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3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위키미디어 재단이 영국의 온라인 안전법 규정에 대해 제기한 이의 제기가 법원에서 기각됨
  • 온라인 안전법상 '1등급' 사이트로 분류되면 위키백과는 사용자 신원 확인 의무 등의 강화된 규제를 받아야 함
  • 재단은 이 규제가 자원봉사 편집자들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주장함
  • 법원은 재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Ofcom과 정부의 책임을 강조하며 일부 추가 소송의 가능성을 열어둠
  • Ofcom은 이번 판결을 바탕으로 추가 온라인 안전 규정 마련 작업을 계속 추진할 방침임

사건 개요

  • 위키미디어 재단이 영국 온라인 안전법(Online Safety Act)의 새로운 규정에 법적 이의를 제기했음
  • 해당 규정은 위키백과가 사용자 신원 확인을 강제받을 수 있어, 자원봉사 편집자의 인권과 안전이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
  • 재단은 사법 심사(Judicial Review)를 요청하여, 정부가 ‘1등급(Category 1)’ 사이트 지정 방식을 잘못 설정했다고 주장함

정부와 법원의 입장

  • 정부는 BBC에 고등법원 판결을 환영하는 입장을 밝혔으며, 온라인 공간을 보다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임을 강조함
  • 사법 심사란, 공공기관의 결정을 내리는 방식의 적법성을 검토하는 절차임
  • 재단과 위키백과 편집자는, 해당 규정이 원래는 대형 소셜미디어를 겨냥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위키백과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논리적 허점이 있다고 주장함

'1등급' 분류에 관한 쟁점

  • 위키백과가 ‘1등급’으로 분류되면, 기여자의 신원 확인 의무가 부과될 수 있음
  • 이는 자원봉사 모델과 프라이버시 보호 원칙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으로 우려됨
  • 위키백과가 이를 피하려면 영국 이용자 접근 수를 4분의 1 수준으로 줄이거나 핵심 기능을 비활성화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음

법원의 결정과 여지

  • 법원은 위키미디어 측의 주장을 기각
  • 그러나 Phil Bradley-Schmieg(위키미디어 재단 수석 변호사)는 판결문에 Ofcom 및 장관에게 위키백과 운영에 심각한 장애를 주는 체계를 무조건 허용한다는 “초록불”을 준 것이 아님을 강조함
  • 법원은 향후 Ofcom이 실제로 1등급 분류를 내릴 경우 재차 법적 도전이 가능함을 시사함
  • 만일 1등급 분류로 인해 위키백과가 정상 운영불가 상황에 놓인다면, 추가 법적 이의제기가 이어질 수 있음

전문가 및 기관 반응

  • Mona Schroedel(Freeths 소속 데이터보호 소송 전문가)는 “위키백과가 일반적인 사용자간 플랫폼과는 상당히 다르며, 이번 판결이 후속 심사에서 예외 적용 가능성을 남겼다”고 평가함
  • 온라인 안전법 시행 기관인 Ofcom은 판결을 참고하여, 카테고리화된 서비스와 관련 규정 마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언급함
Hacker News 의견
  • Wikimedia이 영국에서의 접속을 차단하면 언론과 인기 정치인들의 주목을 받을 것이며, 정치인들이 입장을 바꿀 가능성이 높음
    "Repeal the Online Safety Act" 청원은 50만 명 이상의 서명을 받았지만 정부 답변은 확고한 거절이었음
    정부는 온라인 안전법을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고, Ofcom과 협력해 법을 최대한 빠르게 시행해 영국 이용자 보호에 나설 것이라 주장함
    https://petition.parliament.uk/petitions/722903

    • 청원은 의미가 없음
      정부는 600만 명이 넘는 서명이 들어온 청원도 무시한 적이 있었음
      예를 들어, SNS 계정 개설에 실명 인증을 의무화하라는 청원도 약 70만 명 가까운 서명을 받았으나 거절됨
      정부는 그 이유로 익명성이 필요한 사용자(성 정체성 탐색 청소년, 내부고발자, 언론 소스, 학대 피해자 등) 보호를 들었음
      신분 인증을 강제하면 이들의 신원이 노출되어 안전에 해가 될 수 있음
      https://petition.parliament.uk/archived/petitions/575833
  • 혹시 순진한 질문일 수도 있지만, Wikimedia가 꼭 뭔가를 해야 하는 이유는 뭔지 궁금함
    영국 내에 법적 실체가 없다면, "우린 영국 기반 조직이 아니라 해당 법의 의무가 없다"고 말하면 되는 것 아님
    영국 정부가 Wikipedia를 차단하게 두는 게 나은 선택임

