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는 불필요한 기능만 계속 추가중 - 실제로 필요한 것은 이런거에요
(theregister.com)- Windows는 최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로컬 AI 기능과 데이터 수집 중심 기능을 늘려 생산성 개선에는 소홀함
- 사용자는 꾸준히 불필요한 알림과 서비스 가입 유도, 광고형 푸시 콘텐츠에 시달리는 상황임
- 실제로 필요한 기능으로는 다중 클립보드나, 작업표시줄에서 여러 시간대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 커스텀 키보드 단축키 등이 있음
- 여러 앱과 오디오 장치 관리, 멀티 모니터 환경 개선, 불필요한 알림 차단과 생산성 중심으로의 전환이 요구됨
- 현재 Windows가 제공하는 기능은 많은 부분에서 자동화 툴이나 서드파티 프로그램에 의존해야 하며, OS 자체에서 이런 요구를 충족하길 바라는 목소리가 큼
Windows가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보다 불필요한 기능을 우선시하고 있음
- Windows는 Xbox Game Pass 홍보 알림, Microsoft 365 가입 요구, Recall의 개인정보 스냅샷 등 원치 않는 기능을 반복적으로 강요중
- 사용자는 Microsoft 계정 로그인 강제, AI 기능 내장 등으로 감시 및 데이터 수집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는 상황임
- OS 책임자 Pavan Davuluri는 윈도우의 미래를 음성·비전·터치 중심 인터페이스로 설명했으나, 사용자는 이를 실효성 없는 변화로 인식
- Paint의 로컬 이미지 생성, Notepad의 탭과 AI 추가, 작업표시줄 뉴스 위젯 등은 "누가 원했는가?"라는 회의적 반응을 불러오고 있음
실제로 필요한 10가지 Windows 기능 제안
1. 다중 클립보드 지원
- 현재 Windows는
Win + V
로 클립보드 히스토리 기능을 제공하지만, 실제 필요한 것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클립보드 - 두 번째·세 번째 클립보드를 각각 다른 단축키로 복사/붙여넣기할 수 있다면, 텍스트와 이미지를 동시에 보관하고 필요할 때 구분해서 활용 가능
- AutoHotkey 같은 스크립트로 흉내낼 수는 있지만 OS 차원에서 기본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함
2. 작업표시줄 다중 시계
- 현재 Windows는 추가 시계를 설정할 수 있으나, 이는 작업표시줄이 아닌 마우스 오버 시 팝업으로만 확인 가능
- 예를 들어 로컬 시간과 UTC를 동시에 표시해야 하는 경우, 작업 중 즉시 확인이 어려운 불편
- 사용자들은 작업표시줄 자체에 여러 시계를 배치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함
3. 네 번째 수정 키(MOD 키)
- 기존 단축키는 Ctrl, Alt, Windows 키만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이미 많은 조합이 다른 기능에 할당된 상태
- 새로운 MOD 키를 추가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단축키로 지정할 수 있는 확장성 확보
- 예: MOD + C, MOD + V를 두 번째 클립보드 전용 단축키로 설정 가능
- 과거에 Windows 키를 도입했던 것처럼, 새로운 키 추가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4. 모든 단축키 리매핑 허용
- 현재 Windows는 일부 단축키 변경만 허용되며, 시스템·앱 차원에서 고정된 단축키가 많음
- 사용자는 특정 단축키를 자신에게 맞게 전면적으로 커스터마이즈하고 싶어 하는 요구가 있음
- 예: Ctrl + A를 ‘복사’, Ctrl + B를 ‘붙여넣기’로 재정의하거나, Ctrl + F를 ‘전체 선택’으로 바꾸는 자유도 필요
5. 이동·크기 조절 가능한 작업표시줄
- Windows 10까지는 작업표시줄을 위·아래·좌·우 이동하거나 높이 조절이 가능
- Windows 11에서는 이 기능이 사라져 사용자 불만 증가
- 많은 아이콘을 사용하는 파워유저는 넓은 작업표시줄을 필요로 하며, 이 기능 복원 요구가 강함
- Microsoft가 의도적으로 제거한 뒤 차기 버전에서 “재도입” 명목으로 홍보할 가능성이 있음
6. 오디오 방화벽
- 예기치 못한 앱 소리나 웹사이트 자동 재생 소리는 집중력을 방해하는 요소
