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웹 환경 무결성" 제안으로 오픈 웹을 없애려는 시도
- 웹사이트가 표시되길 원하는 기기(브라우저)를 선택하고 다른 기기에는 서비스를 거부할 수 있는 "웹 환경 무결성" 제안
- 원하는 클라이언트 측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는 플랫폼에게 벌점 부과, 접근성과 포용성 문제 발생
- 제안은 극도로 반사회적으로 여겨지며 웹의 디자인 원칙에 반하는 것으로 여겨짐
- 구글은 오랜 기간 동안 웹을 자사 플랫폼으로 확보하려는 시도를 해왔으며, 이 제안은 최신 전투에 불과함
- 제안은 사람들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구글의 광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봇을 배제하고 광고를 정당한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그러나, 제안의 실질적인 대상은 사용자 추적과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인기를 얻고 있는 광고 차단기임
- 제안은 임의의 남용 가능성을 열어두며 창조적인 개방형 웹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
- 제안에 대한 반응은 다양하며, 일부는 접근성이나 포용성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다른 사람들은 이익을 보호하는 기업이 사람들에게 해로울 수 있다고 믿음
- 애플은 이미 유사한 API를 도입했지만, 어조와 세부사항에서 몇 가지 차이가 있음
- 모질라는 제안에 반대하며, 웹에 대한 원칙과 비전과 모순된다고 주장함
- 제안은 이미 진행 중이며, Chromium에서 WEI에 대한 커밋이 이루어지고 있어 예상보다 빨리 구현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