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neo 5달전 | favorite | 댓글 1개

별자리는 대륙보다 젊음

  • 별자리는 대륙의 생성과 소멸을 목격하지 않았음. 별자리는 대륙보다 젊은 존재.
  • 대륙이 변화하는 시간 척도는 수천만 년에서 수억 년에 달함.
  • 태양 크기의 별이 살고 죽는 시간 척도는 수십억 년으로, 별들은 대륙보다 오래됨.

별자리는 별들의 패턴

  • 별자리는 별이나 별들의 집합이 아니라 밤하늘에서 별들이 만드는 패턴.
  • 일부 별자리의 별들은 우주 공간에서 가까이 있고 중력으로 묶여 있음. 예를 들어 플레이아데스는 수억 년 동안 함께 있을 것으로 보임.
  • 대부분의 별자리는 2D 밤하늘 투영에서 가까워 보이지만 실제 거리는 매우 다름.

별자리의 변화 시간 척도

  • 별자리는 수십만 년에서 수십만 년의 시간 척도로 변화함. 이는 대륙의 움직임보다 훨씬 빠름.
  • 오리온 별자리는 밝은 7개의 별 위치가 다른 별자리보다 느리게 변화함.

오리온 별자리의 특징

  • 오리온의 많은 별들은 서로 관련이 있고,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어 비슷한 방식으로 움직이며 약한 중력 상호작용을 함.
  • 오리온 별자리의 별들은 젊으며, 가장 밝은 별 리겔은 800만 년, 알닐람은 600만 년, 알니탁은 700만 년, 사이프는 1100만 년의 나이를 가짐.

베텔게우스의 특징

  • 베텔게우스는 보통 오리온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며, 눈에 띄게 붉고 밝기가 크게 변함.
  • 베텔게우스는 약 800만 년 전에 형성되었으나 이제 오리온을 떠나고 있음.
  • 약 10만 년 내에 초신성이 되어 약 3개월 동안 반달만큼 밝게 빛날 것임.

별자리와 대륙의 변화

  • 대부분의 별자리는 별들이 서로 대비하여 움직이면서 수십만 년에서 수십만 년의 시간 척도로 변화함.
  • 오리온은 수백만 년 동안 지속될 것이지만, 그 밝은 별들은 타버리고 초신성이 될 것임.
  • 이러한 시간은 대륙이 생성되고 사라지는 것을 목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음.

GN⁺의 의견

  • 이 글은 별자리와 대륙의 생성 및 소멸에 대한 시간 척도의 차이를 흥미롭게 설명함.
  • 특히 오리온 별자리의 별들이 서로 관련이 있고 비슷한 방식으로 움직인다는 점은 별자리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다른 흥미로운 사실임.
  • 베텔게우스가 곧 초신성이 될 것이라는 점은 천문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이러한 천문학적 사건이 인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냄.
Hacker News 의견
  • 천문학자들은 플레이아데스 성단에 대한 흥미로운 이론을 제시함. 이 성단은 하늘에서 두드러지게 보이며 적도에 가까워 지구상 모든 문화권에서 볼 수 있음. 대부분의 문화에서는 이 성단과 관련된 일곱 가지 사물(예: 일곱 자매, 일곱 소년 등)에 대한 이야기를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문화권에서는 여섯 가지 사물에 대한 이야기를 가짐. 일부 문화에서는 원래 일곱 개였지만 하나가 사라진 이야기를 가지고 있음(예: 그리스 신화의 엘렉트라). 이 성단 내 두 별이 매우 가까워 맨눈으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수만 년 전에는 이 두 별이 눈으로 구분될 만큼 충분히 멀어져 있었다는 것이 밝혀짐. 이는 초기 인류가 일곱 개의 별로 플레이아데스를 인식했고, 이것이 수만 년 동안 대부분 문화의 신화에 남아 있었음을 시사함.
  • 북극성(Polaris)은 상어보다 젊은 별임을 나타냄. 이 사실은 시간 척도에 대한 일반적인 관찰로는 그다지 흥미롭지 않지만, 북극성이 상대적으로 젊은 별이고 상어가 오래된 생명체라는 점을 강조함.
  • 태양이 은하수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2억 1200만 년이 걸린다는 사실은 항상 놀라움을 줌. 이는 태양이 빅뱅 이후 지금까지 존재했다면, 겨우 63번 정도만 은하 중심인 사수자리 A* 주위를 완전히 돌았을 것임을 의미함. 은하의 생성을 고려하면 이 숫자는 더 낮아짐.
  • 판게아 대륙이 지금까지 적어도 다섯 번 형성되고 분열되었다고 믿어짐에 놀람.
  •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에피소드 중 하나에서 별자리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보여주는 멋진 시뮬레이션을 볼 수 있음. 이 시뮬레이션에서는 시차(parallax)와 다른 중요한 현상들을 설명함.
  • 인류는 언젠가 별들을 히치하이킹하여 은하계 전역으로 퍼져나갈 수 있을 것임. 물론, 우리가 자멸하거나 재앙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임. 가능한 한 많은 태양계 내 위치에 퍼져나가는 것이 현명할 것임.
  • 천문학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인 '레드시프트(Redshift)'에 대한 추억을 되살림. 해커뉴스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종종 그들의 새로운/현대적 버전을 발견하게 됨. 레드시프트의 유명한 타이틀들에 대한 간략한 역사와 구 버전 다운로드 링크를 찾을 수 있음.
  • 베텔게우스 별이 언제 폭발할지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신뢰 구간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함.
  •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GAIA) 데이터를 이용한 별의 움직임 애니메이션 링크를 공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