- 앱이 오디오를 출력하려 할 때, UAC 권한 요청처럼 사용자에게 알림을 띄우고 허용 여부를 묻는 방식 필요
- 앱·사이트별로 허용/차단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하는 요구
- 브라우저의 탭 음소거는 소리가 난 뒤에야 가능하므로, 사전 차단 방식 필요
7. 모니터별 앱 고정
- 다중 모니터 환경에서 사용자는 특정 앱을 특정 화면에 항상 띄우고 싶어 하는 요구
- 예: Slack은 오른쪽 상단 모니터, 브라우저는 메인 모니터에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 가능해야 함
- 여러 앱을 동일한 모니터에 고정해 자동 분할 배치까지 지원하면 생산성 향상
8. 프로그램 그룹 실행
- 사용자는 작업 모드에 따라 여러 앱을 동시에 실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 예: 웹 개발 모드 → Notepad++, FileZilla, MySQL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 글쓰기 모드 → 웹 툴, Photoshop Elements, Slack
- 현재는 AutoHotkey/AutoIT 스크립트로 가능하지만, Windows 기본 기능으로 “작업 세트 실행” 제공 필요
9. 오디오 장치 전환 간소화
- Windows 11에서는 출력 장치 변경 시 여러 단계의 메뉴 진입이 필요해 불편
- USB 스피커와 헤드셋을 번갈아 사용할 때 빠른 전환이 어려운 문제
- 사용자는 작업표시줄이나 시스템 트레이에서 즉시 전환 가능한 단축 메뉴를 요구
- 더 나아가 앱별로 특정 장치를 자동 지정할 수 있다면, 예: Zoom은 헤드셋, 브라우저는 스피커, 업무 효율성 극대화 가능
10. 마이크로소프트 유발 방해 요소 차단
- Windows는 광고성 알림, 위젯 뉴스 피드, Xbox Game Pass 홍보 등 업무와 무관한 알림을 기본 제공
- 이런 요소들은 비활성화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꺼져 있어야 한다는 요구
- 대표적 불만 사례: 업데이트 후 다시 나타나는 OOBE(Second Chance Out-of-Box Experience), 영화 예고편 알림, Game Pass 권유
- 사용자들은 OS가 본질적인 기능에 집중하고, 광고나 프로모션은 완전히 제거되기를 원함
결론 및 제안
- Microsoft가 OneDrive, Microsoft 365, Game Pass 등 자사 서비스 영업에만 몰두하지 않고 생산성 실질 지원에 집중해야 함
- AI 기능보다 일상적인 업무 효율화를 위한 개선이 더 시급함
- 사용자가 진정 원하는 기능과 변화가 반영되길 기대함
작업 표시줄은 Windhawk 기반으로, 오디오 장치는 EarTrumpet 등의 서드파티로 없는 기능을 메꿔 쓰는 경우가 많아진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탭 기반 소프트웨어(웹 브라우저, VS Code 등)를 여러 개 띄워놓을 때 그것들이 작업 표시줄에서 구분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어서 문제라고 느끼는데, Windows가 개선되길 바라는 것보다는 커스터마이즈해서 쓰는 게 맞나 같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동·크기 조절 가능한 작업표시줄. 대체 왜 이걸 막아놓은걸까. windows 10 까지 항상 우측에 이동해서 사용 중이었는데 .. 코드 보는데 너무 불편함
Hacker News 의견
-
마이크로소프트가 1990년대처럼 파워 유저를 위한, 방해하지 않는 툴을 만들던 시절로 돌아갔으면 하는 바람임. 내게 윈도우 2000은 최고의 윈도우 경험이었음. 보안 문제를 빼면 정말 견고했으며, 화려하지 않고 군더더기 없는 인터페이스가 최고였음. 알림이나 방해 요소 없이 오직 윈도우에 집중할 수 있었고, 사용자에게 존중을 표했음.
지금 윈도우는 그런 배려가 없어진 느낌임.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를 단순한 생산성 툴이 아니라 자사 제품 광고 플랫폼으로 여기고 있음. 요즘 사용자가 컴퓨터를 생산성보다는 엔터테인먼트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많이 쓴다 해도, 소프트웨어는 여전히 사용자를 방해하지 말아야 함. 소프트웨어는 조용히 있고 사용자가 명령할 때만 움직이면 된다고 생각함.
구글도 끊임없이 로그인이나 크롬 전환을 요구해서 똑같음. macOS도 잡스 시절에 비해 최근 10년 새 알림창이 매우 많아졌음.
