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GN⁺ 3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Universal Pictures의 1936년 오프닝 로고는 Alexander Golitzen 주도 아래 아르데코 스타일과 새로운 소재인 플렉시글라스를 활용해 제작함
  • 회전하는 별은 얇은 플렉시글라스와 반사율이 높은 은 활성화 황화아연 도료를 사용하여 각각 따로 촬영함
  • 별이 만들어낸 빛의 움직임은 여러 대의 조명과 카메라 기술로 사실적으로 연출함
  • 다양한 절차를 거쳐 별 영상을 지구본에 프로젝션하고, 두 개의 지구본과 수공 회전다중 인화 방식을 활용함
  • 완성까지 약 6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이 프로토타입 지구본은 훗날 영화 'This Island Earth' 소품으로 재활용됨

Universal Pictures 1936년 오프닝 로고 제작 과정

배경 및 스타일 변화

  • Art Director Alexander Golitzen은 Universal에서 30년 넘게 활동한 인물임
  • 1927년부터 사용된 지구를 도는 복엽기 로고가 새로운 소유주 결정에 따라 폐기됨
  • Golitzen은 아르데코 움직임을 받아들였으며, 로고의 새로운 소재로 플렉시글라스를 선택함

별 연출 및 촬영 기법

  • 크기가 다른 회전하는 별은 매우 얇은 플렉시글라스에 제작함
  • 표면을 은 활성화 황화아연으로 얇게 코팅하여 높은 반사율을 가짐
  • 이 물질은 엑스레이와 브라운관에서도 종종 활용된다는 특징이 있음
  • 별은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여러 대의 조명이 별을 따라 원을 그리며 움직임
  • 카메라의 조리개를 꽉 조여 촬영함으로써 별빛과 반사광이 길게 움직이는 효과를 연출함

별과 지구본의 결합

  • 별 영상지구본에 투사하는 작업 수행
  • 지구본 내부도 같은 인광체로 코팅하되 반사율 제어를 위해 농도를 절반으로 희석함
  • 겉면은 검은색으로 칠해 투명성을 제거함
  • 첫 번째 촬영에서는 글자 없이 6피트 전방 프로젝션 스크린 앞에 지구본을 배치함
  • 별 영상이 지구본 위에 투사되면서 드라마틱한 빛 움직임을 만들어냄

문자와 최종 영상 조합

  • 두 번째 촬영에서는 더 큰 지구본을 광택 처리 후 완전히 검은색으로 칠함
  • 회사 로고 문자를 부착하고 금속 막대에 고정해 직접 손으로 회전
  • 특수효과 아티스트 John Fulton이 고속(약 32fps)으로 저각도 촬영을 진행함
  • 이 영상은 기존의 지구본 영상 위에 세 번 겹쳐 인화(triple print)
    • 첫 번째는 제목의 반사광을 위해,
    • 두 번째는 지구본과 글자에 빛을 끄고 촬영해 실루엣을 만듦
  • 배경은 후방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구성하여, 완성본에서는 지구본 실루엣 매트에 실제 제목을 오버레이해 최종 로고 영상 완성함

완성 및 후일담

  • 이 로고의 전체 제작 기간은 약 6개월 소요됨
  • Golitzen에 따르면 완성된 지구본은 1955년 영화 ‘This Island Earth’에 등장하는 ‘** Interociter**’ 소품으로 일부 재활용됨
Hacker News 의견
  • 누군가 마법처럼 특별한 일을 만드는 비결은, 상식적인 사람이 감당하지 못할 만큼 어마어마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라는 말을 들은 적 있음, 그래서 남들은 결코 그 과정을 힘들게 했으리라 짐작하지 못함

    • 이 원리는 Lawrence of Arabia 이야기도 생각나게 함, 영화에서 로렌스가 성냥을 손가락으로 끄는 묘기를 보임, 다른 사람이 따라 했다가 아파서 비명을 지르자 "비결은 아픈 걸 신경 쓰지 않는 것"이라고 답했음
    • 나는 이 말을 Penn & Teller의 Teller가 한 것이라고 기억함 Penn & Teller 인용문 위키에서 참고할 수 있음
    • 이 얘기를 들으니 뉴요커에 실린 Ricky Jay 기사도 떠오름, 그는 정말 대단한 인물임 Ricky Jay 프로필 기사에서 멋진 이야기를 무료로 읽을 수 있음
    • 만약 명성이 없다면 손가락을 자르는 것도 괜찮겠음, 농담임 :)
    • Penn & Teller가 이 말을 했지만, 아마 그들보다 먼저 말한 사람도 있었을 것 같음
  • 1960~80년대 BBC 1 아이덴트가 떠오름, 실제 물리적 모델을 이용해서 생방송으로 송출했던 방식임 Noddy (카메라) 위키, 이후에는 매우 독특한 전자 시스템으로 교체됐고, 이 장비(COW)가 옛날에 중고로 매물로 나왔던 적도 있음 Computer Originated World 위키

