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6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독일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사업가는 사업이 일정 규모를 넘어서면 사실상 출국이 힘들어짐
  • 독일의 Exit Tax(퇴거세) 는 회사 지분 1%만 넘어도 적용되며, 회사의 최근 3년 평균 수익을 기준으로 큰 금액이 부과됨
  • 비즈니스 규모와 수익에 따라 일부 그룹은 탈출이 쉽지만, 수익성 좋은 중소기업 오너는 상당한 장벽에 직면함
  • 스타트업도 투자 유치 시점부터 높은 평가액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받을 수 있음
  • 성장 가능성이 있는 소규모 기업일 때 미리 독일을 떠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독일의 Exit Tax(퇴거세)란

  • 독일에서 Exit Tax는 개인이 국내외 유한책임회사(예: GmbH) 지분 1% 이상을 보유한 상태로 국외 이주할 때 발생함
  • 계산 방식은 최근 3년간 평균 수익 × 13.75 × 0.6 × 0.42로, 요약하면 수익의 약 3.5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소득세율로 과세함
  • 이 제도는 사업주가 특정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면 실제로 국가를 떠나기 어렵게 만드는 효과를 가짐

네 가지 그룹별 이주 장벽

  1. 직장인

    • 회사 지분이 없는 일반 직원은 Exit Tax 없이 자유롭게 출국 가능함
  2. 비수익 기업 오너

    • 손익이 없는 회사의 사업주는 비록 세금 과세 대상이나, 실제 액수는 0에 수렴함
    • 단,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 시 평가액 기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3. 수익성 좋은 기업 오너

    • 수익성 있는 회사 오너는 Exit Tax로 상당한 금전적 부담이 발생함

    • 세무당국의 공식 평가액(13.75배) 적용 시 수십만 ~ 수백만 유로에 달할 수 있음

    • 상당수는 고액 절세 자문을 받을 여유가 없는 경우가 많음

    • 예시:

      • 3a) 연간 수익 50,000유로(CEO 급여 미지급): 사업가치가 낮게 평가돼 Exit Tax 0
      • 3b) 연간 수익 200,000유로(CEO 급여 120,000유로): 공식 평가액 적용 시 Exit Tax 약 700,000유로
      • 불과 몇 년 전 급여없이 일해온 사업가가 이사할 때 갑자기 큰 Exit Tax를 맞을 수 있음
  4. 거대 기업 오너

    • 총자산이 약 200만 유로를 넘기 시작하면, Liechtenstein 신탁 설립 등 법적 차단책 활용 가능
    • 이런 경우 오히려 Exit Tax에서 자유로움
  • 스타트업 창업자는 투자 유치 후라면 평가액 기준이 높아지므로 부담이 급증할 수 있음
  • Exit Tax는 단순한 탈세 방지가 아니라, 사업 확장을 위해 정상적인 사유로 해외 이주하고자 하는 사업가도 묶어두는 역할을 함

실무적 조언 및 고려사항

  • 금융 당국 평가(13.75배 factor)가 아닌, 실제 가치 평가를 의뢰하면 좀 더 낮은 Exit Tax 산정 가능성 있음
  • 거대 기업 오너처럼 아예 자산을 키운 뒤 절세 전문가의 방식을 택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여전히 국가에 "묶여 있음" 의 부담을 감수해야 함
  • 스타트업 창업자는 투자 유치 전 독일을 떠나는 것이 향후 Exit Tax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음
  • 회사를 매각하거나 청산하면 Exit Tax 문제가 사라지지만, 대부분 사업가에게 현실적인 선택지는 아님
  • 이주 후 11년 이내 다시 귀국하면 Exit Tax를 면제받을 여지도 있으나, 이 논리가 실제 부담 자체를 피할 수 있게 해주진 않음

