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 by GN⁺ 22시간전 | ★ favorite | 댓글 2개
  • 닌텐도 스위치 2 도크USB-C PD 표준을 준수하지만, VDM 사용이 비표준적이어서 서드파티 도크 호환성에 문제 발생
  • 스위치 2는 최대 15W로 충전되며, 닌텐도 도크와 서드파티 도크 모두에서 동일한 충전 속도 제공
  • 닌텐도 정품 도크는 연결 시 항상 20V 3A를 요청하며, ANTANK S3 Max 도크는 필요 시에만 전력을 요청해 효율적임
  • 충전 시간은 90%까지 약 2시간, 100%까지 약 3시간 소요, 75% 충전 후 사용이 효율적
  • 닌텐도의 비표준 VDM 구현으로 인해 서드파티 액세서리 호환성을 제한함. 이는 악의라기보다 USB-C 구현상의 빈틈(또는 구현부족)일 가능성이 있음
  • 이 글의 목적은 Switch 2 도크의 USB-C PD 협상·호환성 데이터를 공개하고, 영상에 담지 못한 세부 측정을 정리한 보완 자료 제공

USB-C PD 기본

  • USB-C PD는 전압·전류 한도와 통신 절차를 정의해 최대 240W(EPR) 까지 전력 공급 가능
  • 일반 USB 전력 한도 15W(5V·3A) 대비, PD는 최대 20V·5A, EPR로 48V까지 확장 가능
  • 규격은 커넥터·케이블 물성소스/싱크 간 협상 프로토콜을 함께 규정

USB-C PD 협상 흐름

  • SOURCE_CAPABILITIES: 소스가 고정 전압/전류·PPS 지원 여부공급 가능 모드 목록을 광고
    • 소스가 주기적으로 송신하거나, 싱크가 GET_SOURCE_CAP으로 요청 가능
    • 싱크 능력은 GET_SINK_CAP / SINK_CAPABILITIES로 교환
  • REQUEST: 싱크가 원하는 모드의 인덱스를 선택해 요청
    • 상황 변화 시 재요청으로 충전 속도 상향/하향 가능
  • ACCEPT: 소스가 수용/거부 판단을 통지
    • 과열·부하 등 내부 로직에 따라 REJECT 가능
  • PS_RDY: 소스가 전압 전환 완료 및 공급 준비 상태를 알림
  • GOODCRC: 모든 수신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ACK) 역할의 보조 메시지
  • 현실에서는 패킷 손실·타이밍 편차·불완전 구현 등으로 예외적 동작이 빈번하다는 점을 주의

Vendor Defined Messages(VDM)

  • 전력 외에 데이터 방향·포맷·Alt Mode 협상을 위해 VDM 사용
  • DisplayPort Alt Mode처럼 공개 표준 VDM은 상호운용성 향상에 기여
  • 비공개·사유 VDM은 타사 호환성 저하 가능성, Nintendo의 VDM 사용 태도에 비판적 시각 제시

USB-C PD 테스트 요약

  • 장비 구성: Switch 2 본체/도크/정품 어댑터, UGREEN 100W 어댑터·연장선, ANTANK S3 Max 도크, Infineon CY4500(EPR 포함), Quarch AC 전력 분석 모듈, Asus ProArt 32" 모니터
  • 그래프 표기: 오렌지/핑크는 CY4500 측정 전력, 세로 흰선PD 메시지 발생 지점 표시