그럼에도 수많은 조직이 생산성을 위해 윈도우, macOS, 구글 서비스에 의존하지만, 예전보다 점점 더 불편해지고 생산성에 방해가 되고 있음-
나도 완전히 같은 생각임. 지난 20년간 계속 윈도우 2000이 최고라고 말해왔음. UI만 약간 손질하면 더 바랄 게 없고, 보안·하드웨어만 최신이면 정말 만족스러울 것임. 마이크로소프트의 변화 때문에 결국 나도 리눅스로 넘어갔음
-
마이크로소프트의 현재 팀이 다시 윈도우 2000을 만들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않음
-
난 아직도 포토샵 등 예전 Adobe 툴을 쓰기 위해 윈도우 2000 머신을 사용하고 있음. DRM도 거의 없었고, 사용자를 존중해주는 OS였음. 감시자처럼 굴지 않음
-
실은 방법이 아주 간단함. LTSC 버전을 다른 타깃으로 마케팅만 해도 거의 95%는 해결임. 근데 결국 이런 식으로 신경 안 씀
-
요즘 윈도우가 사용자를 덜 배려한다는 표현은 너무 약함. 마이크로소프트는 점점 노골적이고 공격적으로 사용자에게 적대적으로 변하고 있음. 이게 바로 독점의 저주라 생각함. 언젠가는 독점자가 사용자에게 완전히 무관심해지고 자신들 방식만 강요하게 됨
-
-
최근 윈도우 업데이트 후 Office와 백업 제안을 또다시 거절해야 했음. 최악은 동의 없이 홈 폴더를 OneDrive로 옮겨버린 경험임.
그래도 PowerToys 등 유용한 기능도 있음.
오디오 장치 전환 이슈라면 Soundswitch를 써보길 권유함. (비슷한 이름의 사기성 소프트웨어도 있으니 주의 필요)- 최근 업데이트 후 "OOBE" 화면이 정말 악명 높음. 마지막에는 Alt-Tab까지 막아서 도망갈 수도 없었고, 내가 전혀 쓰지 않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비밀번호까지 요구했음. 메모 확인도 못 해서 백업 스마트폰 없었으면 내 PC는 벽돌 될 뻔했음.
이 정도면 거의 다크패턴 최악 사례임. 리눅스로 갈아탈 각오가 생김
- 최근 업데이트 후 "OOBE" 화면이 정말 악명 높음. 마지막에는 Alt-Tab까지 막아서 도망갈 수도 없었고, 내가 전혀 쓰지 않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비밀번호까지 요구했음. 메모 확인도 못 해서 백업 스마트폰 없었으면 내 PC는 벽돌 될 뻔했음.
-
리눅스를 쓰면 원치 않는 텔레메트리, 감시, 강제 클라우드 연동 계정, 계속되는 업셀링, 대부분의 맬웨어 걱정 없이 모든 걸 이용할 수 있음. 2025년에 마이크로소프트에게 조금씩 굽신거리는 건 나약한 선택임. 노예로 사는 것임
-
윈도우가 가진 여러 단점에 실망하고 리눅스에도 실망하는 상황이 생김! 예를 들면 ABI 호환 문제, Sudo가 파워유저 전용인 척 하면서도 자주 필요한 점, 싱글유저 PC에 최적화되지 않은 UX, 비표준 하드웨어 지원 약함 등이 있음.
리눅스가 내가 바라던 컴퓨터 철학과는 어딘가 깊게 다름. 내가 원하는 건 단순히 무언가를 만들고 편하게 실행하는 것이지 관리자가 되고 싶은 건 아님 -
1년 전부터 메인 데스크탑을 Debian XFCE로 바꿈. 배포판 고르고 NVIDIA 드라이버, 키보드 단축키 설정까지 초기엔 시간이 꽤 걸렸지만 세팅 끝나니까 지금은 정말 조용히 잘 동작함. PC 켜고 음악 틀고, 프로젝트 코딩만 함. 드라마 없는 일상임.
