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SUMO 커뮤니티 종료
(support.mozilla.org)- Mozilla 지원 사이트의 일본어 지역화 커뮤니티가 해체 결정을 발표, 20년 이상 이어온 활동 종료
- 원인은 자동 번역 봇 ‘SumoBot’의 도입으로, 일본어 지침을 따르지 않고 300개 이상 문서를 덮어쓴 문제 제기
- 커뮤니티 리더는 봇의 무단 작동·소통 부재·기여자 교육 기회 상실 등을 이유로 활동 중단 및 번역 데이터 사용 금지 선언
- 이탈리아 등 다른 지역 리더들도 SumoBot의 즉각적 개입과 신규 기여자 참여 저해 문제를 공유
- 여러 참가자들이 기계 번역 도입 과정의 소통 부족과 지역별 선택권 필요성을 지적하며 개선 논의 제안
일본 SUMO 커뮤니티의 종료 선언
- 일본어 로케일 리더는 20년 이상 Mozilla 지원에 기여해 왔으며, 11월 4일부로 SUMO 일본 커뮤니티 종료를 발표
- 10월 22일 일본어 지식베이스(KB)에 SumoBot이 도입된 이후 문제가 발생
- 제기된 주요 문제점
- 번역 지침 미준수 및 일본 사용자 현지화 무시
- 모든 보관 KB 문서에 영어 기계 번역을 즉시 승인
- 업데이트 후 72시간 내 자동 승인으로 신규 기여자 교육 기회 상실
- 커뮤니티 승인·통제·소통 없이 작동
- 300개 이상 KB 문서가 덮어쓰기됨
- 이러한 변경이 스테이징 서버가 아닌 실제 제품 서버에서 발생했으며, 리더는 이를 “작업의 대량 파괴이자 Mozilla 미션의 명백한 위반”으로 표현
- 리더 marsf는 다음을 선언
- support.mozilla.org 기여 중단
- 자신의 번역을 SUMO 봇 및 AI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
- 기존 학습 데이터에서 자신의 번역 삭제 요청
- 다른 일본 기여자들은 개인 판단에 따라 활동을 이어갈 수 있으나, 커뮤니티 차원의 지원은 종료
커뮤니티 반응과 공감
- 한 참가자는 “수고하셨습니다(ご苦労様でした) ”라는 짧은 인사로 응답
- Mozilla 측 담당자는 MT(기계 번역) 워크플로 도입에 대한 유감을 표하고, 문제 논의를 위한 화상 회의를 제안
- 이탈리아 지역 리더 Michele은 SumoBot 도입 후의 불만과 공감을 표명
- 이탈리아와 스페인 커뮤니티가 최초로 SumoBot을 실험했으며, 비슷한 우려를 경험
- SumoBot의 즉각적 번역이 신규 기여자 교육을 방해하고, 리더가 검수 작업에 매몰되는 문제 지적
- 각 지역이 기계 번역 사용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
기술적 문제와 버그 가능성 논의
- Mozilla 측은 일본 커뮤니티가 겪은 문제 중 일부가 최근 보고된 버그(issue #2605) 와 관련 있을 가능성을 언급
- 해당 버그로 인해 번역 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였을 수 있음
- 또한, 포럼 모더레이터 교육과 신규 기여자 온보딩은 별개라는 의견 제시
- SumoBot의 개입 방식과 시점에 대한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부재가 문제로 지적됨
SumoBot의 개입과 번역 품질 문제
- Michele은 SumoBot이 불필요한 개입을 자주 하며, 기존 번역의 문맥적 수정이나 추가 설명을 되돌리는 사례를 설명
- 예: 이탈리아어 문장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한 단어나 링크가 영어 원문에 없다는 이유로 삭제됨
- 기술 문서의 “즉시 개입”으로 인해 신규 번역자가 참여할 여지가 거의 없음
- 그는 SumoBot의 개입 시점이 가장 큰 문제라며, 튜토리얼보다 구조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
- 또한, 논의가 비난으로 흐르지 않고 건설적 해결책을 찾는 방향으로 이어지길 희망
커뮤니티 내 추가 반응
- 일부 참가자는 봇이 사람의 역할을 대체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출
