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논란 끝에 ‘채팅 통제(Chat Control)’ 제안 철회
(therecord.media)- 덴마크 정부가 전자 메시지 의무 스캐닝을 요구하는 EU 법안 추진을 중단, 기존의 자발적 아동 성착취물(CSAM) 탐지 체계만 유지하기로 결정
 - 해당 법안은 종단간 암호화 플랫폼까지 포함한 메시지 감시를 의무화하려 했으며, 아동 성착취물 유통 단속을 목표로 함
 - 독일 정부가 10월 8일 법안 불지지 입장을 밝히면서 덴마크의 추진이 사실상 무산
 - 덴마크 법무장관은 “수색영장 조항이 빠지고, 기술 기업의 탐지는 계속 자발적으로 이뤄질 것”이라 언급
 - Signal 재단의 Meredith Whittaker는 해당 조치가 “대규모 감시 체계로 이어질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 유럽 시장 철수를 경고한 바 있음
 
덴마크의 ‘Chat Control’ 법안 철회 배경
- 덴마크 법무장관은 EU 차원의 전자 메시지 의무 스캐닝 법안 추진을 중단한다고 발표
- 이 법안은 종단간 암호화 플랫폼을 포함한 모든 전자 메시지를 의무적으로 스캔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이었음
 
 - 덴마크는 EU 이사회 의장국으로서 해당 초안을 재상정했으나, 강한 반발을 불러옴
- 법안의 목적은 아동 성착취물(CSAM) 유통 단속 강화였음
 
 
독일의 불지지 선언과 덴마크의 입장 변화
- 10월 8일 독일 정부가 법안 지지를 철회하면서 덴마크의 추진이 좌초
 - 덴마크 법무장관 Peter Hummelgaard는 기자회견에서 자발적 탐지 체계만 유지하겠다고 발표
- 그는 “EU 의장국의 새로운 절충안에는 수색영장 조항이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 밝혔음
 - “기술 기업들이 아동 성착취물을 탐지하는 것은 계속 자발적 선택으로 남을 것”이라고 명시
 
 
현행 제도의 만료와 법무장관 발언
- Hummelgaard는 현재의 자발적 스캐닝 모델이 4월에 만료된다고 언급
 - 그는 “지금 우리는 아동 성착취 대응의 핵심 도구를 완전히 잃을 위험에 처해 있다”며
“모든 아동을 위해 어떤 방식으로든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 
Signal 재단의 반대 입장
- 
Signal 재단 대표 Meredith Whittaker는 해당 법안에 강력히 반대
- 법안이 통과될 경우 유럽 시장 철수를 경고
 
 - 그녀는 “이 제안은 사실상 모든 개인 통신을 무차별 감시하는 체계로,
정부 관계자, 군인, 기자, 활동가 등 누구의 대화도 보호받지 못하게 된다”고 발언 
기사 맥락 및 관련 태그
- 본 사안은 EU, European Council, CSAM, 아동 보호, 덴마크 관련 이슈로 분류
 - 기사 작성자는 The Record의 Suzanne Smalley, 사이버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정책 담당 기자
 - 원문에 추가적인 후속 조치나 EU 차원의 대안 논의 내용은 언급 없음
 
