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범위를 늘리는 간단한 요령: 사용자에게 신호 세기를 속여 보여주기
(nickvsnetworking.com)- Android의 Carrier Config Manager에는 실제보다 신호 세기를 한 단계 높게 표시하도록 하는 숨겨진 설정이 존재
 - 이 설정은 공식 Android 문서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소스 코드에는 포함되어 있어 이동통신사가 활용 가능
 - AT&T와 Verizon의 설정 파일에서 해당 플래그가 활성화된 사례가 확인됨
 - 작성자는 이 기능의 추가를 요청한 주체를 특정하지 못했으며, git-blame 기록에서도 출처 불명으로 언급
 - 이동통신사가 가장 넓은 커버리지나 최고 품질의 네트워크를 주장하는 가운데, 이러한 조작은 신뢰 저하 요인으로 지적됨
 
Android의 숨겨진 신호 세기 조정 기능
- Android의 Carrier Config Manager에서 
KEY_INFLATE_SIGNAL_STRENGTH_BOOL이라는 플래그가 발견됨- 이 플래그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신호 세기를 실제보다 한 단계 높게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
 - 작성자는 Android 내부를 탐색하던 중 해당 설정을 발견했다고 설명
 
 - 이 기능은 Android 공식 개발자 문서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소스 코드에는 존재함
- 따라서 이동통신사(operator) 가 이를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음
 
 
이동통신사 적용 사례
- 
AT&T와 Verizon의 CarrierConfig XML 파일에서 해당 플래그가 활성화된 상태로 설정되어 있음
- 두 파일의 GitHub 링크가 제시되어 있으며, 각각 설정 라인 번호가 명시됨
 
 - 이 기능이 Android에 추가된 경위나 요청 주체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음
- 
git-blame기록에서도 관련 변경의 책임자를 찾을 수 없었다고 언급 
 - 
 
CarrierConfig의 역할
- CarrierConfig는 각 이동통신사별 네트워크 설정 전체를 포함하는 구성 파일로 설명됨
- 관련 참고 링크로 Android의 Carrier Privileges 및 APN Master Config 문서가 제시됨
 
 
신뢰 문제와 업계 관행
- 이동통신사들은 자사 네트워크가 가장 넓은 커버리지 또는 최고 품질을 제공한다고 주장
- 그러나 이러한 신호 세기 조작이나 가짜 5G 플래그는 사용자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소로 지적됨
 
 - 작성자는 과거에 다룬 휴대폰 안테나 스티커 측정 사례를 언급하며, 이런 속임수의 불필요성을 강조
 
결론
- Android 내부에는 사용자에게 실제보다 좋은 신호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설정이 존재
 - 일부 주요 이동통신사가 이를 활용하고 있으며, 투명성과 신뢰성 문제가 제기됨
 - 원문에 추가적인 기술적 세부 설명이나 Google의 입장 등은 언급되지 않음
 
Hacker News 의견
- 
친구가 통신사에서 제공한 새 폰을 샀는데, 수신 불량을 자주 겪는다고 불평했음
같은 지역, 같은 통신사에서 내 폰으로 비교해보니 내 폰은 신호 표시가 0칸이었음
내 폰은 예전 모델이라 MTK Engineer Mode 앱으로 실제 신호 세기를 볼 수 있었는데, -140dBm 정도였음
신호 세기 측정은 표준화되어 있음 — Mobile phone signal (ASU)- 한 폰 안에 같은 네트워크의 두 SIM을 꽂아도 신호 막대 수가 다르게 표시되는 걸 본 적이 있음
시간이 지나면 비슷해졌다가 다시 달라지기도 함
단순한 수신 모델로는 설명이 안 되는 이상한 현상임 - 네트워크 진단용으로 Network Cell Info Lite 앱을 추천함
각 SIM 모듈의 세부 신호 세기를 보여주고, 현재 연결된 기지국 위치를 지도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음 - -140dBm이면 사실상 커버리지 없음 수준임
LTE는 보통 -120dBm 근처에서 끊기며, -123~-125dBm까지는 버티기도 하지만 노이즈 때문에 어렵다고 함 
 - 한 폰 안에 같은 네트워크의 두 SIM을 꽂아도 신호 막대 수가 다르게 표시되는 걸 본 적이 있음
 - 
예전에 Google 제품에서 같은 동작을 구현한 적이 있음
PM이 iPhone의 신호 막대 표시 연구를 보여줬는데, 각 버전마다 신호 세기 구간이 달랐음
새 버전으로 갈수록 막대 표시 기준이 왼쪽으로 이동해, 더 약한 신호에도 막대가 많아 보이게 됨
우리는 최신 iPhone 버전에 맞춰 구현하려 했음- 혹시 iPhone이 버전이 올라가면서 약한 신호 처리 능력이 좋아져서 그런 건 아닐까 궁금함
예전엔 미약했던 신호가 새 모델에서는 괜찮은 수준이 되었을 수도 있음 - “가장 최근 iPhone 버전에 맞췄다”는 말이 게임이론적 악행처럼 들림
 - 그래서 오늘 2칸인데 인터넷이 안 되는 이유가 그거였던 것 같음
 - 안테나 설계, RF 부품,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예전엔 잡음이던 신호도 쓸 수 있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아마추어 무선에서도 5W 이하로 전 세계 통신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했음 
 - 혹시 iPhone이 버전이 올라가면서 약한 신호 처리 능력이 좋아져서 그런 건 아닐까 궁금함
 - 
Android에서는 전화 앱에서 ##INFO## 입력하면 진단 도구가 열림
여기서 dBm 단위의 신호 세기를 볼 수 있고, 집 안의 데드존을 찾는 데 유용함 - 
BBC 기사(링크)에 따르면,
“휴대폰이 5G 표시를 보여줄 때 실제로는 40% 정도가 4G 연결”이라고 함- 예전에 모바일 네트워크 회사에서 일했는데, 5G 보급은 아직 멀었다는 분위기였음
당시 회사는 오래된 장비를 더 오래 쓰기 위해 5G 신호를 4G로 변환하는 브리지 시스템을 만들었음
흥미롭게도 5G는 RADIUS나 DIAMETER 대신 HTTP 기반이라, 내부적으로 cURL 라이브러리를 사용했음
즉, “cURL이 5G를 구동한다”는 말이 농담이 아님 - 실제로 많은 네트워크가 아직 5G 코어를 쓰지 않거나 SIM이 지원하지 않음
그래서 “5G에 연결됐다”는 정의 자체가 모호함 — 참고 문서 - 위 BBC 링크가 잘못되어 수정함 — 올바른 링크
 