- 또 다른 사용자는, 기존 팀과의 논의 없이 봇이 실제 작업을 수행하도록 배포된 점을 “심각한 절차적 문제”로 지적
- 전체적으로, 여러 지역 커뮤니티가 SumoBot의 자동화와 인간 기여 간 균형 문제를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음
Hacker News 의견
-
“우리와 통화하며 더 이야기해보시겠어요?”라는 문장은 실제로는 고객센터의 형식적인 대응처럼 느껴짐
- 회사식 표현으로는 “공개된 자리 말고 비공개로 이야기하자”는 의미로 들림. 특히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에게는 글로 천천히 표현하는 게 더 편할 수도 있음
- 그렇게 보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공감과 뉘앙스를 전달하기 위해 음성 대화가 유용함. 불만이 있을 때는 표정이나 말투가 중요한 정보가 되기 때문임. 직원의 의도를 냉소적으로 보는 건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함
- “일본 커뮤니티가 느낀 점에 대해 미안하다”는 말은 진정성 없는 사과처럼 들림
- “당신의 전화는 우리에게 중요합니다”라는 자동응답 문구처럼, 실제로는 인력을 충분히 두지 않는 공허한 약속 같음
-
이건 결국 두 명의 인간이 불만을 제기하고, 다른 한 명이 소통 채널을 열자고 제안한 단순한 상황임. 텍스트만으로 감정을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음성이나 영상으로 대화하며 해결책을 찾는 게 맞다고 생각함
- 하지만 내 경험상 장기 자원봉사자가 갑자기 그만두는 일은 거의 없음. 이미 여러 번 소통 시도를 했을 가능성이 높음. 또 “Senior Community Manager” 같은 직책은 실제로 변경 권한이 없는 경우가 많음. 결국 이건 진짜 대화 채널이 아니라 형식적인 절차일 뿐임
- 사실 이런 소통 채널 개설은 처음부터 했어야 함. 자원봉사자가 오랫동안 커뮤니티를 가꿨는데, 갑자기 위에서 AI 봇을 켜버리면 당연히 환영받지 못함
- 하지만 원글 작성자는 이미 공개적으로 탈퇴 선언을 했음. 개인적인 대화를 원하지 않았고, 단지 이유를 설명했을 뿐임
- 회사 직원이 “대화하자”고 하는 건 종종 티켓 생성 절차처럼 느껴짐. 이후 “생산적인 논의가 있었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아무 변화가 없음. Mozilla의 과거 행보를 보면 이런 패턴이 반복되어 왔음
- 이건 단순한 소통 문제가 아니라 커뮤니티 주도권의 문제임. Mozilla가 커뮤니티의 노력을 덮어버리는 봇을 도입한 게 핵심임
-
예전에 Firefox에 TLS 1.1과 1.2를 추가하는 작업을 했는데, 그 과정이 너무 관료적이라 실망했음. 그래서 기여자 명단에서 이름을 빼달라고 요청했음
- 나도 2018년 베를린 오픈 나이트에서 패치를 제출했는데, 리뷰 절차와 도구의 복잡함 때문에 다시는 참여하지 않음. 이런 환경에서는 신규 기여자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느낌
-
Ladybird 같은 대안 브라우저가 빨리 성장했으면 좋겠음. Mozilla의 실수 관련 글이 너무 자주 올라옴
- HN에는 Mozilla를 유난히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음. 그 정도가 불균형적이라고 느낌
- 지금 Mozilla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건 “그래도 Google이나 Microsoft는 아니다” 정도임
- 하지만 Ladybird가 성공하면 똑같이 비판 세력이 생길 것임. 모든 제품이 모든 사람에게 맞을 수는 없음
- 결국 성공하면 Firefox처럼 상업화의 늪에 빠질 수도 있음. 이를 막으려면 GPLv3 같은 강력한 라이선스와 비영리 구조가 필요함. 대기업의 돈을 받지 말고, 사용자 직접 후원을 받아야 함
-
Mozilla의 문제는 겸손과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함. 오랫동안 스스로 비판하던 빅테크의 행태를 그대로 따라 하고 있음.
