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neo 3달전 | favorite | 댓글 1개
  • 저자인 Ryan Kuhn은 ABL의 엔진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시작했음. 처음에는 엔진 개발 경험이 없었지만, 호기심과 직관,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도전했음.

E2 엔진 설계

  • E2 엔진은 가스 발생기 사이클을 사용하며, 터보펌프, 연소실, 인젝터, 가스 발생기로 구성됨.
  • 터보펌프는 50,000 RPM으로 회전하며 매초 수 갤런의 추진제를 2000 psi로 가압함.
  • 인젝터는 pintle 방식을 채택해 제조 과정을 단순화함.
  • 연소실은 Inconel 재질로 3D 프린팅하고, 냉각 채널 설계를 최적화함.

하드웨어 제작

  • 부품 제작 업체와 협력하여 초기 엔진 부품을 제작했으나, 비용과 리드타임 문제로 자체 생산 역량을 확보함.
  • 5축 밀링 머신과 선반을 도입하고 기술자를 고용해 임펠러와 터빈을 내부에서 생산함.
  • 설계 개선과 제조 기술 향상으로 임펠러와 터빈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크게 절감함.

팀 구성

  • 엔진 설계와 제작에 몰두하는 엔지니어, 현장 테스트를 즐기는 엔지니어가 효과적임.
  • 경험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고 First Principle에 입각해 사고하는 엔지니어가 성공적임.
  • 자신의 분야뿐 아니라 로켓 전체를 이해하려는 엔지니어가 뛰어남.
  • 문제 해결 능력과 기계/유체역학적 직관이 가장 중요한 자질임.

테스트와 반복

  • 2019년 여름 첫 E2 엔진 테스트를 진행하며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고 해결책을 모색함.
  • 2020년 AFRL에서 터보펌프 테스트 진행, 안정적인 작동 달성.
  • 2021년 모하비에 새로운 테스트 사이트를 건설, 비행용 엔진 테스트 시작.
  •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으며 엔진과 엔지니어, 회사 모두 강해짐.
  • 테스트를 지속하며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것이 중요함.

GN⁺의 의견

  • ABL의 엔진 개발 사례는 에어로스페이스 스타트업이 참고할만한 훌륭한 선례가 될 것임. 소규모 팀이 짧은 기간에 독자 엔진을 개발한 것은 놀라운 성과임.
  • 단순하고 관리하기 쉬운 엔진 설계, 수직계열화를 통한 신속한 제작, 현장 중심의 엔지니어링 문화 등이 성공 요인으로 보임.
  • 다만 실제 비행을 통한 엔진 검증이 더 필요할 것임. 지상 연소 시험만으로는 실제 비행 조건에서의 성능과 신뢰도를 완벽히 담보하긴 어려움.
  • 기존 로켓 엔진 제조사들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과 경험이 필요할 것임. 특히 재사용 엔진 개발이 향후 도전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됨.
  • 그럼에도 ABL의 사례는 기존의 관행을 깨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로켓 엔진을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라고 생각함. 다른 스타트업들에게 영감을 줄 것으로 기대함.
Hacker News 의견
  • NASA와 NRO의 보고서, 특히 50-60년대 자료들은 간결하고 명료한 기술 문서 작성의 모범 사례이며, 당시 프로젝트 운영 방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함
  • ABL의 컨테이너 기반 발사 시스템 접근 방식은 기존 방법론을 창의적으로 활용한 신속 발사 시스템임
  • 터빈 블레이드 간격을 넓혀 가공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사례는 설계 시 제작 용이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보여줌
  • 복잡한 하드웨어 제작 과정에서 빠른 피드백 주기와 내재된 지식의 중요성을 재확인함
  • SpaceX의 Falcon과 Starship이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ABL 로켓의 차별화 포인트와 고객, 성능상 이점 등에 대한 설명이 아쉬움
  • 3D 프린팅으로 로켓 엔진용 금속 부품 제작이 가능해진 것은 흥미로운 발전임
  • 압력 탱크 기술 발전으로 액화 공기 등을 활용한 간단하고 저렴한 로켓 제작 가능성이 열림
  • 첫 엔진인 만큼 보수적인 설계 선택은 정당하며, 이후 설계에서 더욱 대담하고 모험적인 시도가 기대됨
  • 교육 목적의 수동 레이더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대한 언급
  • ChatGPT로 Saturn V 로켓 제작 가능 여부에 대한 농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