  • Wikipedia가 과거 protest를 위해 서비스 차단 경험이 있음
    2012년 SOPA/PIPA 관련 protest blackout 때도 그런 일이 있었음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3477966
    https://en.wikipedia.org/wiki/Protests_against_SOPA_and_PIPA
    https://en.wikipedia.org/wiki/Wikipedia:SOPA_initiative

  • HTTP 451 "법적 사유로 접속 불가" 메시지는 이런 상황에 딱 들어맞는 코드임

  • 얼핏 보기엔 우스꽝스럽거나 터무니없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이런 상황에는 이만큼 효과적이고 간결한 대응책도 드물 것임
    영국은 세계 다른 나라들이 대응하지 않을 거라 생각하고 있음

  • 정부가 BBC에 밝힌 내용을 보면, 이번 판결이 온라인 안전법 시행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함
    하지만, 이 법은 일부 사람만을 위한 더 안전한 환경을 만든다는 점이 명확함
    Wikipedia가 Category 1에 해당할 경우, 기여자의 신원 인증 의무가 생겨 프라이버시와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음
    일부 문서는 영국 정부에 불리한 정치 스캔들, 이민처럼 정부가 강하게 통제하고 싶어 하는 주제를 다루고 있음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은

    1. 사람들은 VPN 등 우회 수단을 써서 제한을 피하려 함
    2. 다음 정부가 쉽게 점수 딸 수 있는 카드로 이 법을 폐기하려 할 수 있음
    3. 영국 헌법 논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https://en.wikipedia.org/wiki/…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Labour_Party_(UK)_scandals
      https://en.wikipedia.org/wiki/Modern_immigration_to_the_United_Kingdom
    • 이 법을 통과시킨 정부는 이전이었고, 사람들은 다음 정부가 이를 뒤집을 거라 기대하고 있음
      하지만, 꼭 그럴 거라고 장담할 수 없음
      Reform이 세부 항목만 일부 수정할 수 있겠지만, 모든 당이 완전히 되돌릴 거라 믿기는 어려움

    • 본질적으로 권력을 내려놓는 일을 정부가 스스로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점을 상기하고 싶음

    • 헌법 도입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는데, 정부가 처리해야 할 현안이 너무 많아서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함
      정치권에서 중대한 우선순위로 다뤄지고 있지도 않음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궁금함

    • 일부에게만 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는 지적처럼, 이제는 범죄자들도 서버 해킹 없이 개인정보를 빼갈 수 있음
      나이 인증 회사를 만들어 비용을 정하고 기업을 유치하면 되기 때문에 범죄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더 안전함'

  • 만약 Ofcom이 Wikipedia를 Category 1 서비스로 지정하면, 실질적으로 Wikipedia가 운영 중단을 맞게 되며, 이런 상황에서 법 규정 수정이나 예외가 필요할 수 있음
    그 전까진 위협만 존재할 뿐임
    Wikipedia는 영국에서 자진 철수하는 게 나음

    • Wikipedia가 영국에서 자진 철수하기보다는, 영국 내 서버, 직원, 법적 실체를 모두 철수하는 게 맞음
      영국 정부가 직접 검열하려는 노력을 하도록 놔두는 게 나음
      오히려 "영국판 만리장성 방화벽"을 만들게 하고, 그 과정을 국민이 직접 체감하게 하는 것이 나음

    • 본문에서 인용한 판결문이 복잡하고 조건절이 많아서 해석하는 게 흥미로움
      이런 모호한 문구가 향후 더 나은 판례로 연결될 수도 있음을 기대함