Hacker News 의견
- 
사회 문제만 생기면 사람들은 왜 이렇게 자동으로 “모든 사람의 모든 행동을 감시하면 해결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가는지 놀라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설령 가능하더라도 효과적이지 않음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런 발상이 더 강화되는 게 문제임
이런 생각이 싹틀 때마다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좋겠음- 이런 사고방식은 기본적인 세계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함
보수적 시각은 인간을 본질적으로 결함 있는 존재로 보고 통제가 필요하다고 믿음
반면 진보적 시각은 인간이 본래 선하며 환경이 그를 그르친다고 봄
각자의 세계관이 정책 선택으로 이어짐 - 문제는 이런 모델이 실제로 중국과 러시아에서는 작동하고 있다는 점임
GFW(중국의 인터넷 방화벽)와 러시아의 유사 시스템은 수십 년간 권력을 유지하게 했음
이런 정책을 제안하는 나라들이 어리석은 게 아니라, 자신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검증된 모델’을 따르는 것임 - 덴마크에서도 2000년대에 인터넷 트래픽 로깅 법안이 통과됐지만, ISP들이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없어서 거부했음
결국 “500번째 TCP 패킷만 기록” 같은 타협으로 끝남
실제 감시는 법원 명령 없이도 경찰 요청만으로 이루어졌음
정치적 쇼에 불과했음 - 이런 발상이 반복되지 않게 하려면 IT 전문가들이 정치에 더 많이 참여해야 함
기술을 모르는 정치인들이 기업의 마케팅에 속아 이런 감시 정책을 되살림
결국 기술인들이 직접 나서서 허구를 설명해야 함 - 감시뿐 아니라 데이터 저장이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함
기록이 존재하는 한 언젠가는 잘못된 손에 들어감 
 - 이런 사고방식은 기본적인 세계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함
 - 
Heise 기사에 따르면 덴마크 정부가 ‘채팅 통제(chat control)’ 법안을 일단 연기했지만, 완전히 끝난 건 아님
법적 자발성을 유지한 채로 CSA 규제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음- 이런 건 전형적인 “예스/나중에”식 정치 운영임
 - 이런 이슈가 다시 떠오를 때마다 온라인 커뮤니티가 힘을 발휘함
이메일 캠페인이나 청원보다 훨씬 효과적이라 시민단체들이 연구할 만함 - 정치인들은 결코 후퇴하지 않음, 단지 잠시 멈출 뿐임
 - “아무것도 끝난 게 없다”는 말처럼, 권리 문제는 언제든 되살아남
 - 늘 그렇듯이, 이런 흐름은 반복됨
 
 - 
덴마크 법무장관 Peter Hummelgaard의 동료 Henrik Sass Larsen이 아동 포르노 소지로 징역 4개월을 받은 사건이 있었음
그런데 Hummelgaard는 아이들을 보호한다며 대규모 감시를 추진함
처벌은 약하고 논리는 모순적임
반대하면 ‘아동 학대 옹호자’로 몰아가는 태도도 문제임- 더 웃긴 건 정치인들이 Chat Control에서 면제를 요구했다는 점임
만약 시행된다면 오히려 정치인들만 먼저 감시 대상이 되어야 함 - 어차피 Henrik Sass Larsen 같은 정치인은 면제 대상이었을 것임
 - 이런 상황은 강간범이 형을 살지 않고 정치에 복귀하는 것만큼 부조리함
 - 덴마크에서 이런 범죄에 대한 형량이 원래 이렇게 낮은지도 의문임
 - 결국 Chat Control은 서민 감시용이고,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잘못을 숨기려는 수단임
 
 - 더 웃긴 건 정치인들이 Chat Control에서 면제를 요구했다는 점임
 - 
Peter Hummelgaard를 전혀 신뢰하지 않음
그가 이 법안을 밀어붙이는 방식이 수상함
혹시 EU 의회 자리 같은 보상을 약속받은 게 아닌지 의심됨- 그의 정당 자체가 과거부터 전체주의적 정책을 추진해온 전력이 있음
외부 압력보다는 내부에서의 압박이 더 컸을 것임 
 - 그의 정당 자체가 과거부터 전체주의적 정책을 추진해온 전력이 있음
 - 
관련된 South Park 클립이 떠오름
첫 번째 영상과 두 번째 영상을 보면 풍자적으로 잘 표현되어 있음- “Lennart Betrayer - CEO”라는 농담이 인상적이었음
 
 - 
“다시 브랜드를 바꿔서 시도하자”는 식으로 반복되는 정책 추진이 지겹다는 반응임
 - 
“Borgerforslag”(덴마크 시민 제안 제도)이 실제로 영향을 미쳤는지 궁금함
제안 링크, 의회 뉴스 참고- 11월 25일로 논의가 연기되어 실제 영향은 없었음
지금까지 이 제도로 실질적 변화를 만든 사례는 거의 없음 
 - 11월 25일로 논의가 연기되어 실제 영향은 없었음
 - 
이런 감시 정책은 마치 파도처럼 계속 밀려옴
위기가 생길 때마다 ‘이번엔 꼭 필요하다’며 밀어붙이고, 위기가 끝나도 통제는 남음
끝없는 위기를 만들어 통제를 정당화하는 구조임- 대중의 거부 반응을 “논란”으로 포장하는 것도 문제임
사람들은 그냥 “싫다”고 했을 뿐인데 - 그래도 유럽사법재판소(ECJ) 가 이런 과도한 데이터 보존 정책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관련 판결 링크 참고 
 - 대중의 거부 반응을 “논란”으로 포장하는 것도 문제임
 - 
“잘 됐음, 이제 지겨웠음”
덴마크는 살기 좋은 나라지만, Chat Control은 도대체 왜 필요한지 모르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