Test 1: 정품 어댑터 → CY4500 → 정품 도크 → Switch 2

  • 도크 최대 약 15W 소비디스플레이 출력 허용 관찰
  • 연결 시점 20V·3A 협상 이후 추가 메시지 미발생 경향

Test 2: 정품 어댑터 → 정품 도크 → UGREEN 연장선 → CY4500 → Switch 2

  • 약 15W디스플레이 출력 유지
  • 전원 협상 + 상태 변화 시 디스플레이 모드 협상 다수 확인

Test 3: 정품 어댑터 → CY4500 → Switch 2

  • 본체 직결 충전 시에도 약 15W 상한 유지

Test 4: UGREEN 100W 어댑터 → CY4500 → Switch 2

  • 타사 100W 어댑터 사용 시에도 약 15W 상한 동일

Test 5: ProArt 32" 모니터 → CY4500 → Switch 2

  • DR_SWAP 시도 반복 후 모두 거절, 모니터 표시 미출력
  • VDM 단계 도달 전 교섭 실패 정황

Test 6: UGREEN 100W → CY4500 → ANTANK S3 Max 도크 → Switch 2

  • S3 Max 도크는 전력 요청 투명성 우수, 정품 도크와 동일 충전 속도

Test 7: UGREEN 100W → S3 Max 도크 → UGREEN 연장선 → CY4500 → Switch 2

  • 충전 동작은 OK, 디스플레이 출력 실패
  • 연장선/접촉 품질 문제 가능성

Test 8: UGREEN 100W → S3 Max 도크 → 타사 연장선 → CY4500 → Switch 2

  • 충전 + 디스플레이 출력 정상, 최대 약 15W 평균 공급

충전 시간 테스트(벽전원 측정)

  • 구성: Quarch PAM으로 정품 도크/정품 어댑터 vs UGREEN 100W 어댑터 비교
  • 결과: 두 경우 충전 속도 유사, 고정 축 그래프로 비교 용이성 확보

결론 및 관찰 포인트

  • Switch 2 충전 전력 상한은 일관되게 약 15W
    • 정품/타사 도크·어댑터·USB-C 모니터 등 방법과 무관
  • 정품 도크는 연결 즉시 20V·3A 요청으로 상시 고전력 예약 성향
    • ANTANK S3 Max 도크본체 켜짐 등 필요 시 증전 요청으로 보다 효율적 전력 예절 구현
  • 충전 시간: 90%까지 약 2시간, 100%까지 약 3시간
    • 100%까지의 총 시간만으로 충전 특성 판단의 한계 시사
  • 배터리 사용 최적화 팁: 약 75%까지(1.5시간+) 충전 후 사용·소진 반복항상 근처 15W 충전으로 트리클 구간 회피 가능
  • 타 도크 비호환성의도적 차단이라기보다 USB-C 구현 미비 또는 VDM 도달 전 교섭 실패 가능성

저는 스위치 1 때도 비호환독을 추가로 사용하다가 벽돌이 된 적이 있어서
이젠 닌텐도 호환독은 쳐다보지도 못하겠어요.
근데 이게 반복되는거 보니, 뭔가 닌텐도가 고의로 이러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ㅡ.ㅡ+

Hacker News 의견
  • 나는 Nintendo가 Switch 2의 USB-C 도킹 호환성에 대해 단순히 USB-C 명세를 대충 구현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음, 실제로는 USB-C 위에 얹힌 특별한 독점 프로토콜을 일부러 설계했다고 확신함, The Verge 기사에서는 Switch 2와 도크가 통신 초반부터 Nintendo만의 “vendor defined” 언어를 사용하며, 비디오 출력 협의 전에 30개 이상의 독자적인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이 포착됨, 관련 기사 확인 가능함

    • USB PD 통신, 특히 Vendor Defined Messages에 대해 많은 오해가 있는 점을 지적하고 싶음, LTT 영상도 이런 오해를 반복했고 eMarker 칩 관련 메시지와도 혼동이 있었음, Vendor Defined Messages 자체는 모든 PD 교환에서 발견되는 일반적 메시지임, DisplayPort, Thunderbolt, eMarker 식별 등 다양한 기능 구현에 필수적임, Antank의 이야기는 아마도 독과 Switch 1 도크 혹은 동글을 구분하는, 또는 도크 기능(예: 쿨링) 식별 목적의 단일 독점 메시지에 대한 것이라 봄, 의도된 호환성 제한일수 있지만, 이는 표준 USB-PD 내부의 알려지지 않은 타입의 1개 메시지일 뿐 “30여개 독점 언어” 수준은 아님

    • LTT 영상에서도 Nintendo가 의도적으로 그렇게 했다는 가정을 분명히 했지만, 이를 명확히 증명할 근거가 부족하다고 밝혔음, 대신 “Nintendo가 호환성 개발을 너무 일찍 그만둠”이라고 표현함

    • Nintendo가 3rd-party 디바이스 지원을 하지 않는 합리적 이유가 있음, 자사 독에는 쿨링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어, 일반 동글 사용시 Switch는 도크 모드 퍼포먼스를 제대로 낼 수 없고 금방 성능 저하나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좋은 사용 경험을 위해 제한한 것임

