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 by gg5823 10일전 | ★ favorite | 댓글 5개

안녕하세요, 지시만 하고 직접 코드를 짜지 않은 것은 지금까지는 거의 해 보지 않았는데요, 이번 프로젝트는 Gemini, Grok 3, GPT-4와 같은 AI를 통해 거의 대부분의 코드를 짜고, 조금의 수정만 제가 짜는 방식으로 개발하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검수만 한 역할이라, 포트폴리오로 내세우기 위험하다는 판단이 들어 리드미에도 역시 명시하였습니다.

용도

  • 애니메이션 분기 정리
  • 사용자 요청으로 OTT 정보 등 반영

특징

  • 게시물 등록은 누구나 즉시 가능
  • 장점 빠른 최신 정보 업데이트
  • 단점 도배 행위에 취약
  • 등록 외의 작업은 관리자의 승인 후 최종 반영
    • 장점 잘못된 정보 검수 가능
    • 단점 관리자 부재 시 정보 수정이 느릴 수 있음

저는 전문 개발자가 아니기도 하고, 빠른 정보 업데이트가 도배 방지보다 더 중요하다고 여겼습니다. 혹시나 해서 부탁드리지만 게시물 도배를 하시지 말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ㅜㅜ

깃허브 링크

이곳은 광고판이 아닙니다..

Show 올리기 : 직접 만든 오픈소스나, 개발한 서비스를 홍보하고자 할때 이용해 주세요.

무슨 근거로 그렇게 말씀하시는 건가요?

저도 애드센스 붙어있는 블로그 글들이나 구독자 늘리기 위한 메일링 홍보는 싫어하지만,
이 글은 비전문가가 바이브코딩으로 운영 가능한 서비스를 만들었다는 것도 꽤나 흥미롭고, '광고판이 아니다'라고 지적할 만큼 노골적인 노림수도 없다고 생각해요

덧붙여서

  • (구글링하면 바로 나오긴 하지만) github 링크
  • 바이브 코딩으로 서비스 런칭해보신 과정
  • 실제로 이렇게 운영해보시며 겪은 애로사항
    같은 것도 담겼으면 좋았을 거 같네요 :)

앗, 광고나 사업성의 서비스들은 아니고 정말 제가 하고 싶어서 했습니다 ㅜ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일단 봇들이 OTT 정보들까지 잘 크롤링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였는데, 수동으로 제가 일일이 입력하니 너무 힘들어서, 분기별로 꾸준한 업데이트만 하려고 합니다.

DB는 어떤 것을 사용하셨나요?

DB는 Turso를 활용하여 애니메이션들을 저장하고, OTT 정보에 대해서는 이미 업로드된 애니메이션들에 한해서 허락하게 한 후 애니메이션 ID를 외래 키로 갖는 테이블을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DB에 애니메이션을 자동적으로 삽입하기 위해 Gemini를 이용하여 웹 크롤러를 작성한 후 수정을 하여 완료하였습니다. 원래는 youtube API도 연동하려 하였는데, 사용량에 비해 처리해야 할 데이터나 너무 많아 못 하였습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