    • 미국 대법원도 가상 상황에 대해 판단을 내리지 않음
      Ofcom은 현재 Wikipedia를 Category 1으로 지정하거나 그럴 계획을 밝힌 적이 없음
      해당 규정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업계(즉, Wikipedia 포함)와 협의 중임
      만약 Wikipedia가 Category 1으로 지정된다면 그때 이의를 제기할 수 있음
      만약 심각한 부작용이 생기면 장관들이 규정을 바꿔야 함
      현재로선 법원이 명확한 답을 줄 수 있는 상황 아님

  • 이 법의 가장 흥미로운 점은 입법, 로비의 근원임
    주로 Carnegie UK의 William Perrin OBE, Prof Lorna Woods가 초안을 마련하고 추진함
    William Perrin은 Ofcom 창립자이기도 하며, 자신의 단체 자금을 활용해 규제기관 영향력을 키우고 있음
    나이 인증 회사 Yoti와 Carnegie UK 간 재정적 연관성도 제기됨
    Yoti는 비상장 기업으로 투자자는 비공개임
    10대가 나이 인증을 쉽게 우회한다는 건 누구나 아는 사실이라 뭔가 이상함
    https://carnegieuk.org/team/william-perrin-obe/

  • Wikipedia는 누구나 편집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지만, 동시에 잘못된 자료나 허위 정보가 들어갈 여지도 있음
    그러나 이런 개방성이 Britannica를 능가하는 다양한 양질의 문서를 만들어 냈음
    Wikipedia는 자유로운 인터넷의 산물임
    아직도 많은 정치인들이 인터넷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채 법을 제정하며, 이런 법은 실제 문제를 해결하지도 못함

    • 지금 영국(그리고 EU 다수 국가)이 이렇게 행동하는 건 단순한 무지 때문은 아니라고 생각함
      예전에는 그럴 수도 있었겠지만, 이제는 정치인들이 자유로운 인터넷이 자신들의 권력 남용에 미치는 위협을 잘 알고 있음
      실제로 영국에선 별도의 신원 인증 의무 없이도 온라인 의견 표출 때문에 하루에 30명씩 체포되고 있음

    • 정치적으로 좌파와 우파 모두 인터넷 상 발언 추적에 열을 올리고 있음
      각자의 목적을 위해 누가 뭘 말했는지 추적하려고 나서는 것처럼 느껴짐

    • 주요 문서는 상시 잠금 및 관리 중이고, 이런 문서가 차지하는 트래픽이 많음
      실제로 사용자들이 노출되는 훼손 가능한 문서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음
      훼손 시도에 대한 영향도 크지 않음

    • 정치적 표 얻기를 위해 한다는 지적에 대해, 불과 몇 년 전 정부 방침과 다른 보건 관련 담론을 통제하려 했던 쪽이 어떤 정치적 스펙트럼이었는지 상기시켜 주고 싶음

  • 대형 서비스 제공자들이 법 제정 초기부터 단호하게 각국에서 철수하는 결정을 내렸어야 했음
    지금은 이미 때가 지난 것 같고, 앞으로도 상황이 쉽게 바뀌지 않을 것 같음
    여론조사 결과, 대부분의 영국인은 이런 규정을 지지한다고 나오지만, 동시에 절반 넘는 사람들이 실질적 효과에는 회의적임
    이런 태도 자체가 실제로 시민들이 원하는 바를 보여줌
    사람들은 사회 전체 권리 감소를 감수하면서까지 '아이 보호'라는 명분을 쉽게 받아들이고 있음
    결국 집을 태워 돼지를 구우려는 꼴임
    https://yougov.co.uk/technology/articles/…

    • EU의 Digital Services Act보다 지금 영국에서 선을 긋는 게 낫다고 생각함
      EU 전체 서비스 차단은 영국보다 더 뼈아픈 선택이 될 수 있음
  • 러시아에선 아동용 특별 SIM카드를 만들어, SNS 가입 자체를 차단하는 방안이 있음
    모든 사이트, 앱이 별도로 인증하는 것보다, 기기(노트북, 휴대폰, SIM)를 구매할 때 기준을 적용하고, 해당 상태를 펌웨어에 기록해 인증되지 않은 기기는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서비스만 이용하도록 하는 게 더 효율적임
    이러면 사이트 운영자, 앱 개발자가 별다른 부담 없이 해결됨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거대 기업이 미이행 시 차단하거나 대체사가 들어올 수 있음
    단 둘만 설득하면 수천 개의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강제하는 것보다 훨씬 쉽고 효과적임