대부분의 비게이머는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되니까, 적절한 드라이버가 미리 깔린 배포판이라면 많은 사람이 이 방식을 쓸 수 있다고 생각함 -
리눅스로 옮기고 싶은데 추천 배포판이 궁금함. 내 조건은 3060Ti로 윈도우 수준의 게임 경험, 터미널 기초 명령어 익숙, UI는 윈도우 10이 제일 마음에 드는 편임. Ubuntu나 macOS는 많이 써봤는데 자잘한 헷갈림이 많았음. "그냥 되는" 환경을 원함
-
아쉽게도 macOS를 제외하면 비기술 사용자 관점에서 윈도우만큼 좌절이 적은 리눅스 배포판은 아직 없음.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비판은 정당하지만, 리눅스 현실도 직시해야 함
-
리눅스 사용의 반대급부로 "리눅스 만지다 밤샘"을 겪으라는 농담도 존재함. 이번 주에만 두 번이나 그런 밤을 보냈고, 결국 백업 복구로 회귀함. ARCH, UBUNTU, DEBIAN이 30년째 데스크탑 플랫폼 하위권을 놓치지 않고 있음. 결국 노예의 형태도 다양함
-
-
서버 용도로는 윈도우 2000 서버가 전성기였음. 엔드 유저용으론 XP와 윈도우 7이 최고였고, XP가 유아틱하게 보였지만 익숙해지면 훨씬 나았음.
예전엔 UI가 강제되는 점이 오히려 사용자 이해에 장점이 있었음. 요즘은 브라우저가 UI가 되고, 각자 비일관적으로 동작해서 더 혼란스러움.
예전 MS-Office, 특히 리본 도입 전 버전이 정점이었고, 그 후로 하락세임.
최근에는 FreeBSD로 옮기려 함. 리눅스 배포판은 지나친 분화, 신뢰성 저하, 반복성 약화 등 문제로 인해 실망감만 커짐. (예: apt-get 잡스러운 종류가 너무 많아졌음.) 데비안도, 레드햇이나 페도라도 더 이상 마음에 들지 않고, 심지어 버그 신고하면 "bug 아님"으로 넘어감. Pop-OS도 배율·폰트 문제 등으로 미완성 느낌임.
2025년이 다되어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기 전에 fstab에서 네트워크 마운트가 안 되는 게 버그 취급조차 안 됨. 리눅스 데스크탑의 해는 여전히 멀었음.
참고로, 80년대 애플은 좋아했지만 그 이후론 그렇게 생각하지 않음.
그래도 리눅스와 BSD에서 세상을 더 좋게 만들려 애쓰는 개인의 노력은 여전히 감사하게 여기고 있음-
윈도우 7 PC 메인보드를 10년 만에 업그레이드 했지만 정상 부팅이 안 되었음. 부팅 화면에서 뭔가 메시지가 번쩍 지나가고 완전히 멈춤.
선택은 새 윈도우 11을 200달러에 사거나 리눅스로 전환하는 것이었음.
결국 거의 모든 점에서 만족하며 리눅스로 왔고, 가끔 그리운 윈도우 전용 앱 하나 빼면 매우 행복함 -
아직도 오피스 2003이 그립고 특히 Excel 파워유저에게는 예전 버전이 훨씬 빠르고 안정적이었음. 65k 행 제한도 오히려 기능이라고 생각했음
-
-
마이크로소프트가 C#에도 똑같이 불필요한 것들을 마구 추가하고 있음. 그동안 엄청나게 많은 기능이 추가됐는데, 정작 모든 C# 개발자가 정말 원하는 sum type은 아직 없음
-
장단점이 혼재한다 생각함. 나쁜 점도 있지만 좋은 점도 많았음. “C#, the Good Parts”라면 JavaScript의 그것보다 훨씬 두꺼운 책이 됐을 것임
-
어떤 걸 구체적으로 불필요하다 생각하는지 궁금함
-
분량이 적은 언어는 절대 아니지만, 추가되는 기능들이 무용하다는 생각은 안 듦. 오히려 꽤 유용함. 물론 이런 개선 방향은 언어를 더 무겁게 함. Go처럼 미니멀한 언어도 가치 있지만, C#은 전체적으로 꽤 멋진 언어라 생각함. 모든 실사용 언어는 못생긴 면이 있게 마련임
-
sum type은 방법만 다르면 인터페이스 만들기로 어느 정도 흉내낼 수 있음. 예를 들면
Z read<Z>(Func<A,Z> readA, Func<B,Z> readB)
Yoneda 임베딩과 비슷하게 우겨넣어 쓸 수 있음
-
