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24시간전 | ★ favorite | 댓글 1개
  • “Reading Rainbow”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여름철 독서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됨
  • 이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독서 습관 유지문해력 증진을 목적으로 함
  • 다양한 어린이 도서 소개와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주목받은 프로그램임
  • 텔레비전 매체와 연계해 접근성을 높였으며, 아이들의 독서에 대한 흥미 유발 효과가 있었음
  • 결과적으로 교육 효과와 긍정적 반응을 얻으며 장기적으로 방영된 성공적인 사례임

“Reading Rainbow” 프로그램의 도입 배경

  • “Reading Rainbow”는 미국 내 여름방학 기간 중 학생들의 독서량 급감 현상, 즉 ‘여름방학 슬럼프’를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어린이 TV 프로그램임
  • 프로그램의 목적은 아이들이 방학 중에도 꾸준히 책을 읽는 습관을 유지하게끔 유도하는 데 있었음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 어린이 도서 선정과 다양한 주제의 책을 소개하는 형식으로 구성됨
  • 각 에피소드에서는 책 읽기의 재미와 스토리텔링을 전달하여 아이들의 독서 흥미 자극에 초점을 맞췄음
  • 텔레비전이라는 접근성 높은 매체를 활용해, 다양한 가정의 아이들이 쉽게 접할 수 있었음

성공 요소와 영향

  • “Reading Rainbow”는 장기적으로 방영되며 꾸준한 인기를 얻음
  •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독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문해력 및 독서 습관 향상에 기여함
  • 교육 현장과 가정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대표적인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사례임
Hacker News 의견
  • 우리 집 근처의 크리스천 도서관은 매년 방학마다 '독서 여름' 이벤트를 진행함
    아이들이 책을 빌려 읽고 2~3문장짜리 짧은 독후감을 쓰면 추첨에 참여할 수 있고, 마지막에는 작은 상품과 참가증을 모두에게 나눠줌
    이런 게 아이들에게 별 매력이 없을 거라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매년 사람들이 많이 참여함
    꽤 놀라운 일임

    • 우리 동네 도서관도 여름 독서 프로그램이 있었음
      책을 읽고 사서에게 책 이야기를 들려줘야 했기 때문에 줄을 서 있었음
      한 어린아이가(3살도 안 됨) 책에 대해 말하는 순서였는데, 사서가 “책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이 뭐니?”라고 물음
      그 아이가 읽은 책은 Dinosailors였는데, 공룡들이 항해하다가 멀미해서 토하는 장면이 말 없이 그려진 페이지가 있음
      그 아이는 책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을 직접 시연해 보임

    • 80년대 Pizza Hut의 BOOK IT! 프로그램에서 책을 읽을 때마다 퍼스널 팬 피자를 공짜로 받을 수 있었던 점이 엄청난 동기 부여였음

    • 어릴 때 East Bay에서 Alameda Co. 도서관의 여름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함
      책을 읽을 때마다 보물지도의 칸에 도장을 받았고, 마지막에는 별로 기억에 남지 않는 상품을 받았음
      하지만 45년이 지난 지금도 그 과정을 잊지 못함

    • “이게 아이들에게 매력이 없을 거라 생각했다”는 의견에 동의할 수 없음
      여름 독서 게임은 아주 유명하고, 아이들은 작은 상품을 정말 좋아함

  • 어릴 적 Wishbone이 내게 훨씬 더 와 닿았음
    Reading Rainbow 책 목록을 다시 봤을 때 여기 링크에 있는 책들을 많이 읽은 건 아님
    그래도 90년대에는 독서가 청소년 문화에서 정말 강조되었던 그 분위기가 그리움
    Dolly Parton 프로그램, 무료 Pizza Hut, accelerated reader 프로그램 등 덕분에 성장기에 감사한 마음임

    • Wishbone은 더 나이든 아이들 대상으로 약간 더 고전을 다루었음
      고전을 읽는 것과 쉬운 책을 읽는 건 확실히 더 나이 많은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성격임

    • Wishbone도 좋은 프로그램이었지만 Reading Rainbow와는 접근 방식이 달랐음
      Wishbone은 고전 명작을 각색해 매회 단편 드라마처럼 제작했고, Reading Rainbow는 아이들에게 그림책이나 동시대 어린이용 책을 접하게 했음
      Wishbone은 지금 다시 봐도 잘 어울리지만 RR은 그 시절 특유의 분위기가 있음
      하지만 누군가는 책에 모험심을 주입해서 아이들이 결국 다음 세대의 고전을 찾게 해야 한다고 생각함

  • PBS 및 Reading Rainbow 같은 공영방송 지원금이 90억 달러나 삭감되지 않았다는 점이 정말 다행임

    • 정확히 하자면 90억 달러 전체가 삭감된 금액이고, 그 중 약 11억 달러가 CPB(PBS+NPR) 부문임

    • 90억 달러라니?!
      모든 것이 민영화되는 수순으로 가는 듯함
      NOAA와 National Weather마저 민간 데이터 서비스로 바꾸려는 움직임도 있음
      앞으로는 기상정보를 알고 싶으면 구독하게 될 수도 있음

    • PBS의 유명 프로그램만이 전부가 아님
      90~00년대엔 PBS에서 고등학생용 일본어 교육 프로그램 ‘Irasshai’를 방송했었음
      Georgia Tech와 협력해서 2년치 커리큘럼, 140개의 30분 강의, 500페이지짜리 교재와 수업지도안, 과제, 시험 등 모든 자료를 무료로 제공함
      방영 시간과 별개로 VCR로 녹화하라고 했고, 직접 클래스에 등록해서 소규모로 전화 수업도 할 수 있었음
      시험, 등급, 1:1 구술 평가까지 제공되는 정말 효과적이고 최고의 일본어 학습 경험이었음
      대부분의 고등학교가 스페인어 수업밖에 없는 현실에서 정말 멋진 프로그램이었음
      이제는 없어짐
      Irasshai 프로그램 링크

