성을 회복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함.
  • 독립 위키는 더 많은 편집자를 유치하고 기술적 혁신을 가능하게 함.
  • Weird Gloop은 위키 커뮤니티의 독립을 지원하며, Fandom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함.
Hacker News 의견
  • Fandom이 위키를 호스팅하기에 부적절한 이유

  • Minecraft Wiki가 Fandom에 인수된 것에 대한 책임을 느끼며, Weird Gloop와 같은 조직이 성과를 내는 것을 보게 되어 기쁨

    • 당시 Minecraft Wiki와 Minecraft Forum을 운영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었고, 생존을 위해 돈이 필요했음
    •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는 Cloudflare 덕분에 고트래픽 웹사이트 운영이 더 경제적임
    • 과거로 돌아간다면 Weird Gloop 같은 조직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함
    • Fandom에 의해 고통받은 사람들에게 사과의 말을 전함
  • Runescape 위키는 매우 잘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로 구성된 놀라운 사이트임

    • 시각적으로 깔끔하고 정보 구조가 잘 조직되어 있음
    • 소프트웨어가 빠르고 반응성이 뛰어나며 현대적인 느낌을 줌
    • MediaWiki의 품질을 증명하는 사례로 보임
  • Path of Exile는 Fandom에서 새로운 사이트로 이전했으며, GGG가 새로운 위키를 자체 서버에 호스팅하기로 결정함

    • 새로운 위키가 이전 위키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음
    • Fandom을 떠나는 게임 위키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추세로 보임
  • 광고 수익을 위해 침입적인 광고를 추가하는 문제를 지적함

    • 광고로 인해 사이트 방문자가 줄어들고, 결국 수익이 감소할 수 있음
    • 큰 그림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임
  • 전 Wikia 엔지니어로서 Fandom으로 이름이 변경될 때 회사를 떠났음

    • AI/NLP를 활용한 새로운 제품 개발을 제안했으나 실현되지 않음
    • 고객 경험을 저하시키지 않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
  • Google이 Fandom에 높은 순위를 부여하는 것에 불만을 가짐

    • 경쟁이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 연락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함
  • Fandom 외부에서 위키를 운영하는 조직이나 그룹은 칭찬받아야 함

    • Weird Gloop와 Liquipedia를 응원하며, Fandom으로 이동할 가능성을 두려워함
  • Path of Exile를 플레이하며 Fandom의 위키 URL을 검색에서 차단하여 삶의 질을 개선함

    • 공식 위키가 항상 검색에서 뒤처졌음
  • MediaWiki는 웹 서버에 설치하기 쉬운 소프트웨어임

    • PHP 설정 후 파일을 업로드하고 설정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업로드하면 됨
    • SQLi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메일 설정이 필요하지 않음
    • 강력하고 유연한 위키 소프트웨어로, 필요에 따라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음

공식위키가 비공식보다 뒤에 나오는 상황은 골치가 많이 아프네요

그러고보니 토종 위키호스팅 서비스는 없는거 같긴 하네요.
검색하다 보면 해외에는 각종 컨텐츠별(특히 여러 게임들) 위키사이트들은 많이 만나게 되긴 하는데, 국내에선 그런 위키들은 잘 없었던 것 같아요.
국산 게임들은 충분히 생길만 할 것 같은데 말이죠.

일반적으로 인벤으로 정보교류를 많이 하는 것 같아요.

나무위키가 대부분의 서브위키로 발전할만한 니즈를 대부분 흡수하기 때문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