    • 러시아가 오히려 더 솔직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드문 경우임
      기기 플래그 방식은 법적으로 강제되고도 쉽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모 통제가 쉽고 침해도 적음
      하지만 이 방식은 개별 인터넷 사용자의 신원과 정치적 성향을 국가가 추적하지 못하게 되어, 아이 보호를 명분으로 한 진짜 목적(국민 전체 감시)에는 적합하지 않음
      이를 위해 암호화 폐지, 전체 메시지 스캔 시도처럼 끊임없는 노력들이 나오는 것임

    • 영국 법은 단순히 휴대전화 접속을 넘어선 의무를 요구함
      러시아 법도 아마 비슷할 것임

    • SIM카드는 실명 인증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국가가 개별 이용 기록을 모두 알 수 있기 때문에 러시아 방식도 전혀 낫지 않음

  • Online Safety Act는 정말 나쁜 법임
    Wikipedia가 영국 접속 차단하기를 희망함
    (나는 영국 시민임)

    • 오히려 Wikipedia가 영국 내 모든 거점을 철수하고, 영국 아이피를 차단하지 않는 편이 낫다고 생각함
      시민 편에 서서 정부에 맞서는 게 중요함
      정부가 스스로 "그레이트 브리튼 방화벽"을 만들게 하고, 그 현실을 시민이 직접 경험하게 해야 함

    • 권위주의 정부처럼 행동하면, 권위주의 국가 취급받게 되는 법임

    • 만약 Wikipedia가 영국을 차단해도, 영국 전용 복사판이 금방 20개쯤 생길 것임
      결과적으로 아무 변화도 없고, Wikipedia의 영향력만 약화됨

    • 시장 철수는 효과가 없음
      러시아만 해도, 차단된 서구 앱 대신 현지 경쟁사가 바로 등장함
      시장에는 언제나 기회를 노리는 사람이 많음

    • 사용자들은 결국 AI 요약 같은 걸로 대체 접근을 시도할 것임

  • 영국이 이 흐름을 주도하고 있지만, 성공할 경우 다른 나라들도 쉽게 뒤따라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음
    이 이슈는 모든 서방 국가 시민에게 중요한 일임

    • 미국 역시 유사한 금지 정책을 주별로 단속적으로 도입하고 있음
      연방 권력 구조상 일괄 추진은 어렵지만, 핵심 추진 세력은 같음
      근본적인 사회적 배경은 다를 수 있지만, 법안을 밀어붙이는 마인드는 동일함
  • Wikimedia가 이런 규정을 모른 척하면 실제로 어떻게 될지 궁금함
    더 권위적인 국가에서도 검열 요구를 무시한 적이 있지 않은가
    그럼 영국은 어떤 점에서 다른지, 혹시 범죄인 인도조약 때문인지 궁금함
    Signal도 유럽 규제가 도입되면 철수하겠다고 선언했는데, 이란이나 중국에서는 검열 피해도구를 제공하면서 왜 유럽 법에는 못 맞추는지 궁금함

    • 영국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이트 주인(CEO 등)이 영국 땅을 밟을 때 체포할 권한이 있음
      실제로 Civitai가 영국 차단(geoblock)한 게 이런 이유임

    • 실제로 가능한 시나리오는

      • 직원이 회사의 행위에 책임지게 됨
      • Wikimedia 서비스가 차단당함
      • 아니면 금전적 제재 등 다른 제재가 발생할 수도 있음
        현실적으로는 Wikimedia가 아예 영국을 차단하거나, 법 준수 위해 영국 유저에 한해 읽기 전용으로 바꾸는 등 조정할 가능성이 큼
        아니면, Ofcom의 실제 규정이 예상보다 완화돼 Wikimedia에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음
    • 영국은 CEO나 직원 등이 방문 시 입국 금지, 또는 체포 등의 조치를 내릴 수 있음

    • 미국에서는 이런 행위 자체가 합법이므로, 상호 범죄 요소가 없어서 인도조약이 적용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