클래스와 상속 구조로 N개의 클래스가 빈 베이스 클래스를 상속하게 해서 sum type을 모방할 수도 있음
-
-
진짜 광고 없는 프로페셔널 윈도우 버전을 팔았으면 좋겠음. 아주 비싼 Microsoft surface도 사면 광고가 달려 있던데, 진짜 프로페셔널용 윈도우는 없는 상황임
-
완전히 원하는 건 아닐 수 있지만, 실제로 Windows 11 Pro를 구매할 수 있음
https://www.microsoft.com/en-ie/d/windows-11-pro/dg7gmgf0d8h4 -
윈도우 2000 프로페셔널 시절부터 그런 라인업이 존재하긴 했음. 구체적인 광고/크랩웨어의 차이는 잘 모르겠지만 프로 버전은 그룹 정책 등으로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음. 물론 이런 실정 자체가 우스꽝스럽지만, 광고 없는 비싼 버전을 바라는 의견 자체가 마이너해서 불만 있는 사람들도 그런 제품이 있다는 걸 모름
-
-
내 파트너가 윈도우를 쓰고 내가 간간이 초보 수준의 지원을 해주는데, 항상 헷갈리는 점이 오른쪽 클릭(컨텍스트 메뉴)임. 뭐가 문제인지 딱 짚어 설명하긴 어렵지만, 예전보다 너무 복잡하고 기본 작업이 한 번 더 클릭해야 나옴. 분명 설정을 바꿀 방법이 있을텐데, 이런 문제들이 보통 다른 이슈를 해결하려 할 때마다 튀어나와 시간을 더 잡아먹음. 꼭 필요한 기능은 기본값으로 해 주고, 추가 기능은 옵션으로 만들면 좋겠음
-
Win11에서 강제로 쓰게 될 때, 텔레메트리 끄는 스크립트를 찾다 보니 예전 방식의 오른쪽 클릭 메뉴 복원 옵션이 있더라. 예전 방식 자체가 너무 단순 명쾌한데 뭘 바꿀 게 있다고? 해서 실제로 클릭해보니 '이게 뭐야?' 할 만큼 변했음. 왜 MS에서 이런 걸 굳이 바꾸는지 의문임
-
새 오른쪽 클릭 메뉴의 도입 이유는 성능 때문임. 기존에는 3rd party 모듈이 메뉴에 얹히면서 첫 클릭에 심하게 버벅이는 일이 많음
-
-
OS는 목수의 공구함 같은 존재임. 나는 그 안에 내 앱(망치, 톱, 드라이버 등등)을 넣어두고, 작업이 끝나면 다시 집어넣음. OS의 역할은 내게 특정 앱을 추천하거나, 내 공구함 자체를 강제 업데이트 하는 게 아님.
OS는 항상 내 앞을 가로막지 않는 존재여야 함.
나 역시 윈도우 2000이 최고의 OS였다고 생각함 -
업무 때문에 종종 윈도우 부팅을 하는데 윈도우의 몰락 이야기는 항상 많이 들음.
나만 문제를 못 느끼는 걸까? 나는 귀찮은 것들 다 꺼두었고, 표준적인 오피스·생산성 도구 빼곤 아무것도 안 깔았음. 이렇게 하면 정말 군더더기 없는 셋업이 되고, 심지어 EAP 빌드로도 문제나 충돌 한 번 없고 손댈 필요가 없는 환경임.
실제로는 많은 분들이 이슈를 겪는 걸 알지만, 내 환경에서는 공감이 안 됨. 아마 이용 방식 차이 아닐까 싶음-
결국 인스톨 방식 차이임. 나는 완전히 깨끗하게 세팅된 윈도우 10을 사용하고, 내 아내는 OEM/기본 설치 그대로였는데, 1년 만에 아내 노트북은 사용할 수 없게 됐고, 내 노트북은 아직도 아이가 잘 쓰고 있음
-
귀찮은 거 다 끄는 데 얼마나 걸렸는지, 몇 군데에서 꺼야 했는지 궁금함. 정말 전부 다 비활성화 한 걸까, 아니면 그냥 적응된 걸까 (예: Win+S 검색이 우선 인터넷 찾아주고, 그다음에야 로컬 파일을 보여줌)
-
'귀찮은 것들 다 껐다'고 하지만, 그 방법을 아는 사용자가 많지 않음
-
시작 메뉴/검색 광고, OneDrive, Xbox, Office 안내 등 지금은 그나마 참을 만한 수준이지만 결국 점점 '더는 못 참을' 수준에 이를까봐 걱정임. 이런 현상이 서서히 악화된다고 느낌
-
-
작성자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불필요하게 자꾸 뭘 추가한다고 불평하다가, 결국 새로 권장하는 것도 전부 필요 없는 것들이라서 웃음이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