결론

  • 성장 가능성이 있는 소규모 수익 기업을 운영 중이면서, 외국 이주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가능한 빨리 독일을 떠나는 것이 큰 금전적 손실을 예방하는 길임
  • 중견 규모 이상 사업가가 갑자기 큰 Exit Tax 납부 의무에 직면할 수 있음을 반드시 유념해야 함
  • 독일의 Exit Tax 체계는 사실상 사업가의 자유로운 해외 진출과 이주를 막는 "보이지 않는 장벽" 으로 기능함
Hacker News 의견
  • 나는 이 세금에 거의 걸릴 뻔한 사람임, 해외로 자산 빼돌릴 필요는 전혀 없음
    그냥 회사를 옮기지 않고 주식을 독일에 남겨두는 방식으로 국외 이전이 가능함
    이때 주식을 독일에 남는 법인(홀딩컴퍼니)에 넣고, 이 홀딩이 관리되는 것만 증명하면 됨
    방법은 친구에게 관리 권한을 위임하거나 1년에 두 번 독일을 방문해 관리 내역에 서명만 하면 됨
    세무사는 좀 비싸지만, 크게 어려운 건 아님
    자세한 설명은 여기 참고(3.1절)
    만약 회사를 해외로 완전히 옮기려면, 회사 가치 상승분을 세금으로 내야 하지만 이는 이미 실현된 이익에 과세하는 것과 동일함
    공정하지 않은 부분은, 독일의 기준에 따라 평가금을 산정할 때 정부가 직접 수익을 기준으로 가치를 추정할 수 있다는 것임(이건 공식 기준 평가서를 못내는 경우에만 적용됨)

    • 맞음, 독일에서 비즈니스를 세팅할 때는 전문가의 조언을 꼭 받아야 함
      주식을 홀딩컴퍼니로 옮기는 건 흔하고 문제가 된 적이 없음
      법인세(기업세)가 소득세보다 우호적임
      급여·배당 등 다양한 방식 조합도 가능하니 스타트업을 창업할 때에는 미리 성공 이후를 염두에 두고 설계해야 함
      독일엔 부유한 소규모 투자자, 가업, 가족 경영 기업 등 다양한 사업자가 많음
      이 중 상당수가 스페인, 이탈리아 등에서 은퇴함, 다양한 방법을 아는 것이 관건임
      물론, 이런 구조를 관리하다 보면 분명 엄청난 관료주의 폐해도 겪으며 정부 부처들끼리 기초 정보도 공유하지 않아 계속 같은 정보만 제출해야 하는 고단함을 느낌
      하지만 시스템이 예상한 대로 작동하긴 하니 익숙해지면 유리하게 쓸 수 있음
      ChatGPT와 같은 LLM을 정보를 얻는 데 활용하면 전통적인 상담이나 중개인을 일부 건너뛸 수 있음
      그래도 세무사는 책임 문제로 돈을 들일 가치가 있으니 아끼지 말 것, 절차만 이해해도 시간 절약이 큼

    • 회사가 연간 20만 유로 이익만 내도 70만 유로의 exit tax 계산이 되는 표를 보고 '공정하다'고 생각할 사람은 합리적이지 않음

    • 스위스라면 신탁(Trustee) 제도가 이런 상황을 합리적으로 다룬다고 믿음
      독일에서는 금액이 커지면 제대로 처리된다는 믿음이 전혀 없음

    • 이야, 그럼 그렇게 나쁘지 않네!
      독일에 홀딩컴퍼니를 세워서 관리
      새로 이주한 나라의 세제나 규제 충돌도 해결해야 할 수도 있음(국가에 따라 쉽지 않을 수 있음)
      1년에 두 번 이상 독일 방문하고, 모든 서류는 직접, 종이로 처리해야 함(가까운 곳으로 이주하길, 아이도 없길 빔)
      비싼 세무사 고용, 실력 있으면 좋겠음
      거대한 exit tax 내기 위해 회사 일부 매각(PE 투자자도 드물고 바이어가 협상 우위 가짐)
      정부가 내리는 회사 가치 평가와 바이어 측 평가, 일정 등이 맞기를 빔
      어쨌든, 왜 사람이 불평하는지 알겠음
      유럽에서 언어, 민족, 정부·국가가 하나로 묶이면 합리적 비판이 약하다는 특이한 현상도 느껴짐
      이런 정책은 창업자들이 아예 독일 밖에서 시작하게 만들거나 떠나게 유도함
      정말 민주적 자유 이동을 표방하는 체제에서 이게 옳은 방식인지 의문
      (관련 도표: https://i.redd.it/fxks3skmvt4e1.png)