 - 예전에 모바일 네트워크 회사에서 일했는데, 5G 보급은 아직 멀었다는 분위기였음
 - 
Android 오픈소스의 관련 커밋: 43c14d19847993aa603b781f6bc55efb273fa3fd
“거짓 표시만을 위한 커밋에 내 이름이 남는 건 싫음”- 아마도 통신사 요청이었을 것 같음
관련 버그 리포트가 있지만 접근 제한되어 있음 
 - 아마도 통신사 요청이었을 것 같음
 - 
스마트폰에서 1칸짜리 신호를 본 적이 거의 없음
2칸이면 이미 거의 작동하지 않음
인간의 뇌는 참 속이기 쉬운 존재임
이런 식의 표시가 합법인지 궁금함- 독일에서는 1칸짜리 신호를 자주 봄
GDP는 높지만 모바일 네트워크는 엉망이라 농담처럼 “EDGE의 나라”라고 부름
그래도 적어도 신호 막대는 정직함 - 나는 BDA-DAS 장비로 실내 신호를 다루는 일을 함
실제로는 신호 막대보다 RSRP, RSRQ 같은 수치를 봐야 함
막대 그래프는 거의 의미가 없고, 단지 “된다/안 된다”의 문제임 - 캐나다 야생에서 1칸짜리 3G 신호 때문에 위험했던 적이 있음
위성 문자 기능이 신호가 있을 때는 작동하지 않아, 일부러 신호가 끊기길 기다려야 했음 - Home Depot 매장 안에서는 항상 0~1칸임
금속 선반과 구조물 때문에 신호가 차단됨
앱으로 물건 찾을 때 매우 불편함 - 이탈리아에서 Vodafone 로밍 중 항상 1칸짜리 신호였음
이렇게 희박하게 기지국을 배치하는 것도 기술이라면 기술임 
 - 독일에서는 1칸짜리 신호를 자주 봄
 - 
이 현상은 iPhone 4의 안테나게이트 때 시작된 것으로 기억함
당시 Verizon에서 일했는데, Apple이 “폰을 잘못 잡았다”는 비판을 피하려고 신호 막대를 한 칸씩 올렸다고 함
당시 Android는 마진이 더 좋아서 회사는 Android 판매를 더 원했음- Android의 마진이 더 높았다는 건 예상 밖이었음
 
 - 
iPhone에서 신호 막대를 숫자 dBm으로 바꾸는 방법이 있음 — 방법 링크
고객지원 담당자가 네트워크 문제를 디버깅할 때 이걸 보여줬음 - 
혹시 이런 변경이 단순히 통신사별 데이터 차이 때문일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함
예를 들어 T-Mobile이나 Verizon이 막대 수 계산 방식을 다르게 보내서, 보정이 필요했을 수도 있음 - 
Apple이 스톱워치 시간 표시를 조정하는 것처럼, 신호 막대도 직관적으로 보이게 만든 걸까 궁금함 — 관련 글
- 그건 단순히 반올림 문제일 뿐, 신호처럼 고정된 조작은 아님
 - 나도 텔레프롬프터 앱에서 카운트다운이 너무 급하게 느껴져서 0.5초 보정을 넣은 적이 있음
그랬더니 훨씬 자연스러워졌음 - 그냥 올림(ceiling) 쓰는 게 더 간단할 듯함
 - 하지만 스톱워치는 실제 시간을 추적하는 반면, 신호 막대는 진짜 수치를 속이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