    • “USB-C를 무성의하게 구현했다”는 주장에 대해서, 실제로 LTT가 그런 결론을 내렸는지 확실치 않음, LTT 역시 명백히 단정짓지 않고, 이유가 무성의함이든 의도적이든 둘 다 가능성을 열어놓았고 Nintendo의 과거 전례를 볼 때 둘 다 그럴 법하다고 언급했음

    • The Verge 역시 출처마다 상이한 정보를 갖고 있고, LTT도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등, Nintendo가 그렇게 하는 게 자명하지 않음이 드러남, 게다가 최소한 한 개 서드파티 독은 동작하므로 일종의 암호학적 강제 불호환까지는 아닌 것 같음

  • 코로나 기간 동안 시간 여유가 많았을 때 Switch를 랩탑 충전기로 충전했다가 기기가 벽돌 됨, 정품 USB-C가 아니라는 이유로 닌텐도는 무상보증을 거부함, 하지만 호주에서는 소비자 보호법이 잘 되어 있어서 결국 2개월 걸려 새 Switch를 받음, 닌텐도 말이 맞다면 정품 USB-C가 아니면 기기가 망가질 수 있다는 점이 이상하게 느껴짐

    • Switch 충전기로 삼성 갤럭시 S10+ 폰이 벽돌 된 적 있음, 전혀 놀랍지 않음

    • USB-C 초기 시대에는 사용이 굉장히 어려웠음, Switch 1이 최초 USB-C 제품군 중 하나였던 것으로 기억함

    • 나도 당시 Switch가 두 번이나 고장났고, 결국 e-marked 케이블을 쓰면 포트가 바로 고장난다는 사실을 찾아냄, 내 방의 어떠한 기기는 해당 케이블로 문제 없이 잘 동작했으나 Switch만 예외였음, 포트 설계가 안전하지 않고 망가지는 방식이 너무 심각함

    • Switch 2는 표준에 더 잘 부합하는 것 같음, 일반 휴대폰 충전기로 문제없이 충전 가능했고 Switch 2 충전기 또한 다른 디바이스와 호환됨, 다행히 벽돌은 없었지만 Switch 1 충전기는 콘솔 이외에는 작동을 안 했음

    • 만약 독점 규격이었다면 닌텐도가 자체 커넥터로 완전히 회귀했을 텐데, 왜 여전히 USB-C를 쓰는지 의문임

  • LTT 영상을 보면서 USB나 USB-PD에 대해 잘 모르는 내가 봐도, 영상 속 설명이 두루뭉술하고 기술적 이해 없이 전문 용어만 늘어놨다는 느낌이 들었음

    • 내 생각에는 기술 담당자가 글을 썼고, 그걸 제대로 풀지 않고 영상 포맷만 만든 느낌임, 완전히 기술적으로 가거나 아예 높은 수준 설명만 했으면 좋았을 것을, 중途半端하게 설명함으로써 오히려 구체성이 떨어졌음
  • 나는 LTT 영상에서 다뤘던 다른 5자 알파벳 이름의 서드파티 독(내가 직접 산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Switch 1의 USB-C 이슈 사례가 떠올라 걱정했지만 $28 가격에 비해 공식 독($124)보다 훨씬 괜찮게 작동함, 작고 더 사용하기 쉬워서 매우 만족스럽고, 공식 독 한 개 가격이면 집안의 모든 TV에 독을 마련할 수 있을 정도임, 해당 제품, 구매 링크 참고 바람

  • 닌텐도가 Switch 1에서 micro SD 카드에 독점 조치를 취했더니 이번에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낸 게 아닌가 싶음, 닌텐도는 고객 친화적이지 않고, 이제는 아이들을 타깃으로 저성능 핸드헬드와 독점 동글을 만들어 Apple처럼 자사 생태계에 이용자들을 묶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

    • 닌텐도는 20년 넘은 게임을 즐기는 팬 커뮤니티에 소송을 위협하기도 함, 수많은 유저가 개인 비용으로 거대한 토너먼트를 열고 고전 게임(Me lee 등)의 극한까지 실력과 시간을 쏟지만, 닌텐도는 법적 구속력을 행사하여 심지어 경미한 모드도 허용 안 함, 실상은 누구나 공정성이나 버그 픽스를 위해 모드를 쓰긴 하지만 외부로 표시되지 않게 조심스레 운영 중임

