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타입의 진짜 목적: 성공적인 제품을 발견하기 [번역글]
(blogbyash.com)프로토타입의 목적: 성공적인 제품 발견을 위한 과정
- 
프로토타입의 활용 배경
- 프로토타입은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제품 개발의 핵심 도구임.
 - 각 유형별 비용과 장점이 수십 년간 큰 변화 없이 유지됨.
 
 - 
AI 기반 프로토타이핑 툴의 등장
- Lovable, Bolt, Figma Make 같은 AI 기반 툴이 최근 출현함.
 - 이들 툴은 라이브 데이터 프로토타입 제작 비용을 크게 낮춤.
 - 기존 유저 프로토타입보다 빠르고 저렴한 프로토타입 제작 가능.
 - 제품 제작 초기 단계에서 반복 실험과 검증의 효율성 극대화.
 
 - 
프로토타입의 근본 목적
- 진짜 목적은 성공적인 제품을 ‘발견’하는 데 있음.
 - ‘해결할 가치 있는 문제’ 발견과 ‘만들 가치 충분 솔루션’ 탐색이 핵심.
 - 기존 대안 대비 명확히 뛰어난 솔루션임을 확신하는 과정.
 
 - 
제품 성공을 위한 네 가지 핵심 리스크
- 가치(value): 고객이 실제로 구매하거나 사용할 가치 존재 여부.
 - 사용성(usability): 사용자가 쉽게 목표 달성 가능 여부.
 - 실현 가능성(feasibility): 실제 제작과 공급 가능성 확보 여부.
 - 사업성(viability): 경제적 생산, 유통, 판매, 마케팅 가능성과 법적·보안 컴플라이언스 충족 여부.
 
 - 
프로토타입의 역할과 효과
-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형태로 시각화하고 동작 구현하여 검증 가능.
 - 내부 팀 및 고객 대상 테스트를 통한 리스크 조기 확인과 개선.
 - 문서나 머릿속 아이디어 대비 높은 구체성과 명확한 소통 수단.
 
 - 
프로토타입의 ‘진짜 같음(Realistic, Fidelity)’
- 비주얼 피델리티(Visual fidelity): 실제 제품과 비슷한 외형과 느낌.
 - 행동 피델리티(Behavioral fidelity): 실제와 유사한 인터랙션과 동작.
 - 데이터 피델리티(Data fidelity): 라이브 데이터 또는 현실적인 샘플 데이터 반영 여부.
 - 검증 목적에 따라 필요한 사실성 수준 결정.
 
 - 
프로토타입에서 실제품으로의 이동
- 성공적 솔루션 발견 후 품질, 확장성, 성능, 보안 등을 고려한 제품 개발 단계 진입.
 - ‘학습을 위한 빌드(building to learn)’와 ‘수익 창출을 위한 빌드(building to earn)’ 구분.
 
 - 
프로토타입의 커뮤니케이션 가치
- 프로토타입은 명확하고 효과적인 경험 전달 도구 역할.
 - IDEO의 Tom Kelly는 “한 번의 프로토타입이 천 번의 회의보다 낫다”며 중요성 강조.
 
 - 
프로토타입 실패 요인과 교훈
- 많은 실패는 기술적 한계보다 만들 가치 있는 솔루션 미발견에서 기인함.
 - 불필요한 완제품 제작 전에 철저한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검증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