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프린시펄 엔지니어를 위한 조언
(eugeneyan.com)- Amazon 출신 엔지니어가 Principal(수석) 엔지니어/사이언티스트 역할에 대해 롤모델들로부터 관찰하고 배운 내용을 31가지 조언으로 정리한 글
- 프린시펄은 사실상 제품·디자인·엔지니어링·문화 전반을 다루는 다역할자로, 판단력으로 폭넓은 업무를 수행함
- 핵심은 코딩보다 기술 비전, 설계 피드백, 조직 연계이며, 이전 역할에서 핵심이었던 작업은 이제 부차적 업무가 됨
- 조직이 가치를 두지 않는 것에 가치를 가르치는 일이 큰 부분을 차지하며, 단순히 옳은 판단을 하는 것보다 타인이 공감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설득력이 중요함
- 프린시펄 없이는 일어나지 않을 작업 카테고리에 집중하고, 직접 실행보다 타인을 연결하고 육성하는 것이 더 가치 있을 수 있음
- 자율성과 책임이 함께 오며, 조직이 집중해야 할 문제를 스스로 찾아야 하고, 필수 경로에서 벗어나 인접한 위치로 전환해야 장기적으로 효과적
1-3. 역할의 본질과 스타일
-
1번: 프린시펄마다 서로 다른 스타일 존재
- 한 분야 깊이 파고드는 타입 vs 수평적 영향력 뛰어난 타입
- 기술적 선구자 vs 복잡성 명료화 타입 vs 여러 조직을 공통 비전으로 정렬하는 타입
- 자신의 강점에 맞는 스타일을 찾아야 하며, 어떤 스타일도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하지 않음
Amazon은 프린시펄이 hands-on으로 일하기(직접 참여)를 명시적으로 요구하며, 장기간 hands-on이 아닌 경우 실패 가능성이 높음
-
2번: 이전 역할에서 핵심이었던 작업이 이제는 부차적 업무
- 직접 코드 작성이 시간의 최선 활용이 아닐 수 있으나, 작업과의 연결 유지를 위해 여전히 코딩 필요
- 핵심 역할은 기술 비전, 설계 피드백, 후원, 비즈니스·제품·기술 컨텍스트 제공, 새로운 문제 발견, 연결 등
L7+ 역할의 잘 알려진 이야기: 80% 시간을 코딩에 쓰더라도, 가장 임팩트 있는 부분은 모든 사람을 더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
단일 프로젝트 코딩 집중에서 모든 빌더가 더 잘 빌드하도록 영향력 미치는 것으로 마인드셋 전환
고품질 코드를 리포지토리에 기여하고 코드가 스스로 말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설계 제안 피드백, 기술 가이드 작성, 장기 비전 주도 등 다른 노력들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 -
3번: 기술을 위한 파트타임 PM, 실제로는 모든 것에 대한 파트타이머
- 제품, 디자인, 엔지니어링, 과학, QA, 채용, 재무, 문화 등 모든 영역
- "당신의 일이 아닌 것은 없음"
- 높은 판단력으로 전문 영역 밖으로 나갈 수 있음
4-7. 커뮤니케이션과 영향력
-
4번: 당신의 역할은 더 많은 커뮤니케이션, 영향력, 적절한 사람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
-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범위가 크고, 디렉터와 VP를 넘나드는 팀들 포함
- 효과적인 정렬과 협업 없이는 성공 불가능
- 조직도를 고객에게 전달하지 않도록 주의 필요
-
5번: 옳은 것만으로는 절반도 안 됨
- 다른 사람에게 옳다는 것을 설득하고, 더 중요하게는 행동하도록 충분히 신경 쓰게 만들어야 함
- 모멘텀 구축 방법, 후원자 찾기, 완수 방법 파악 필요
때로는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가치를 보여줘야 이를 얻을 수 있음
프린시펄은 모범을 보여야 하며, 사람들이 위원회를 기다리지 않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이길 원함
"프린시펄이 바로 위원회인데, 누구를 기다리나요 :)" -
6번: 조직이 가치를 두지 않는 것에 가치를 가르치는 것이 업무의 큰 부분