    • Switch 1에서 micro SD 카드 독점 조치를 했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표준 microSD(HC/XC) 카드를 지원하고 최신 규격(UHS-I)만 쓰는 평범한 구조로, 독점 요소가 없었던 것으로 암

    • 닌텐도는 전통적으로 아이들을 위한 장난감을 만드는 회사였음, 어릴 적 N64, SNES, NES 시절과 같은 그 회사이고, 지금은 내가 나이 들어 더 비판적으로 느끼는 것일 뿐임

    • Game Boy나 3DS처럼 예전에도 이런 장치를 만들었고, 이것도 같은 맥락임

  • LTT Labs가 이미 이런 테스트를 한다는 걸 몰랐음, 앞으로 gamersnexus와의 테스트 및 데이터 비교, 제조사 거짓말 적발 현장 등이 어떻게 펼쳐질지 기대됨

    • LTT의 주력 콘텐츠가 대중적인 오락 위주로 바뀌었음에도, 물리적 제품 테스트는 여전히 꽤 괜찮다고 생각함

    • LTT가 거짓말을 잡아내도 “이건 너무 심각해!!!”라는 식이 아니라 좀 더 중립적이고 긍정적으로 접근하는 점이 좋음, 바이럴을 노리긴 하지만 부정적인 파도엔 크게 휩쓸리지 않는 편임

  • LTT 영상이 닌텐도가 공식 독 이외에는 외부 모니터 연결을 일부러 제한하는 인상을 줬지만, 기사 본문에서는 버그일 수도 있다는 뉘앙스가 느껴짐, Switch 1 때도 USB-C 구현에 실패하지 않았나 싶은데, USB-C는 정말 복잡한 규격임, 의도적 제한인지 버그인지는 닌텐도가 펌웨어로 고쳐주는지 보면 알 수 있을 것 같음, Linus도 영상에서 닌텐도 USB가 전혀 “유니버설”하지 않다고 언급함

    • Switch 1은 출시 당시 USB-C 자체가 신기술이었고, 비디오 출력·PD 같은 고급 기능들도 거의 처음 나와서 이해는 가는 부분이 있음, 하드웨어 설계도 훨씬 전 시점에 이뤄졌겠음

    • LTT 영상은 의도성을 명확히 이야기하지 않았고, 닌텐도 역시 미리 인지하고는 있었던 것으로 보임

  • Switch 2를 충전해보니 최대 15W로만 충전되었음, EU 법규문서에서는 PD 충전기가 최대 12W까지만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됨, 다만 TV 모드는 54W가 필요하고, USB PD 15V/1A로 충전하는 상황에선 대부분 전원이 기기로 직접 전달되고 배터리엔 5V로 충전하는 구조로 파악함, 자세한 법규문서 확인 바람

  • “Test 5: DR_SWAP always rejected”라는 점에서, 모니터가 USB-호스트에서 USB-gadget으로 역할 변경을 시도하는데, Switch는 자신이 gadget 역할임을 주장하며 이를 거부함, 기사에서도 Vendor Defined Messages까지 협상이 진행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어서 닌텐도의 고의적 제한 정황은 없는 것 같음, 내 생각엔 이 문제는 모니터의 펌웨어 버그 때문으로 추측함, 내 마지막 Asus 모니터에도 펌웨어 이슈가 많았기 때문임

    • “닌텐도는 USB 모니터 사업을 하지 않는데 왜 일부러 막겠냐”는 주장에 대해, 실제로는 nreal 미니 모니터의 Switch 연결 앱을 마켓에서 사용하려면 수수료를 내게끔 막는 경우도 있음
  • “Switch 2 독은 연결 시점부터 20V 3A를 언제나 요청하는 반면, Antank 독은 스위치 전원이 켜지고 추가 전원이 필요할 때만 더 요구함, USB PD 규격상 Antank 방식이 친환경적이고 전기요금도 절감 가능”이라는 대목인데, 실제로 전력 요금은 실질적으로 소비된 kWh 기준이라 이런 방식의 절감 효과가 크진 않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