    • PBS SpaceTime을 더 이상 유튜브에서 볼 수 없을까봐 벌써부터 아쉬움

    • 당연히 삭감해야 할 건 군사비라고 생각함
      군사력이 필요 없는 세상에서도 미친듯한 과지출을 하고 있음
      엘론 머스크도 못 건드릴 일이고, 어느 대통령도 하지 못할 일이라고 생각함
      뭔가 심각하게 잘못된 부분이라고 느낌

  • 이 글에서는 Reading Rainbow의 취지도 칭찬하지만, 실제로 1983~2006년 동안 어린이 독서 점수는 거의 변화가 없었음 (500점 만점에 10~15점 변동뿐)
    전국적으로 책 읽는 즐거움도 줄어드는 중임
    Reading Rainbow의 목표가 아이들이 더 많은 책을 읽고 이해하게 하는 것이라면, 그 목표가 실제로 달성됐는지는 의문임
    오히려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TV쇼로서 즐거움을 준 것에 머무른 듯하고
    독서 습관과 성적 향상을 원한다면, 부모들이 PBS로 채널 돌리는 것 그 이상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함
    어린이 독서 점수 데이터
    책 읽기의 즐거움 감소 데이터

    • Reading Rainbow를 실제로 시청한 아이들의 점수를 비교하는 게 더 의미 있을 거라고 생각함
      미국 전체 어린이 중 이 프로그램을 본 비율은 아마 적어서, 전국 단위의 독서점수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못했을 거임
      즉, 단순 점수만으로 이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판단할 수 없다고 봄

    • Reading Rainbow는 유행과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미션을 가지고 있었음
      83~06년 세대는 TV와 함께 자란 첫 세대가 된 시점이고, 인터넷 접근도 가능해짐
      영화로 대신 보자는 문화, 기술 발전으로 미국 사회가 기존에 책보다 다른 매체에 매력을 느끼게 된 상황
      그래서 "점수를 올렸냐"가 아니라 "그래도 잘 버텼냐”가 더 의미 있는 질문임
      단순 그래프만으로 알 수 없는 뉘앙스라고 생각함

    • 맞는 말일 수 있지만, Reading Rainbow가 없었으면 점수가 어떻게 변했을지 알 수 없으니 단순히 이 결과만으로 의미를 판단하긴 어렵다고 생각함

    • 어떤 정책이든 부모의 적극적 참여에 기대는 건 결국 많은 아이들을 오히려 놓치게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함

  • LeVar Burton은 성인 대상의 팟캐스트도 진행했었음
    작년 종료됐지만 거의 200개의 에피소드가 아카이브에 남아 있음
    여전히 오랜 기간 독서를 장려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LeVar Burton Reads 팟캐스트

  • <i>Butterfly in the Sky</i>라는 다큐멘터리가 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음
    다큐멘터리 링크

  • 노르웨이에서는 여름 독서를 게임처럼 재미있게 만드는 프로그램이 있음 Sommerles 프로그램
    초등학생 저학년에서 인기가 많음
    읽은 책을 등록하면 포인트를 받고, 도서관마다 매주 '이주의 코드워드'를 포스터로 알려주며, 맞히면 또 포인트를 얻음
    10레벨을 달성할 때마다 도서관에서 작은 상품(예: 상어 이빨 장난감 등)을 받을 수 있음

    • 어릴 때 Pizza Hut에서도 'book it' 프로그램으로 독서를 게임처럼 만들었음

    • 읽은 책 등록해서 포인트 받고 도서관에서 상품 받는다는 게 정말 동기 부여가 될지 의문임
      이미 집과 도서관에는 장난감이 많기 때문에 이런 작은 상품에는 별로 관심이 없을 것 같음
      '책을 읽으면 상품을 준다'는 시스템 자체가 너무 계산적이고 값싸며, 부모 입장에서 내 아이를 이런 방식으로 조작하고 싶지 않음

  • 내 최애 Doors 노래임
    유튜브 링크

  • 이 프로그램은 아이들 대상으로 훌륭하게 만들어졌다고 생각함
    LeVar Burton이 책을 정말 잘 읽고, 덕분에 배움이 쉽게 느껴지고, 재미와 멋까지 있었음

    • 그는 Fred Rogers처럼 아이들이 잘 이해할 수 있게 하면서도 아이들을 깔보지 않는 희귀한 재능이 있었음
      오늘날 YouTube Kids나 스트리밍 앱 시대에도 그런 진행자 찾기는 훨씬 더 어려움

    • 나는 사실 RR이 너무 지루해서 눈물이 날 뻔했음
      보통보다 더 책을 읽는 아이였지만, 순수한 분위기를 좋아해서 일부러 좋아해 보려고 했던 기억임
      많은 사람들이 모두 이 프로그램을 "좋아해야 한다"고 느껴서 칭찬하는 분위기임
      Rust 언어에 대해 다들 좋다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게 느껴짐

    • 어떤 방식이든 효과 있으면 좋은 것임
      약간 유치하지만 분명히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옴
      Punky Brewster와 Captain Planet 사이의 촌스러움, 그에 비해 빈티지 Sesame Street는 진정으로 멋졌음

    • LeVar Burton이 책을 잘 읽는다는 말이 이상하게 들림
      그는 직업 배우이기 때문에 당연히 더 잘 읽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