- 청중은 임원부터 실무 IC(Individual Contributor)까지 범위에 포함됨
- 가장 어려운 작업이며 자주 실패하지만, 미래를 보고 더 넓은 시야를 가진 사람으로서 여전히 해야 함
- 멘토는 10개 문서 제안 중 약 3개가 실행되면 훌륭한 결과로 간주
일상 팀 레벨 업무를 담당하는 IC와 달리, L7+ 역할은 회사의 더 넓고 장기적인 관점 취할 공간 보유
임팩트를 더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하며, 그 레벨에서 기여하는 것이 가장 가치를 더함 -
7번: 프린시펄 없이는 일어나지 않을 작업 카테고리가 존재함
- 일반적으로 자신이 정말 관심 있는 것과 탁월한 것의 교차점에 위치
- 빠른 프로토타입 구축하고 리더십과 새로운 고객 경험 공유, 조직 간 또는 업계 다른 실무자들과의 다리 구축, 3년 비전 작성 등
- 이 카테고리 작업에 집중해야 함
- 경력이 진행되면서 더 깊고 좁아짐
8-11. 타인을 통한 확장
-
8번: 가장 가치 있는 일은 직접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하는 것
- 작업하려는 팀을 이미 작업한 팀과 연결하여 재사용하거나 학습하게 함
- 작업 수행 가능하고 그 과정에서 성장할 적합한 사람 식별 포함
-
9번: 혼자 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음
- 다른 사람을 코칭하고 멘토링하여 더 효과적이도록 하는 데 시간 투자가 조직에 더 유용
- 매주 몇 시간(오피스 아워 또는 정기 싱크) 할애
- 육성하고 싶은 1-2명의 IC 식별하고, 어떻게 도울지 목표 설정
타인을 통한 확장이 핵심: PE(Principal Engineer)의 성공은 조직이 PE와 동일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때
PE는 다른 모호한 문제로 이동하고 올바른 결과를 달성하는 문화 설정모두를 돕고 싶지만, 장기적으로 자신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는 사람 구축에 에너지 집중 필요
그런 능력을 보이는 모든 사람에게 집중된 시간을 투자해야 하며, 그들이 다시 현재는 잠재력이 덜 보이는 다른 사람들을 도울 수 있음 -
10번: 타인을 작업에 참여시키는 것에서 작업을 그들의 것으로 만드는 것으로 전환
- 누군가가 자신을 현재 위치에 도달하게 한 작업을 할 기회로 만듦
- 지원하고 성공을 위한 설정 제공
- 고객을 위한 중요한 문제와 흥미로운 기회의 끝없는 백로그가 있으므로 걱정 불필요
주당 1-2시간을 누군가와 보내며 그들이 자신의 통찰력 하에 40시간 작업 달성하도록 확장하는 것이 진정한 프린시펄 스케일
-
11번: 타인에게 작업을 줄 때, 이제 그것은 그들의 것
- 컨텍스트와 가이드 제공 가능하지만, 궁극적으로 방향 설정은 그들의 몫
- 자신이 취하지 않을 접근법을 취하도록 허용 포함
- 잘못되면 모두 배우고, 잘되면 자신이 배울 수 있음
- 단, 프로젝트가 역효과를 낼 수 있는 고위험 일방향 문으로 걸어가는 경우 개입 필요
12-15. 회의와 참여 관리
-
12번: 회의에서 타인을 위한 공간 창출
- 때로 회의실은 가장 시니어한 사람의 의견이나 결정을 기대, 질문하여 타인을 위한 공간 창출 가능
- 참여하지 않는 사람이 보이면, 그들의 강점에 맞는 주제로 부드럽게 끌어들임
- 회의가 논의에 있어야 할 누군가를 잊었다면, 다음 회의에 추가
-
13번: 항상 가치를 입증할 필요 없음
- 가장 효과적인 프린시펄들은 회의 내내 침묵하거나 문서 리뷰에서 거의 코멘트를 남기지 않음
- 팀과 논의가 잘 진행되고 있다면 훌륭함
- 작업 흐름에서 한 걸음 물러나 다른 곳에 에너지 집중 가능
주의: 참석하고 침묵하면 암묵적 승인의 의미, 멀티태스킹과 참석의 의미 주의
-
14번: 임원과의 회의에서 안건의 모든 주제를 다룰 필요 없음
- 임원들이 주제에 몰입하고, 의미 있는 질문하고, 그들만이 할 수 있는 결정을 내리거나 장애물 제거하면 좋은 회의
-
15번: 폭넓은 역할에서 일하면 전체 주간이 들어오는 모든 것으로 가득 찰 수 있음
- 리뷰, 에스컬레이션, 이메일, 도움 요청 등 포함