    • 그냥 루クセм부르크에 바로 회사 세우는 게 더 나음

  • 처음엔 별나게 보일 수 있지만 세금 제도의 본질을 따져보면 생각이 달라짐
    소득세는 매년 징수되지만, 자본이득세(주가 등 자산 상승분)는 대부분 실현시점에 한 번에 걷음
    필요한 이유는 자산이 유동화되기 전까지 매년 세금을 걷는 건 비현실적이기 때문임
    내가 살던 나라엔 자본이득에 대한 exit tax가 전혀 없음, 한 부유한 통신 재벌이 평생 거주 후 포르투갈로 이주해 수십억 유로 자본이득을 아예 세금 없이 누림
    나도 이 제도 덕을 본 적 있음, 예전에 아일랜드에 살 때 쓴 주식 포트폴리오 대부분 수익이 그 기간에 생겼지만, 이주 후 팔면 아일랜드엔 세금 한 푼 안내게 됨
    문제는 이 ‘이익 간주 처분’시점에 평가 방식, 그리고 납세자가 자금이 묶여 ‘유동성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점임
    의미 있는 해결책은 찾기 어려움, 예를 들어 아예 자본이득세를 없애고 소비세 같은 것으로 채우자는 주장도 있는데, 그러면 또 새로운 세금 회피 방식이 생길 것임

    • 자본이득세 자체가 어리석은 제도라고 봄
      자본이득세 대신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지·매출·자원·IP보호세 등으로 과세하면 될 일임
      실질적으로는 국적이 다른 사람끼리도 주식 거래시 세금을 아예 안내기도 하며, 자본이득 발생 자체는 오히려 장려해야 효율적임
      상대적으로 포르투갈로 이주해서 세금 안 내는 게 불공정하다고 느껴도, 처음부터 0%인 나라 주주에겐 애초에 세금이 없음을 생각해야 함

    • 호주도 ‘공정한’ 자본이득세 시스템이 있음
      해외 전출시 현재 평가가로 자본이득세를 내거나, 또는 자산을 나중에 매각할 때까지 보류 가능
      공식 출처: ATO 설명

    • 아일랜드 정부가 내 포트폴리오(아마도 외국 회사 주식)의 가치상승분에 무슨 공로로 세금을 가져가야 하는지 의문

    • 자산 가치 상승분을 매년 세금으로 징수한다면, 만약 나중에 자산 가치가 하락하면 정부가 세금을 돌려주는가? 매우 복잡한 상황이 됨

    • 국가가 비상장 주식/증권 자체를 세금 납부 수단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해법이라고 봄

  • 캐나다인으로서, 출국시 ‘간주처분’이라는 절차를 겪음
    즉, 모든 자산을 판 것처럼 보고 그간 얻은 순이익에 세금을 내야 함
    비상장 기업을 보유했다면 평가액도 제시해야 하고,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 가능

    • 만약 내 자산이 전부 내 회사에 묶여 있다면, 출국을 허락받기 위해 회사를 일부 팔아서 세금 납부 자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임
      일자리를 만든 공로에 감사는 커녕 중국 공산당 느낌도 남
  • 미국이 더 심하지 않은가? 미국 시민이 EU로 이주하면 미국과 현지 세금을 모두 내야 하나 궁금함(나는 미국 시민이 아님)

    • 미국엔 이런 ‘exit tax’는 없지만, 해외 거주 민간인에 대한 세무요건이 가혹함
      모든 은행·증권계좌 연중 최대잔고 신고, FATCA/FBAR 등 서류, 특히 Form 8858(해외 disregarded entity 관련)이 번거로움
      스스로 세무신고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 전문회계사에게 연 1,500달러 이상 수수료를 내야 하는 경우가 많음
      정작 세액 자체보다 행정 복잡함이 문제임
      해외 주재 미국인은 정치적 힘이 약해서 이런 대우를 받는다고 봄
      (참고: Form 8858 공식 안내)

    • 미-EU 이민자임
      미국은 독일식 exit tax류 제도가 전혀 없음
      LLC 지분 1% 이상 보유한 모든 사람한테 exit tax를 물리자는 제안 자체가 정치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임
      미국은 전 세계 소득에 대해 과세하는 나라이긴 하나, 시민권 포기자에 한해 exit tax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순자산 200만불 이상에 한함
      독일처럼 ‘해외 이주시 회사 소유주에게 자동 과세’하는 것은 상상도 어려움

    • 대다수의 경우 이중과세 방지 협약이 어느 정도 효과 있게 작동함
      해외소득이 미국 세율보다 높으면 추가 세금은 없는 경우가 일반적임
      단, 미국 내 소득은 국외 거주자라도 계속 세금 내야 하고, 매년 신고 의무는 있음
      (관련 통계: 미국 시민의 해외 과세 관련 정보)

