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neo 8달전 | favorite | 댓글 1개

2% 인플레이션 목표는 왜?

  • 최근 인플레이션이 뉴스에서 자주 다루어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2012년부터 공식적으로 2%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설정함.
  • 인플레이션 목표가 0%가 아닌 이유, 왜 1%나 디플레이션이 아닌지에 대한 이유 탐구.

2% 인플레이션 목표의 기원

  • 2% 인플레이션 목표는 뉴질랜드에서 시작되어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법적으로 명시하는 과정에서 제시됨.
  • 목표 달성 실패 시 중앙은행 총재 해임 가능.
  • 목표 설정은 정치적 과정으로부터 은행의 독립성 확립이 더 중요한 목적이었음.
  • 당시 중앙은행 총재의 즉흥적 발언으로 0~1% 목표가 제시되었으나, 실제로는 2%로 설정됨.

인플레이션 목표의 효과

  • 인플레이션 목표는 계약, 임금, 비용 등에 영향을 미치며 인플레이션 사이클을 늦추는 효과가 있음.
  • 뉴질랜드의 인플레이션은 1989년 7.6%에서 1991년 2%로 감소함.
  • 캐나다와 영국이 뉴질랜드를 따라 인플레이션 목표를 설정함.

미국의 인플레이션 목표 논의

  • 미국에서는 0~1% 인플레이션 목표를 지지하는 의견과 더 높은 목표를 지지하는 의견이 대립함.
  • 저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 시 행동의 여지를 제한하고 디플레이션 위험을 증가시킴.
  • 디플레이션은 투자와 소비 감소로 이어져 경기 침체를 악화시킬 수 있음.
  • 일본의 장기 경기 침체와 2001년 경기 침체는 미국의 더 높은 인플레이션 목표 논의를 강화함.
  • 2008년 경기 침체 이후 2% 인플레이션 목표로의 합의가 이루어지고, 2012년 공식화됨.

인플레이션 목표의 힘과 문제점

  • IMF 연구에 따르면 인플레이션 목표는 인플레이션 기대를 안정시키고 변동성을 낮추는 데 효과적임.
  • 그러나 인플레이션 목표 변경 시 연준의 신뢰도 손실과 인플레이션 사이클 발생 위험이 있음.
  • 연준의 신뢰도 손실은 인플레이션 목표 변경의 이점보다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GN⁺의 의견

  • 인플레이션 목표 설정은 경제에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투자자와 소비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임.
  • 2% 목표는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지만, 목표 변경 시 시장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음.
  • 인플레이션 목표는 경제학적 이론과 실제 경제 상황 간의 균형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다른 국가들의 인플레이션 목표 설정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목표 수준을 찾는 연구가 필요함.
  • 경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목표 설정의 장단점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글로벌 경제 변화에 맞춰 목표를 조정할 필요가 있음.
Hacker News 의견
  • Yellen은 90년대 중반 Greenspan과 다른 이들에게 인플레이션이 2%일 때 임금 인상을 주지 않으면 사실상 임금을 낮추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고 함. 이는 노동 비용을 조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음. 또한 Greenspan 재임 시 인플레이션 계산 방식이 변경되었는데, 이는 정부가 인플레이션에 연동된 혜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져다주었으나, 빈곤층에게 더 큰 피해를 주었다고 함.
  • 은행이 돈을 찍어내면 부자가 되고, 물가가 상승하는 부작용이 생긴다고 함. 은행은 효율성 증가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하락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흡수할 수 있으며, 추가로 2%를 더 찍어낼 수 있다고 함. 이는 수세기 동안 은행으로의 부의 은밀한 이전이었으며, 주택 가격을 예로 들어 화폐 단위의 가치 하락을 설명함.
  • 공개적이고 구속력 있는 인플레이션 목표가 있으면 경제 주체들이 서로 예측 가능해지고 안정화에 도움이 된다고 함. 인플레이션 목표가 있느냐 없느냐 자체가 특정 목표치를 결정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함.
  • 경제학 수업에서 인플레이션 목표 2%의 이유로, 디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보다 훨씬 나쁘며, 인플레이션이 소비를 촉진하고 성장을 이끈다는 점과, 인플레이션이 실질적인 부채 가치를 줄인다는 점을 배웠다고 함.
  • 인플레이션 목표를 정하는 과정이 우연하고 생각보다 덜 체계적이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STEM 분야의 결정들도 종종 이와 유사하다고 함.
  • Paul Krugman은 인플레이션 목표 2%에 대한 이론적 가정이 실제로는 사실이 아니었다고 주장함. 인플레이션 목표가 낮으면 경기 침체 시 대응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음.
  •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은 공공 부채 수준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예산 적자를 줄이려는 정치적 의지가 없기 때문에 피할 수 없다고 함. 사회 보장 프로그램의 파산 위기 등이 상황을 악화시키며, 인플레이션 목표가 무엇이든 간에 실제로는 목표 수준을 벗어난 인플레이션을 경험할 것이라고 함.
  • 인플레이션 목표의 무작위성과 일본의 부동산 버블 붕괴로 인한 디플레이션을 예로 들며,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영향에 대한 개인적 견해를 제시함. 인플레이션은 불필요한 지출을 유도하고, 디플레이션은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때까지 기다리게 함으로써 더 건강한 경제 활동을 촉진한다고 주장함.
  • 인플레이션을 2%로 유지하는 이유는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끔찍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함. 인플레이션은 인기가 없기 때문에 낮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경제 성장을 촉진하거나 외부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이자율을 "낮출" 여지를 남겨두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