- 조직에 오래 머물수록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많이 알거나 신뢰를 얻어 "go-to" 사람이 됨
- 결과적으로 모든 회의의 "필수" 참석자가 됨
- 시간을 지키는 법을 배우지 않으면 정말 관심 있는 아이디어를 추진할 시간이 없음
- 모든 회의에 있거나 모든 아이디어에 의견을 가질 필요 없음, 중요한 것만
멘토가 공유한 것: 생각할 시간은 꼭 필요함, 회의에서 회의로 가면 처리하고 앞을 볼 수 없음
다음 큰 것을 찾기 위해 질 높은 사고 시간 스케줄하고 회의에서 연결 해제 필요위임할 방법을 찾아야 함: 다른 사람을 그 사람으로 설정하여 시간 확보,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이점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람이 성장하도록 돕는 범위 마련
16-19. 임팩트와 커뮤니케이션
- 16번: 작업 중인 것에 프린시펄이 왜 필요한지 설명 못하면 잘못된 것에 작업 중일 수 있음 (L6에도 적용 가능)
-
17번: 지위로 인해 때로는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으로 결과 개선 가능
- 타이틀은 조직적 특권을 부여하며, 관계와 컨텍스트에 대한 더 큰 접근 제공
- 경험과 결합하여 모퉁이를 더 잘 볼 수 있음
- 따라서 상당히 적은 노력 투자로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과 결과를 의미 있게 개선 가능
- 높은 ROI이며, 이런 기회를 발견하면 행동
-
18번: 타이틀은 가지지 말아야 할 때도 신뢰성의 아우라 제공
- 때로 사람들은 자신의 즉흥적 코멘트를 과도하게 해석, 특히 잘 모르는 경우
- 결과적으로 자신이 한 캐주얼한 코멘트 때문에 많은 작업 수행 가능
- 시간과 노력 낭비 가능
- 따라서 아는 것, 모르는 것, 요청하는 것, 단순히 코멘트하는 것을 명확히 해야 함
-
19번: "무엇"만 말하지 말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도 공유
- 다른 사람이 더 나은 결정을 내리도록 도움
- 다른 사람들이 "프린시펄 <이름>이 이렇게 말했으므로 우리는..."이라고 말하며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따라하는 것을 줄임
L7 입력이 필요한 문제는 보통 상당한 불확실성 하의 결정 포함
중요하지만 어려운 것: 정신 모델 명확히 표현하기 - 모든 정보 없이 판단에 도달하는 방법, 왜 특정 지식이 다른 데이터 포인트보다 중요한지
20-24. 조직과의 연결 유지
-
20번: 팀과 연결을 유지할 메커니즘 찾기
- 설계 리뷰, 주간 데모, 근처에 앉아 듣기, 팀 점심, 캐주얼한 복도 대화 등
- 조직의 맥박을 유지하고 주요 문제나 기회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
-
21번: 팀이 더 큰 그림을 계속 보도록 도움
- 실무 레벨이 일의 두꺼운 부분과 일상 전달에 집중할 때, 때로 더 크고 장기적인 문제/기회를 놓치고 지역 최적에 갇힐 수 있음
- 보유한 컨텍스트로 팀에게 이를 상기시키는 데 도움 가능
-
22번: 실용적이어야 함; 큰 그림 보기와 지역 솔루션 수용 균형
- 세부 사항에 대해 실무 레벨과 상담하고 경청, 그들이 현장 전문가
-
23번: 한두 시간만 함께한 사람에 대한 리뷰나 승진 피드백 요청받을 수 있음
- 전체 행동의 작은 샘플에 기반한 낮은 품질 피드백 제공하는 대신 거절 가능
-
24번: 인턴과 멘토와 상호작용할 시간 만들기
- 인턴십 동안 몇 번의 접점이 혁신적일 수 있음
- 초기 체크인(필요시 방향 수정), 데모 데이 참석 포함
- 멘토, 인턴과 함께 인턴십 이후에도 계속 가치 있는 결과물 향해 작업
- 제품 1-페이저,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문서 포함
25-28. 프린시펄로서의 전환과 책임
-
25번: 프린시펄에 도달하려면 필수 경로에 자신을 놓아야 함. 프린시펄로서 효과적이고 그 이상으로 가려면 적극적으로 자신을 제거해야 함
