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일이 하기 싫어질까
(maily.so)- 
하버드 MBA 졸업생이자 베스트 셀러 작가인 파멜라 리의 글을 번역해서 요약한 글
 - 
외재적 동기 VS 내재적 동기
- 
어떤 일이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계기를 우리는 "동기"라고 함
 - 
"동기"는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음
 - 
외재적 동기는 행동 자체와 분리되는 보상을 받기 위해 얻는 동기를 의미
 - 
내재적 동기는 어떠한 행동 자체가 즐겁기 때문에 별도의 보상이 아닌 그 행동 자체로서 얻는 동기를 의미
 - 
심리학에서는 내재적 동기를 가장 좋은 동기 부여 방식이라고 정의
 - 
내재적 동기를 가지고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더 창의적이고, 지속 가능성이 높으며, 헌신적이고, 결과적으로 성공할 확률이 더 높음
 
 - 
 - 
내재적 동기의 예시
- 
체중 감량 대신 휴식을 위해 산책을 하는 것
 -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가르치는 것에 대해 보람을 느끼기 때문에 선생님을 하는 것
 - 
해외에서 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을 좋아해서 언어를 배우는 것
 
 - 
 - 
내재적 동기를 높이는 방법
- 
본질적인 보상을 찾으세요.
 - 
최적의 도전 수준을 찾으세요.
 - 
스스로 결정하세요.
 - 
함께 할 동료를 찾으세요.
 
 - 
 - 
참고사항
- 
내재적 동기는 자신의 "자유 선택"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는 개인적인 느낌에서 시작
 - 
행동을 할지 말지에 대해 참여 여부를 선택할 자율성이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 
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보상을 제공하는 행위는 행동의 빠른 변화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
 - 
이미 본질적으로 보상이 있는 행동에 대해 외부적인 보상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오히려 자율성을 저하시켜 그 행동을 덜 만족스럽게 만듬
 - 
이를 과정당화 효과(overjustification effect)라고 부르는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보너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종종 볼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