- 기대치의 불일치가 커뮤니티 갈등을 만든다고 봄. Google이라면 이해하겠지만, Mozilla에게는 더 나은 모습을 기대했기 때문임
- “경쟁력 있는 연봉”을 이유로 빅테크 출신을 채용하면서 결국 같은 문화를 답습함
- 이런 AI 통합 기능은 기본 확장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했으면 좋겠음. 원하면 제거할 수 있게
- Mozilla는 스스로 자충수를 두는 패턴이 있음
- 예전엔 윤리적 기술 교육을 강조했지만, 실제 제품은 그 철학을 따르지 않음
-
일본에서 10년 넘게 살며 느낀 건, “전화로 빨리 해결하자”는 접근이 일본 문화에서는 상대의 체면을 무너뜨리는 일이라는 점임. 일본의 네마와시(根回し) 는 사전에 합의를 쌓는 과정인데, Mozilla는 이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였음
- 나도 네마와시와 링기(稟議)에 대해 읽어봤는데, 이는 사전 조율과 합의를 중시하는 과정임. Mozilla가 이런 절차 없이 봇을 도입한 건 비인간적으로 보임
- 하지만 어떤 사람은 네마와시가 형식적 절차일 뿐이며, 오히려 솔직한 의견을 막는다고 봄
- 일본에 오래 살았지만, 네마와시가 일본의 강점이라고 생각하지 않음
- “일본은 인간적이다”라는 표현은 다소 모호하게 들림
-
“문제를 더 잘 이해하고 싶다”는 말은 이미 불만 목록이 명확히 제시된 상황에서 공허한 제스처로 느껴짐
- Mozilla가 진심으로 경청하지 않는다는 게 그 한 문장으로 드러남. 이미 문제는 명확히 적혀 있는데, 사과 대신 “느낌이 유감이다”라고 말하는 건 모욕적임
- 다만, 어떤 사람은 실제로 버그가 원인일 수도 있으니 대화를 통해 확인하려는 의도였다고 봄
- 결국 상대는 진심으로 이해하려고 한 것일 수도 있음. 그렇다면 당신이라면 어떻게 답했겠는가?
- 불만 중 일부는 구체적이지 않았음. 번역 지침을 따르지 않았다는 말이 있었지만, 어떤 부분이 문제였는지 명확하지 않았음. 직원이 할 수 있는 건 그 정도였을지도 모름
-
“jump on a quick call”이라는 표현만 봐도 분노가 치밀음. 너무 가볍고 진지하지 않은 어투임
- 이 말은 사실상 “공개 기록이 남지 않는 자리로 옮기자”는 의미로 쓰임. 이후 “이미 통화로 논의했다”고 하며 논쟁을 차단할 수 있음
- 이런 표현을 쓰는 사람은 자신의 말투가 얼마나 공격적으로 들릴 수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음. 상대의 결정을 가볍게 여기는 뉘앙스가 있음
- 나도 예전에 이 표현을 썼다가 거절당한 적 있음. 상대는 이미 입장을 명확히 밝혔고, 비공개로 설득하려는 내 시도가 무례한 행동이었다는 걸 깨달음
- 하지만 어떤 사람은 단순히 문제를 빨리 파악하려는 의도일 수도 있다고 봄. 소프트웨어 문제는 정보가 많을수록 좋기 때문임
-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어떤 표현이 더 적절할지 궁금함
-
“Hi Marsf…”로 시작하는 Mozilla의 답변은 가르치려 드는 듯한 어조로 느껴짐. 이런 메일을 받았다면 나도 퇴사 결정을 더 확신했을 것임
- 하지만 어떤 사람은 전혀 무례하게 느껴지지 않는다고 함. 단순히 도와주려는 시도로 보였다고 함
- “이미 다 적어놨는데 왜 또 통화하자고 하냐”는 반응도 있었음
- 어떤 사람은 왜 이게 무례하게 느껴지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함. 오히려 상황을 파악하려는 시도로 읽음
- “그럼 어떻게 표현해야 덜 무례하게 들릴까?”라고 묻는 사람도 있었음
- 어떤 사람은 그냥 “전화하자고 한 것뿐”이라고 단순하게 받아들였음
-
“너희가 우리를 걷어찼는데 미안하다고?”라는 식의 풍자적 비유로 Mozilla의 대응을 조롱함
- “이런 식의 ‘네가 그렇게 느꼈다니 유감이다’식 사과는 정말 거슬림”이라는 반응이 많았음
- “너의 고통을 더 잘 이해하고 싶다”는 식의 표현은 오히려 비꼬는 농담거리가 됨
- “다음 분기 주주총회 이후 다시 논의하자” 같은 기업식 말장난으로 마무리하는 사람도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