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ost 6.0 릴리즈
(ghost.org)-
오픈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통합
- Bluesky, Mastodon, Threads, Flipboard, WordPress 등과 연결되어, 외부 소셜 플랫폼 이용자가 Ghost 포스트를 발견·팔로우·좋아요·댓글 등으로 상호작용 가능
- ActivityPub 기반 오픈 프로토콜로, Ghost 관리자가 자체 관리하는 퍼블리케이션이 소셜 프로필로 연결됨
- Ghost 관리자는 관리 패널 내부의 소셜 리더를 통해 다른 플랫폼의 콘텐츠도 읽고, 자신의 구독자와 양방향 소통 가능
- 소셜 웹 연동은 완전히 무료이고, 모든 Ghost 6.0 사이트에서 동작(Pro 및 셀프호스팅 모두)
-
실시간 내장형 Ghost Analytics
- 별도의 설치가 필요없는 내장 실시간 분석(Analytics) 스위트를 제공, 페이지뷰·소스·회원별 행동 등 다양한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집계
- Cookie-free, 1st-party 데이터 기반으로, 외부 분석 툴 없이 실시간으로 뉴스레터, 회원, 웹 전체 트래픽을 한눈에 분석
- 데이터 저장 및 시각화는 ClickHouse 기반, 호스팅/셀프호스팅 모두 지원(Tinybird 통합)
- Pro 버전에서는 퍼블리셔 플랜 이상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 셀프호스팅 하는 사용자는 Tinybird 무료 계정을 만들고 API를 가져와서 연동 필요
- 그외 주요 기능 업데이트
- Ghost Explore 완전 재작성, 60개국 이상 언어 지원, 뉴스레터 고급 디자인·스팸 방지·프리미엄 미리보기 등 대대적 강화
- 결제 지원 135개 통화, 무료 트라이얼, Apple/Google Pay, 자동 세금 계산, 일회성 후원, 추천·크로스 프로모션 등 다양한 수익화 옵션 추가
- 새로운 테마(뉴스·1인 크리에이터·푸드·팟캐스트 등), 대량 게시글 편집, 에디터 완전 개편(이력, 이모지, 이미지 편집, 랜딩페이지, 헤더·가입 카드 등)
- 통합 댓글, 커뮤니티 관리, 보안 강화(2FA, 디바이스 인증, 감사 로그), 네이티브 검색, 임베드 가입 폼, 이메일 알림, 설정 UI 개편 등
- 개발자 대상 변화
- Docker Compose 기반 공식 배포 환경 도입(7.0부터 기본), Ubuntu 24/Node 22/MySQL8 조합으로 테스트 및 문서화
- 오픈소스 개발 문서 재정비, VS Code 확장, Google AMP 지원 중단, 테마 검사 도구(gscan) 6.0 대응 등
- Ghost를 통한 퍼블리셔 누적 수익 $1억 달러 돌파, Ghost 재단 자체 연 매출도 $850만 달러 돌파
- 오픈 미디어 생태계에서 광고가 아닌 구독 기반 고품질 콘텐츠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이 자리 잡는 중
- 가격 정책 및 Ghost(Pro) 변경
- 구독자 수가 많은 플랜은 가격 대폭 인하(최대 50%↓), 최소 요금제는 소폭 인상(월 $15/29부터)
- 기존 고객은 가격 인상 적용 없음, 가격 인하 적용 고객은 자동 알림 및 플랜 변경 가능
- 첫 3개월 50% 할인 신규 런칭 프로모션 제공
- Ghost(Pro) 사용자는 관리자 패널에서 클릭 한 번으로 즉시 업그레이드됨
- 셀프호스팅 사용자는 업데이트 가이드에 따라 수동 업그레이드(백업 필수, 주요 변경점 주의)
실제로 확인했을때는 아쉬웠음. 오히려 셀프호스팅의 유저들을 클라우드 호스팅으로 이끌려는 업데이트에 그쳤다는 느낌. 그 외에는 이미 애널리틱스나 구현해서 대부분 쓰던거라 크게 변동사항은 없고, Activitypub은 아직 시기상조.
저는 Ghost Pro 사용자입니다.
- 애널리틱스가 원래 뉴스레터 전환율 같은 쪽으로만 있었는데, 페이지뷰 관련된 애널리틱스가 생겨서 뉴스레터 기능을 쓰지 않는 저한테도 좀 최소한의 기능이 생겼다는 느낌입니다. 기존에는 Google Analytics를 붙였었습니다.
- ActivityPub 관련 내용은 Fedify 프로젝트와 협업( https://writings.hongminhee.org/2024/07/… )하였고, 베타로 미리공개되어서 조금 써 보고 있었는데, 말하자면 포스팅이 올라갈 때마다 자동으로 연합우주상에 아티클로 올라가는 셈이라 다른 연동 같은 것을 할 필요가 없어서 꾸준한 노출을 만들기 좋아보입니다. 연합우주를 사용하신다면 RSS 리더 감각으로 받아볼 수도 있어서 좋습니다: 예시로 제 블로그가 연합우주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공유드립니다. https://hackers.pub/@jm@guji.jjme.me
- 가격 인상은 조금 무시 못할 가격인 것 같습니다. 저는 기존 가입자라 상관이 없는데, 이 계열 서비스 가격들이 찾아보면 다 부담이 없진 않더라고요. 저는 관리되는 소프트웨어를 쓰는 데 이 정도 돈이 드는 것에 불만은 없는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