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GN⁺ 19시간전 | ★ favorite | 댓글 1개
  • 몬태나주는 시민이 계산 자원과 인공지능 기술에 접근하고 사용할 권리를 헌법적 보호 아래 명문화한 ‘몬태나 컴퓨트 권리법(MRTCA)’ 을 제정
  • 법은 개인이 하드웨어·소프트웨어·AI 도구를 소유·운영할 기본권을 인정하며, 재산권과 표현의 자유 조항에 근거
  • 공공 안전 목적의 규제는 허용되지만, ‘명백히 필요하고 좁게 한정된’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엄격한 기준을 설정
  • AI가 제어하는 중요 인프라에는 인간 개입이 가능한 ‘긴급 종료 장치’와 연례 안전 점검을 의무화
  • 이 법은 디지털 자유 보호의 새로운 기준으로 평가되며, 다른 주의 입법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

몬태나주의 ‘컴퓨팅할 권리’ 법 제정

  • 몬태나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시민의 컴퓨팅 및 인공지능 기술 접근권을 법적으로 보호
    • 주지사 Greg Gianforte가 상원 법안 212호(Montana Right to Compute Act, MRTCA)에 서명
    • 법은 계산 자원 사용을 헌법상 재산권과 표현의 자유의 일부로 규정
  • 법안 발의자 상원의원 Daniel Zolnikov은 이를 개인 자유 수호의 진전으로 평가
    • 그는 “모든 몬태나 시민이 미래의 도구를 통제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고 언급

규제 기준과 안전 조항

  • 법은 공공 보건과 안전을 위한 규제를 허용하지만, ‘명백히 필요하고 좁게 한정된’ 경우에만 가능
    • 법률 전문가들은 이 기준이 몬태나 법 체계에서 가장 강력한 보호 수준 중 하나라고 평가
  • AI가 제어하는 중요 인프라 시스템에는 인간이 개입할 수 있는 ‘긴급 종료 메커니즘’연례 안전 검토를 의무화
    • 혁신과 공공 안전의 균형을 위한 조치로 명시

지지와 반응

  • 프라이버시 옹호 단체와 기술 정책 그룹이 법 제정을 환영
    • Frontier Institute의 정책국장 Tanner Avery는 이를 “디지털 권리를 위한 기념비적 선언”으로 평가
    • 그는 “몬태나는 근본적 디지털 자유 침해 시 최고 수준의 검토를 적용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 언급
  • 다른 주의 규제 시도와 대비되는 접근으로, 개인 사용자 권한 강화에 초점을 맞춤

다른 주와의 비교 및 확산 움직임

  • 캘리포니아, 버지니아, 뉴욕 등에서는 AI 규제 법안이 좌절되거나 대폭 수정된 사례가 있음
    • 몬태나는 이와 달리 접근 제한보다 개인의 권한 보장을 선택
  • 뉴햄프셔에서는 몬태나의 사례에 자극받아 ‘컴퓨팅 접근권’을 헌법에 명시하는 개헌안이 추진 중
    • 주 하원 다수당 대표 Keith Ammon은 몬태나의 결단을 “국가적 방향을 제시한 대담한 조치”로 평가

전국적 ‘Right to Compute’ 운동

  • RightToCompute.ai라는 풀뿌리 단체가 주도하는 전국적 운동이 확산 중
    • 이 단체는 컴퓨팅이 언론·재산권과 같은 기본 인권이라고 주장
    • “컴퓨터는 인간 사고 능력의 확장”이라는 입장을 밝힘
  • Haltia.AI(두바이 기반 AI 스타트업)와 ASIMOV Protocol(탈중앙화 AI 인프라 블록체인 연합)이 운동을 지원
    • 공동 창립자 Talal Thabet은 몬태나 법을 “개인이 데이터와 디지털 도구를 통제할 권리를 보장하는 중대한 진전”으로 평가
  • 기사에서는 몬태나의 법이 디지털 시대 자유 보장을 위한 다른 주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언급됨
Hacker News 의견
  • 이 법의 핵심 내용은 ‘계산할 권리(Right to compute)’ 와 AI가 제어하는 인프라의 비상 셧다운 절차에 관한 것임
    정부가 합법적인 계산 자원의 소유나 사용을 제한하려면 공중보건이나 안전을 위한 명백히 필요한 경우로 한정해야 함
    또한 AI가 인프라를 제어할 경우, 일정 시간 내에 인간이 제어권을 되찾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매년 리스크 관리 정책백업 계획을 점검해야 함

