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P by dofuuz 4달전 | ★ favorite | 댓글 2개

https://news.hada.io/topic?id=19746 의 후속 글입니다.

국내 커뮤니티 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해 Rhymix를 선택한 이유와 Rhymix를 통한 사이트 개발 과정을 다룹니다.

이하 ChatGPT 요약입니다.


zod.kr CMS 선택 및 개발 후기 요약 (간단 요약)

  • 배경: 한국 CMS 환경이 너무 낡았다고 판단, 하지만 현실적 이유로 새로 만들지 않고 기존 CMS 사용을 결정.
  • CMS 비교:
    • 그누보드5: 코드 품질, 보안, 구조 문제로 제외.
    • Rhymix: XE 기반으로 친숙하고, 구조 개선·모던 문법 지원·확장성 좋음 → 최종 선택.
  • Rhymix 장점:
    • Composer, 모듈화 구조, 캐시 지원, 비동기 큐 등 현대적 기능 다수.
  • 단점:
    • 구식 관리자 UI, 불완전한 서드파티, 문서 부족 등.
  • 디자인: 반응형 테마 활용 + 수많은 버그 수정 및 CSS/JS 개선.
  • 기능 추가:
    • 웹 푸시, 이벤트 관리, R2 연동 업로드, 사용자 기능 등 다수 자체 구현.
  • 모듈 개발: 매뉴얼 부족 → 코드 분석 + 직접 구조 파악하며 구현.

👉 요약: 낡은 CMS 환경 속에서 현실적인 선택으로 Rhymix를 택했고, 많은 시행착오와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zod.kr을 안정적으로 구축함.

실제 사이트 개발과 운영까지 너무 귀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XE1 초창기때부터 Rhymix까지 십수년간 써오고 있는 유저 입장에서 공감이 많이 가는 내용이네요.

라이믹스가 타게팅하는 시장의 다수가 직접 개발할 능력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이 제일 큰 문제라고 봅니다.

직접 개발할 능력이 되는 사람들은 XE나 라이믹스의 부족한 문서, 애매한 구조와 레거시들을 감수하기보단, 라라벨 등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을거구요.

원글 저자분과 마찬가지로, 저 또한

  1. 많은 사람들이 익숙하게 느낄만한 관리자 페이지
  2. 아쉬움은 있어도 부족함은 없는 CMS로서의 기능들
  3. 새로운 제안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코어 개발팀
  4. 오랫동안 써온 정
    등등 때문에라도 몇몇 새 프로젝트에서 라이믹스를 채택하고 있습니다만, 매번 이 선택이 올바른 선택일지 고민을 많이 하게 되네요.

라이믹스를 프레임워크 대용으로 사용하며 아쉬웠던 부분들을 보완하고자 개인적으로 여러 시도를 해 보고 있는데요.
https://github.com/nemorize/rx-make (develop 브랜치 / PoC 프로젝트로 프로덕션 예정 없음)

라이믹스를 통째로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화 해버린다던가, 레거시 API의 접근을 최소화하고, 좀 더 모던한 API를 (레거시와 얼추 호환되게) 재구축하는 등의 여러가시 시도를 해 보고 있지만... 진짜 정말 많이 고민이 됩니다ㅎㅎ..

이 고민을 명확하게 정리해 본 적이 없었는데, 이 기회에 한번 명료하게 정리해 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