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소셜 미디어 감시팀을 구축하려는 ICE의 계획
(wired.com)- 미국 이민국(ICE)이 소셜 미디어 감시팀의 24시간 운영을 위해 약 30명의 계약직 인력을 증원하려는 계획임
- 이들은 Facebook, TikTok, Instagram, YouTube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게시글과 메시지를 추적해 정보로 활용함
- 현재 공식 입찰 전 사전 정보요청 단계에 위치하며, 최신 감시 소프트웨어를 갖춘 업체가 필요함
- Vermont와 캘리포니아 내 두 핵심 타겟팅 센터가 중심이 되어 동부와 서부 지역을 담당함
- 해당 정보는 ICE의 집행 및 추방 작전에 활용되어 현장 체포 계획을 지원함
미국 이민국의 소셜 미디어 감시팀 확대 계획
미국 이민국(ICE)은 소셜 미디어 감시를 대대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약 30명의 민간 계약직 인력을 채용하려는 계획을 추진함. 이들은 게시글, 사진, 메시지 등 온라인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선별해, 추방 및 체포 작전을 위한 정보로 전환하는 역할을 담당함
민간 업체를 통한 감시 프로그램 운영
- WIRED가 검토한 연방 계약 기록에 따르면, ICE는 여러 해에 걸친 감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민간 위탁 업체를 찾고 있음
- 이들은 Vermont와 남부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ICE의 핵심 타겟팅 센터 두 곳에서 근무하게 됨
- 주된 업무는 Facebook, TikTok, Instagram, YouTube를 포함한 여러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게시물, 프로필 등을 조사해 정보 수집 및 단서를 창출하는 것임
계획 단계 및 요구 사항
- 이 계획은 아직 공식 입찰 전인 사전 정보요청(RFI) 단계에 머무르며, 이는 정부 기관들이 업체 관심도를 파악하는 절차임
- 내부 초안 문서에 따르면, ICE는 연중무휴 상시 운영이 가능하고, 신속하게 사건을 처리하며 최신 구독 기반 감시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는 업체를 요구함
타겟팅 센터 역할 및 인력 구성
- 계획의 중심이 되는 곳은 ICE의 세 곳 중 두 곳의 타겟팅 센터임
- National Criminal Analysis and Targeting Center(Vermont)는 미국 동부를 담당함
- Pacific Enforcement Response Center(캘리포니아 Santa Ana)는 미국 서부 전역을 24시간, 주 7일 운영하도록 설계됨
- 각 센터에는 선임 분석가, 교대 팀장, 일반 연구원을 포함한 다양한 인력이 배치됨
- Vermont는 약 12명의 계약직(프로그램 관리자 1명, 분석가 10명 등)이 근무하게 됨
- 캘리포니아 Santa Ana에는 16명의 인력이 24시간 교대 근무를 진행함
- 항상 최소 1명의 선임 분석가와 3명의 연구원이 Santa Ana 근무지에 상주함
정보의 활용 방향
- 이 조직은 ICE의 Enforcement and Removal Operations(집행 및 추방 작전) 부서의 정보 조직 역할을 수행함
- 팀은 내부 제보와 사건 정보를 받아 온라인상에서 개인을 조사해 결과를 현장 사무소에서 체포 계획 등에 활용 가능한 자료로 가공함
Hacker News 의견
-
기술 기업들이 벤처캐피털의 투자를 받아 성장한 덕분에 만들어진 기술을 사용하는 이야기임에도, 이런 논의가 Hacker News와 Ycombinator와는 무관하다며 자동적으로 플래그(노출 제한)되는 현실이 안타까움
이곳에서 중요한 기술·회사·업계 종사자 이야기를 정치적이거나 논란거리라 숨기는 것은 너무 무책임한 태도라고 생각함
논쟁을 피하기보다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의견임-
오랜 시간 이 커뮤니티를 지켜본 결과, 운영진이 농담거리가 아니라 실제로 어떤 사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조율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임
최근 일 년간 Thiel, Musk, 이스라엘 관련 이야기가 플래그 처리되는 빈도가 너무 심해 놀랍다는 생각임
이런 현상을 공개적으로 지적하면 곧바로 사소한 이유로 계정이 차단당하는 경우를 많이 봤기에, 계속 자유롭게 목소리를 내고 싶다면 VPN과 대체 계정 준비를 고려해야 할 것 같음 -
보다 적극적으로 이런 플래그 처리 문제를 피하려면 Hacker News active 페이지에서 최신 스토리를 찾아보는 팁을 추천함
이 페이지는 플래그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고 알고 있음 -
이런 논란성 스토리가 플래그 처리되는 것은 방관한 결과라기보다는, 운영진이 별도의 수동 조치 없이는 자동으로 플래그에 따라 처리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실제로 플래그가 꼭 논의의 가치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에 동의함
몇몇 소수가 마음에 들지 않는 링크에 플래그 표시를 할 뿐인데, 오히려 다양한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좋아하는 스토리에 추천을 주거나, 비동의 시에는 다운보트로 의견을 표시하는 문화가 자리잡았으면 좋겠음 -
“이런 중요한 이슈들을 가려서는 안 된다는 말에 1000번 공감함”이라는 생각임
-
온라인 커뮤니티의 다양성이 다시 필요하다는 주장임
-
-