    • 이 조항이 요약이라면, 정부의 제한보다는 오히려 민간 기업의 폐쇄적 제약이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함
      개인이 자신이 소유한 하드웨어에서 원하는 코드를 실행하지 못하게 하는 사유화된 제한이 핵심 문제인데, 법안은 이를 다루지 않음
      정부는 시민의 디지털 권리를 보호해야 함
    • “합법적인(lawful)”이라는 단어가 거대한 허점처럼 느껴짐
      정부가 어떤 행위를 불법으로 만들면 그 즉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 보호가 되지 않음
    • “공중보건이나 안전”이라는 표현이 권위주의적 악용의 여지를 남김
      미래의 지도자가 이 조항을 근거로 모든 컴퓨팅 기술을 몰수할 수도 있음
    • 이 법은 데이터센터 유치용 미끼일 가능성이 높음
      환경 피해나 소음 문제에 대한 지역사회의 대응을 막기 위한 장치로 보임
    • 조항이 너무 광범위해서, 엄격히 해석하면 게임 콘솔이나 iPhone조차 금지될 수 있음
      이들 기기는 합법적인 사용자 행위를 제한하는 게이트키퍼 구조를 갖고 있음
  • 몬태나가 이런 법을 통과시킨 건 잘한 일이라고 생각함
    최근 정책들은 기계 소유권과 수정 권리를 침식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었음
    예: DMCA의 우회금지 조항, 고성능 칩 수출 통제, e2e 암호화 약화 시도, 개인의 암호화폐 채굴 제한
    이런 흐름을 막기 위한 조치로 이해함

    • 하지만 실상은 데이터센터나 채굴 시설을 쉽게 짓게 하려는 목적일 수 있음
      환경 규제나 구역 제한을 피하기 위한 장치로 보임
    • 다만 이런 문제들은 대부분 연방 차원의 규제이므로, 주법으로는 큰 영향이 없을 것 같음
  • 이 법은 AI 기업 규제 방지를 위한 시도로 보임

    • 하지만 AI 인프라 셧다운 조항은 오히려 AI 기업에 적용되는 규제처럼 읽힘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규제 방지인지 설명이 필요함
  • 이 법은 마치 컴퓨터와 GPU를 위한 수정헌법 2조처럼 느껴짐
    개인의 계산 권리를 보장하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실제로 정부가 우리의 노트북을 빼앗을 위협이 있는지는 의문임

    • 헌법 제정 당시 연방주의자들은 권리장전이 불필요하다고 봤음
      하지만 지금은 “자신의 소프트웨어를 소유하고 직접 호스팅할 권리”를 명문화하는 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함
    • 최근 오픈소스 AI 모델 제한 움직임이 커지고 있음
      캘리포니아 법안은 OSS 모델 제작자에게 사용자 행위의 책임을 지우려 함
      이런 분위기에서 몬태나 법이 책임 면제 효과를 줄 수 있을지 궁금함
    • 실제로는 개인 보호가 아니라 기업 데이터센터 규제 완화가 목적일 가능성이 큼
    • 행정명령 14110과 14141이 시장의 활력을 제약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폐지되어 실질적 위협은 없음
    • 과거 미국이 암호화 기술 금지를 시도했던 걸 보면, 정부가 다시 시도할 가능성도 있음
  • 몬태나는 인구는 적지만 백만장자 비율이 높은 주
    특히 테크 산업 출신 부자들이 많아, AI 규제 방지법 통과가 우연은 아닐 것 같음

  • 이 법의 배경에는 2023년의 행정명령 14110이 있음
    관련 문서: Executive Order 14110 (Wikipedia), Hacker News 토론

  • 놀랍게도 Greg Gianforte가 정치에서 처음으로 괜찮은 일을 한 것 같음
    그는 성격은 별로지만, 과거 기술 기업 창업자였음

  • 나는 컴퓨터로 내 머리로 할 수 있는 모든 합법적 행위를 하고 싶음
    예를 들어, 상점 주인이 도둑을 알아보고 출입을 막는 건 합법이지만, 컴퓨터로 얼굴인식 시스템을 쓰면 불법이 됨
    이런 불균형이 문제라고 생각함

    • 하지만 조심해야 함
      계산 행위를 규제하려다 보면, 결국 사고 자체를 규제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음
  • 이 법안에 대해 EFF의 분석이나 의견이 나왔는지 궁금함
    그들의 법적 해석을 신뢰함

  • 몬태나의 인구는 적지만, 이 법으로 혜택을 보는 건 몇 명의 부자와 몇 마리의 소뿐일 듯함
    정치인들이 인구 적은 주의 이해만 챙기는 전형적인 사례로 보임

    • 실제로 몬태나는 초부유층의 피난처가 되었음
      많은 이들이 테크 산업에서 부를 쌓았고, 그 영향으로 AI 규제 금지법이 쉽게 통과된 듯함
      관련 기사: Montana Free Press, NPR 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