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소프트웨어 재단, 반(反) DEI 연방 보조금 거부 후 기부 급증
(thenewstack.io)- Python Software Foundation(PSF) 이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중단을 요구하는 미국 연방 보조금 150만 달러를 거부한 뒤, 전 세계 커뮤니티로부터 기부와 지지가 폭발적으로 증가
- 보조금 거부 직후 300건 이상의 신규 기부가 발생했고, 일주일 만에 15만7천 달러 이상이 모금되며 295명의 신규 후원 회원이 가입
- Guido van Rossum을 비롯한 수천 명의 개발자와 기업(예: Google Open Source)이 공개적으로 PSF의 결정을 지지
- PSF는 해당 보조금으로 계획했던 PyPI 보안 자동화 프로젝트를 당분간 추진하지 못하지만, 기존 인력으로 유지보수와 보안 강화를 지속할 계획
- 이번 사건은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가치와 결속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PSF는 향후 유럽 보조금 및 기업 후원 확대를 통해 재정 다변화를 모색 중
PSF의 보조금 거부와 배경
- PSF는 미국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 의 150만 달러 보조금 심사 과정에서 새로 추가된 조건이 DEI 관련 프로그램 중단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확인
- 조건에는 “재정 지원 기간 동안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을 촉진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해야 한다”는 조항이 포함
- PSF는 이를 이유로 보조금 수락을 거부하고, 조직의 가치와 원칙을 우선시하기로 결정
- PSF 부대표 Loren Crary는 Reddit에 “보안 프로젝트 외의 활동까지 통제하려는 요구 때문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일을 포기해야 했다”고 언급
커뮤니티의 폭발적 반응
- 발표 당일 300건 이상의 신규 기부가 접수되었고, 이후에도 기부가 이어져 기부 페이지가 일시적으로 과부하
- 일주일 후 PSF는 15만7천 달러 이상 모금, 연회비 99달러의 신규 후원 회원 295명 확보
- 일부 후원자는 기업 매칭 기부나 커뮤니티 매칭 캠페인을 진행 중
- PSF의 결정은 Reddit, Hacker News, LinkedIn 등에서 수천 건의 추천과 댓글을 받으며 큰 화제
- Reddit Python 게시물: 1,400개 추천, 355개 댓글
- Hacker News: 726개 추천, 754개 댓글
- LinkedIn 게시물: 2,000개 이상 반응, 361회 재게시
주요 인물과 기관의 지지
- PSF 이사회 Simon Willison은 “만장일치로 어렵지만 옳은 결정을 내렸다”고 블로그에 게시
- Guido van Rossum은 X(구 트위터)에 “PSF가 자신의 가치에 충실했다”며 공개 지지
- Google Open Source 공식 계정도 “오픈소스의 가치와 PSF의 헌신을 존중한다”며 게시글 공유
보조금이 중단된 프로젝트 영향
- PSF 보안 개발자 Seth Larson은 해당 보조금이 PyPI 패키지 보안 자동화 검토 시스템 구축에 사용될 예정이었다고 설명
- 목표는 공급망 공격 탐지 및 자동화된 패키지 검토 도구 개발
- 현재 인력으로는 대규모 신규 프로젝트 추진이 어렵고, 기존 PyPI 및 CPython 유지보수 중심으로 전환
- PSF 블로그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NPM·Crates.io 등 다른 오픈소스 생태계에도 확장 가능한 보안 개선 효과가 기대되던 사업
향후 재정 및 운영 계획
- PSF는 “Python 커뮤니티를 위한 새로운 자금 조달 기회를 계속 모색 중”이라며 유럽 보조금, 기업 사용 기반 수익, 개인 기부 확대를 검토 중
- 현재 PyPI는 Trusted Publishing, 디지털 서명 기반 출처 증명, Project Quarantine 등 최신 보안 기술을 도입 중
- PSF는 “AI 산업 확대로 Python 사용량이 급증했지만, 후원은 정체 상태”라며 새로운 수익 채널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
- 블로그를 통해 “지금이야말로 PSF가 가장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회원 가입·기부·기업 후원 참여를 요청
결론
- PSF의 결정은 윤리적 원칙을 지키면서도 커뮤니티의 강력한 연대와 후원을 이끌어낸 사례
- 단기적으로는 재정 손실이 있으나, 오픈소스 생태계의 가치 중심 운영 모델을 강화하는 계기로 평가됨
- PSF는 커뮤니티의 신뢰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보안 프로젝트와 재정 구조를 구축해 나갈 계획