과거 동독(DDR, 1949-1989년)에서는 국가 기관이 시민들의 사적인 메일을 검사하고 주변 이웃이 서로 감시자로 활동한 사례가 있었음
지금의 정책도 이 수준의 감시라고 느껴짐-
지금처럼 프로그래머들이 대량 실직한 시대에, 중앙집중형 소셜미디어와 클라우드 기술, 비즈니스를 대체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기회를 잡기를 희망함
정부와 광고주가 개인 데이터에 접근하는 비용이 매우 비싸지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함
그리고 이런 기관에 재능을 빌려주거나 취업하지 말자고 거듭 당부함 -
차라리 “이웃을 신고하라”는 취지의 신고 웹사이트를 만들어 팔아버리는 게 낫겠다는 농담임
만약 Zuckerberg에게 Trump가 이런 기능을 Facebook, WhatsApp, Instagram에 넣길 바란다고 암시만 해줘도 순응적으로 곧바로 만들어줄 것이 분명하다는 말임 -
동독의 감시사회 이야기에 관심이 있다면 영화 [타인의 삶(The Lives of Others)] 추천함
-
웹사이트에서 공개 게시글을 읽는 것이 개인의 사적인 메일을 읽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고 생각함
둘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의견임
-
-
ICE(미국 이민세관단속국)는 사실상 준군사조직의 씨앗이라고 생각함
-
앞으로 ICE가 FBI가 담당하던 역할까지 점점 더 맡게 될 것이라는 예상을 함
“MAGA 법집행기관”으로 강화되고 권한이 확대되어, 다른 기관들이 하던 일까지 흡수해버릴 전략으로 보임
불확실한 신분만으로 누구든지 멈춰 세울 수 있고, 별다른 이유 없이 체포·추방할 수 있다면, 사실상 절차적 정의를 우회한다고 봄
영화 <Civil War>에서 대통령이 FBI를 해체하는 장면이 자꾸 떠오름 -
ICE의 정보 수집 능력이 미국 시민을 광범위하게 감시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생각함
ICE가 영장을 받아 개인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https://wired.com/story/ice-social-media-surveillance-24-7-contract/">공개 게시글, 사진, 메신저 등 플랫폼 전반을 아우르는 OSINT 수집을 수행한다는 설명임
[LexisNexis Accurint, Thomson Reuters CLEAR] 등 대형 상용 데이터베이스를 동원해 부동산, 전화, 유틸리티, 차량등록 등 개인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고 함 -
지금은 씨앗 단계라고 표현함
-
최근 시카고 등지에서 벌어진 행동을 봤을 때 이미 ICE는 준군사조직이 되었다는 판단임
-
민주당이 차기 정권을 잡으면 이처럼 강화·군사화된 ICE를 어떻게 이용할지 궁금하다는 의견임
쉽게 해체할 것 같지는 않다는 생각임
-
-
https://wired.com/story/ice-social-media-surveillance-24-7-contract/">WIRED 기사 보관본 링크를 공유함
-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 자유롭게 올린 정보가 정부의 감시와 단속의 씨앗이 된다면, 효과를 최소화하는 간단한 방법은 개인 데이터 보호 기술을 사용하는 것임
Signal 메신저 다운로드 링크를 추천함 -
“ICE에서 일하면 OnlyFans에서 이상형의 영상을 마음껏 본 뒤 월급까지 받을 수 있냐”는 농반진반 질문임
-
굳이 ICE에 취업하지 않아도, ICE 직원인 척 위장해 범죄를 저지르는 사례가 꾸준히 있었다고 함
실제 직원으로 들어가도 비슷한 일이 벌어질 수 있고, 현 행정부라면 이런 일도 승인할 것 같은 세태가 불안함 -
관련 유튜브 영상도 공유함
https://www.youtube.com/shorts/8Y3imj6bYP8
-
-
온라인에 계정이 워낙 많고 익명·봇 비중도 높은데, 과연 실제 사람과 계정을 정확히 연결해낼 수 있을지 궁금함
결국 “우리가 이 사람이 맞다고 했으니까 맞다”는 식으로 처리하는 것 아닐까 하는 의구심임-
누군가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온라인 흔적을 찾아내 “사상 범죄”로 체포하는 게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우려임
-
이미 다양한 기법으로 봇을 판별하는 기술이 충분함
앞으로 봇과의 숨바꼭질 게임이 광고 차단, SEO 최적화처럼 끝없이 반복될 것임 -
ICE는 신원 확인 등에는 별 관심이 없고, 과거 및 현재 행태를 볼 때 선의로 움직일 것이라 기대할 이유가 전혀 없다는 의견임
시카고 대규모 이민자 단속 기사 링크도 첨부함 -
이미 신원 식별 정확도가 높은 [계정 속성 추적 기술]이 존재함
그러나 실제 문제는 기술 자체보다는, 아시아계나 히스패닉 이웃과 사이가 안 좋은 평범한 시민이 근거 없는 “제보”를 남용할 때임
이런 방식으로 자동화된 감시-구금 시스템이 위험하게 작동할 수 있음
기술이 아니라 사람이 진짜 위험 원인이라는 설명임
-
-
“누군가 정부의 감시를 항상 받아온 것 같은 느낌이 있었는데, 그 누가 ICE가 아니더라도 감시당해 온 것이 사실임”
-
사람들이 수백, 수천 개의 가짜 계정을 만들어 ICE를 혼란에 빠뜨릴 가능성도 제기함
-
“Palantir가 도와줄 수 있음”이라는 언급임
-
NSA가 이미 수십 년간 이런 일을 해왔으니, 굳이 Palantir까지 쓸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는 말임
-
이젠 “앱이 있다” 패러디처럼 “이제 Palantir가 있다”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반응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