    • 이 영상 끝부분에서 Noddy 화면을 볼 수 있음 Noddy 영상, 그리고 방송 송출 영상이 어떻게 보였는지도 확인할 수 있음, ‘Temporary Fault’ 같은 안내 표지판도 찍을 수 있어서, 문제가 있을 때 관객에게 상황을 알릴 수 있었음, 컬러 TV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Colour"를 추가했고, 라이선스 비용 때문에 흑백으로 계속 보는 사람도 많았음, 2025년 현재 나는 아직도 4K 모니터가 아닌 1080p를 쓰는데 충분히 만족함
    • 이 기사에 왜 실제 로고 사진이나 영상이 안 들어가 있는지 궁금함
  • 닥터후(Doctor Who) 1960년대 오프닝 역시 "저 시기에 어떻게 만들었지?"라는 감탄이 절로 나오는 작품임, 상업용 신시사이저도 없던 시절이어서 그 시기의 기술로 경이로움을 선사함 오프닝 영상 제작 과정 기사

    • 닥터후 테마곡이 내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미묘하고 복잡했음, 대학에서 앰프 입력/출력 단 시제품을 만들고, 함수 발생기와 스피커에 연결해 단순한 사인파를 출력했음, 장비의 심한 왜곡 덕분에 닥터후 테마의 멜로디를 즉흥적으로 연주할 수 있었음, 나는 본능적으로 베이스 라인을 입으로 따라줬음
    • BBC Radiophonic Workshop(음향 실험실)은 정말 혁신적이었음, 음악을 배우며 그들의 기술과 역사를 오래 연구했던 기억임
  • HBO의 "Feature Presentation" 오리지널 인트로는 미니어처와 물리적 특수효과로 만들었음, 디지털이나 CGI가 전혀 없던 시대의 창의적인 작업임, 관련 다큐멘터리가 유튜브에 있음 다큐멘터리 영상

  • 이 로고 제작에는 다양한 요소 분석과 치밀한 디테일이 들어갔기 때문에 작업에 약 6개월이나 걸렸음, Golitzen은 Art Deco 스타일을 적극 수용했고, 1934년 NANA의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로도 활약했음, 다만 그의 그림을 온라인에서 찾기는 쉽지 않음. 70년대 후반 MoMA 예술/영화 엑스포 자료에는 이름이 언급되어 있음 MoMA 보도자료

  • 과거에는 영화를 위한 마법 같은 효과를 실제 손으로 만드는 장인이 많았고, 소재나 사진 등 여러 분야의 지식이 복합적으로 필요했음

    •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러함, 대부분 사람들은 Windows 10 배경화면도 실제 실험적 촬영을 이용해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잘 모름 Windows 10 배경 제작 과정
    • "예전에는 그랬지"라는 말보다 지금도 오히려 더 많다고 생각함, 현대 영화에서도 상당수 효과는 실제 물리적 작업(practical effects)으로 해내고 있음
    • 내가 일하는 곳 근처 브뤼셀에도 비슷한 스튜디오가 있는데, 그 친구들은 정말 기발하고 훈훈함, 몇 년 전에 Arte 로고 작업을 어떻게 했는지 듣고 놀랐음 Arte 로고 제작 영상
  • 2020년 5월 24일의 Twitter 스레드 링크를 공유함 트위터 스레드 읽기

    • 이런 훌륭한 정보를 왜 트위터에 공유하는지 잘 이해가 안 됨, 특정 소수의 관심사인데도 꼭 그곳에 올려야만 하는지 궁금함
  • 요즘은 최첨단 그래픽 덕분에 실제 특수효과 지식이 거의 잊혀진 것 같아 재미있음, 예전 DVD에는 비하인드 영상과 다양한 추가 자료가 많아서 그런 영화 마법의 과정을 직접 볼 수 있어서 그리움, 요즘은 스트리밍 시대라 그런 부가 콘텐츠가 사라지고, 스튜디오에서도 그 제작비를 아끼는 걸 좋아하는 듯함, Columbia 로고도 시대에 따라 꾸준히 업그레이드 됨, 과거 자막 합성도 여러 개 테이프를 동기 합성해서 만들었고, 그 전에는 필름으로 분리해서 만들었음

    • 스튜디오에서 부가영상을 안 만드는 진짜 이유가 비용 때문이 아니라, 어차피 요즘은 유튜브 등에서 영화 홍보용 무료 미디어 콘텐츠가 많이 나오니 굳이 부수 콘텐츠에 투자하지 않는 것 같음
  •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로, 'This Island Earth' MST3K 에피소드가 진짜 꿀잼임, 영화 자체도 복고 감성 초창기 SF라 좋아하는 사람 많음

    • 'This Island Earth'는 MST3K: The Movie에도 소개되었고, 영화 시작 시 "Universal International" 로고가 뜨자 진행자가 "이미 유니버설한데 왜 인터내셔널이야?"라고 농담함
  • 1930년대에 이미 플렉시글라스(plexiglass)가 있었다는 걸 처음 알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