- 이전에는 "go-to" 사람이었지만, 필수에서 인접으로 전환 필요
- 조직은 점점 더 자신으로부터 혜택을 받아야 하지만, 효과적이기 위해 의존해서는 안 됨
- 자신이 만드는 기여를 다른 사람이 할 수 있도록 권한 부여 방법 생각
필수 경로 프로젝트에 자신을 주입하는 것 주의: 집중이 다른 우선순위에 의해 빼앗기기 쉬우므로, 필수 경로에서 벗어나거나 필수 경로에 있다면 정말 엄격하게 고정 필요
-
26번: 프린시펄로 승진했다면 이미 한동안 프린시펄로 행동해왔기 때문
- 일반적으로 1년 이상
- 따라서 타이틀의 증가된 기대에 대해 걱정 불필요
- 하던 것을 계속하고, 다른 프린시펄들과 교류하고, 스타일 파악하고, 리더십과 협력하여 집중 영역 식별
-
27번: 큰 자유에는 큰 책임이 따름
- 작업할 것을 선택하는 자율성이 있지만, 책임과 임팩트에 대한 기대 존재
- 자유는 원하는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해결할 가장 높은 레버리지 문제를 찾는 소유권에 관한 것
- 무엇을 하라고 들을 것으로 기대하거나 어떤 가이드를 받을 것으로 기대하지 말 것
- 조직이 집중해야 할 것을 파악할 것으로 기대됨
-
28번: 리더십과 헌장 정의 및 정렬
- 한 가지 방법: 작업을 세 버킷으로 분할 - (i) 소유자, (ii) 후원자, (iii) 컨설턴트
- 컨설턴트: 리뷰에 참여하고 가이드 제공, 시스템이나 제품 의도에 대한 높은 수준 이해
- 후원자: 위 내용 외에도 아이디어를 조직의 우선순위로 만들고, 정렬 구축과 결정 주도를 위해 작업하며, 이해관계자와 교류
- 소유자: 위 모든 것 외에도 시스템 전문가이자 첫 번째 연락 지점이며, 설계, 실행, 임팩트의 성공에 대한 거의 집착 수준 보유
- 본인은 보통 1-2개 프로젝트 소유(>50% 시간), 2-3개 프로젝트 후원(~20% 시간), 나머지 시간 컨설팅
29-31. 개인 성장과 지속가능성
-
29번: 프린시펄이 되는 것은 외로울 수 있음
- 모든 팀의 일부이지만 또한 어느 팀의 일부도 아님
- 열린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동료 네트워크 구축
- 같은 회사나 도메인에서 일하는지는 중요하지 않을 가능성
-
30번: 자신의 필요를 무시하지 말 것
- 학습, 성장, 웰빙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위한 시간과 공간 만들기
- 단기적으로는 이기적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조직에서 번아웃되는 것보다 훨씬 선호됨
- 자신을 건강하고 행복하고 성장하게 유지하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찾으면 조직도 혜택을 받으며, 조직이 자신을 유지하기 더 쉬움
- 매니저와 협력하여 균형 방법 파악
-
31번: 계속 학습할 것; 업계는 빠르게 움직임
-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않거나 최소한 작업과 관련 없는 것을 가르치는 프로젝트를 맡으면 뒤로 가는 것
- 때로는 불가피하며, 그런 프로젝트가 오면 타임박스 설정
- 학습이 직무에서만 올 필요 없음
- 논문과 기술 교과서를 읽고, 주말에 프로토타입을 해킹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더 잘 이해하는 시간을 찾는 PE들 존재
기타 리소스
- Amazon Principal Engineering Community Tenets
- Staff Engineer: Leadership Beyond the Management Track
- The Staff Engineer's Path: A Guide for ICs Navigating Growth and Change
- The job behind the job [of a high level IC]
참고: Amazon/Google의 Principal Tech IC는 “관리직에 준하는 전략적 역할을 하는 최고 기술 리더” 라는 점에서 한국에서의 "수석 엔지니어" 보다는 더 상위 개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