    • 이중과세 방지 협정이 이런 상황을 완전히 상쇄하진 않아도, 케이스별로 예외가 많음

  • EU의 기본 원칙 중 하나가 회원국 간 자유이동임
    이렇게 이동에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는 건 이 원칙에 어긋난다는 주장도 가능함(특히 손해가 큰 사람에겐 법적 도전가치 있음)

    • 또는 관료들은 모든 EU국가가 비슷한 exit tax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음, 그런 방향으로 가는 듯함

    • 그래서 EU 내 이동엔 이 법이 적용 안 되는 것임

  • 노르웨이도 exit tax 및 부유세 부담이 심함
    이 구조 덕분에 제대로 된 VC 기반 테크 스타트업이 나오기 어렵다는 불만을 많이 들음

    • 노르웨이는 부유세(통상 자산 1.1%/년), 자본이득세, 이민 시점의 exit tax 등을 모두 과세함
      비상장 회사를 고평가로 투자받으면, 내 통장에 돈이 안 들어왔어도 해당 평가금액 전부에 대해 부유세를 냄
      결국 성장 빠른 스타트업 설립자는 집 가까운 스웨덴(하지만 소득세가 매우 높음)이 아니라 스위스로 이주해야 함
      북유럽은 복지·무료 서비스 덕에 빈곤국 출신 이주민에게 매력적이지만, 이미 자산이 있거나 창업가에게는 매력도가 떨어짐

    • 이런 제도는 노르웨이 스타트업에 외부 인재 영입을 어렵게 만듦, 실제 피해자는 소수이지만 가장 유명한 사례로 Dune Analytics 창업자가 세금 부담 때문에 연봉보다 세금을 더 내야 해서 대출을 받거나 아예 나라를 떠나야 했던 일이 있음

    • 그럼에도 이런 세제는 자산 편향적 부의 집중과 관련된 정치적 왜곡을 막는 기능도 있음
      공정성과 혁신 사이의 균형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임

  • 이 이슈를 더 명확하게 정리한 웹사이트는 여기

    • 맞음, 하지만 내가 쓴 글은 소규모 기업 사장 중심 상황에 초점을 둔 거고 exit tax 일반론은 아니었음
      더 일반적인 요약글도 써뒀으니 참고(독일 exit tax 노트)
      참고로 난 비싼 세무조언을 팔 동기가 없어서 순수하게 썼음
  • 정말 미친 건 GmbH/AG 보유자가 2022년부터 EU 내로도 옮길 수 없다는 점임
    진짜 정부 노예가 된 느낌임

    • '노예'라는 말이 뭔지 다시 생각해보면 내 상황과는 전혀 다름을 알 것임

    • 2024년에 법 해석이 다시 바뀌어서, EU 내 이동은 실제 매각 시점까지 세금을 미룰 수 있게 됨
      EU의 자유이동 원칙에 위배된다는 판결 때문임

    • 왜 이런 상황인가? 기업이 어디에 소재하는지가 과세 결정권의 핵심이란 건 오래된 상식임
      2022년에 새로 도입된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함

    • 2022년 이전에도 실질 경영·관리 주체를 옮겼다면 심지어 그때도 사업 이전은 불가능했음

    • 사업을 좋아하고 경영하고 싶은 사람이
      미용사처럼 일한 만큼만 보수 받는 구조로 사업을 운영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의문임
      돈을 많이 벌면 쇼핑 등 소비가 늘어난다는 건 세상의 슬픈 현실이지만, 거기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생각함

  • 해외로 이주하면서 증권계좌(브로커리지 디포)를 그대로 들고 가는 경우도 이 법 적용을 받음
    단, 한 회사 지분이 1%를 넘는 경우에만 해당하니 일반 주식·ETF 투자자는 신경 쓸 필요 없음

  • 독일은 창업하기엔 전 세계에서 가장 힘든 나라임
    관료주의, 관료주의, 관료주의 그리고 이 놈의 노동자 권리! 독일인들은 왜 이렇게 불편한 건지!

    • 나는 점점 '돈만 주고 직원에게 월급 주는 용도의 회사'를 창업하는 걸 진지하게 고민 중임
      남이 보기엔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직원에게 잘해줘도 악당 취급받는 지금 같은 분위기를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싶음

    • 미국 관료주의도 절대 만만하게 보면 안 됨, 세계 최대이자 최고의 관료주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