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ashbyash 18시간전 | ★ favorite | 댓글과 토론

AI 시대, '예측'이 주도하는 패러다임

  1. 예측 시장의 부상 - 예측은 시대의 본질이 되었다

    • 이제 '예측(Prediction)'은 AI 시대의 게임, 비즈니스, 문화 등 모든 가치 창출의 핵심이자 새로운 미학으로 자리잡고 있음
    • 이 흐름은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만큼이나 중요한 3번째 프레임이며, 우리 세대의 패러다임을 결정함.
    • 기존 혁신이 위험 감수·서비스 모델 등 포스트모더니즘에서 기원한 것처럼, 예측은 그 이후를 여는 변화로 작동함.
  2. 포스트모더니즘과 비즈니스 구조의 변화

    • 모더니즘은 진보, 국가 정체성, 하나로 통합된 질서를 중시했으나, 포스트모더니즘은 배열의 무한 가능성과 '프론트/백 오브 하우스' 비즈니스 구조(예: 스타벅스, Whole Foods)로 이동.
    • 미적 생산과 소비가 상품화되고, 서비스·문화가 분업화되고 추상화됨.
  3. ‘진보’에서 ‘혁신’으로, 그리고 ‘기술 채택’으로

    • 모더니즘은 진보를 자동적,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봤으나, 포스트모더니즘에서 혁신은 위험을 평가하고 병렬적으로 시도하는 과정으로 재정의됨.
    • 최근에는 혁신·진보 대신 '기술 채택(adoption)' 개념이 우세하며, 본질적인 질문은 ‘언제 합류할 것인가’에 있음.
  4. 문화·상업·미학에서의 예측 중심성

    • 요즘 문화는 예측, 투기, 미래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가 강조됨(밈주식, 베팅, 집 뒤집기 프로그램 등).
    • 소셜 미디어의 피드백 구조가 주식시장과 비슷해지고, 게임·스니커즈 드롭 등에서 기대감과 마찰 자체가 소비가 되었음.
    • 사람들은 "내가 예측하는가, 아니면 예측당하는가"라는 메타 질문에 따라 경험의 중심을 둠.
  5. 새로운 예술·콘텐츠의 정의: 대중 예측의 성패

    • AI 예술은 완전히 새로운 시작처럼 보였으나, 사실상 포스트모던 미학의 마지막 단계로 평가받음.
    • 지금 예술의 기준은 '대중 예측이 크게 맞거나 빗나가는 것'이 결과 자체로서 작품이 됨(NFT, 밈 코인, 밈적 조합 등).
    • 앤디 워홀의 "모두에게 15분 유명세" 대신 "누구나 15배 수익 투자자"라는 비유 등장.
  6. 예측 계약 – 새로운 가치 창출 도구

    • 모더니즘의 특허가 진보·혁신을 상징했듯, 예측 계약(prediction contract)이 '예측'이라는 개념을 집약하는 시대적 도구로 등장함.
    • 누구나 돈을 걸고 예측에 직접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허와 차별화됨.
  7. 정보 기여의 개인적·집단적 의미

    • 앞으로 AI가 대부분의 물질 문명 진행을 맡게 되더라도, 개개인이 예측과 정보 제공을 통해 '우주에 질서 부여'하고, 존재 의미를 새롭게 정의함.
    • 대중문화의 투기 열풍은 집단적 자기발견·혁신의 움직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