Hacker News 의견
-
최근 Tim Peters에게 한 일을 보고 나서는 더 이상 기부할 마음이 생기지 않음
-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조직이 커뮤니티 내 유명 인사가 잘못된 행동을 해도 눈감는 경향이 있음
잠깐의 포럼 정지라도 주면, 몇 년이 지나도 계속 그 이야기가 반복됨 - 무슨 일을 말하는 건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지 궁금함
- 이런 태도 때문에 사람들이 행동 강령(CoC) 논의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음
해당 인물은 문제 행동의 전력이 있었고, CoC에 따라 일시적 정지를 받은 것임
규칙이 없었다면 “아무 잘못도 안 했다”고 했을 텐데, 명확히 규칙 위반이 있었고 커뮤니티를 위해 집행된 것임
결국 일부는 인종차별적이거나 성차별적이거나 불쾌한 행동으로 인해 배제되는 걸 원치 않는 것뿐임 - 그 일을 상기시켜줘서 고맙다는 생각이 듦
오히려 기부금을 두 배로 늘려야겠다는 마음이 생김
-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조직이 커뮤니티 내 유명 인사가 잘못된 행동을 해도 눈감는 경향이 있음
-
모든 보조금(grant) 에 이런 조항이 포함되는지 궁금했음
찾아보니 실제로 그렇다는 걸 확인함
관련 문서: NSF Grant Conditions (PDF)- 방금 NSF 보조금 신청을 마친 참이라 당황스러움
다른 자금원을 찾아봐야 할 것 같음
- 방금 NSF 보조금 신청을 마친 참이라 당황스러움
-
처음엔 $150만 달러 이상을 기부해서 들여쓰기 지옥을 없애자는 생각이 들었음
하지만 그게 그들의 가치관에 포함되어 있다니 놀라움
진지하게 말하자면, 어떤 가치관이든 간에 7자리 금액을 거절할 수 있는 조직은 존경할 만함- 많은 사람들이 지적했듯, 이번 결정은 법적·관료적·자기보호적 판단이었음
PSF는 환급 위험이 있는 영역에 들어가길 원치 않았음
자금은 PyPI용으로 지정되어 있었고, PSF 내 다른 직책에는 영향이 없었음
2020년에는 정치적으로 안전할 때 BLM 지지 성명을 냈지만, 2025년에는 가자 지역이나 베네수엘라 해상 사건에 대해서는 침묵함
이번 결정으로 정치적 자본을 얻었지만, 조직은 여전히 지도부의 독단적 운영으로 손상된 상태임
2026년 중간선거를 대비한 움직임으로 보임
전반적으로 인상 깊지 않음
- 많은 사람들이 지적했듯, 이번 결정은 법적·관료적·자기보호적 판단이었음
-
많은 댓글이 실망스러움
PSF나 그 지도부에 대한 의견과 상관없이, 이런 보조금 환수(clawback) 위협에는 반대해야 함
이는 비영리단체를 이중 구속(double bind) 상태에 두려는 시도이기 때문임- 정부 자금은 가능한 한 피해야 함
정부의 정치적 방향에 조직이 종속되는 유인을 만들기 때문임
PSF가 자립할 수 있다면 오히려 더 좋은 결과라고 생각함 - “반환 조항(clawback)”이란 이 문장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함
“수혜자가 연방 차별금지법을 위반하거나 금지된 보이콧에 참여할 경우, NSF는 재정 지원을 종료하고 자금을 회수할 권리를 가진다”
차별금지법을 지키라는 게 어떻게 “이중 구속” 시도인지 이해가 안 됨
오히려 ‘금지된 보이콧’ 이라는 표현이 더 걱정됨. 정의가 불분명함 - “실망스럽다”는 말에 동의하지 않음
이런 분위기가 Hacker News의 오래된 특징임
더 나은 토론을 기대하는 게 오히려 이상함
- 정부 자금은 가능한 한 피해야 함
-
이번 보조금 조건에는 두 가지 큰 문제가 있음
첫째, 이전 행정부의 DEI 관련 지침과 달리 조직 전체 활동에 적용됨
둘째, 정부가 자의적으로 “요건 위반”이라 판단하면 자금 환수가 가능함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대학 자금 지원을 반유대주의 구실로 중단한 전례가 있어,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줌 -
문화 전쟁(culture wars) 은 부유층이 계급 연대를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 것임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임- 사람들은 실제로 문화적 변화에 대한 의견 차이를 가짐
어떤 사회든 발전 과정에서 이런 갈등은 피할 수 없음
금주법 시대도 부자들의 조작이었다고 보긴 어려움 - 이 스레드도 최근 수십 개의 다른 논쟁처럼 익명 계정과 악의적 투표로 가득함
YCombinator의 자금 배경을 보면, 이런 현상도 그리 놀랍지 않음
- 사람들은 실제로 문화적 변화에 대한 의견 차이를 가짐
-
이런 정부의 행동에 맞서지 않으면, 그들은 점점 더 많은 요구를 하게 됨
이미 대학들이 그 결과를 체감하고 있음 -
“woke”라는 단어가 원래는 세상의 문제에 눈뜨자는 뜻이었는데,
언제부터 비하어로 변했는지 의문임
그 단어를 조롱조로 쓰는 사람들의 태도가 무엇을 말해주는지도 생각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