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 by GN⁺ 2일전 | ★ favorite | 댓글 1개
  • NIST 연구진이 알루미늄 이온 시계의 정밀도를 크게 높여 세계 최고 정확도 신기록을 세움
  • 기존 기록보다 41% 더 높은 정확도다른 이온 시계 대비 2.6배 향상된 안정성을 달성함
  • 알루미늄-마그네슘 이온 쌍의 '퀀텀 로직 스펙트로스코피' 등 혁신적 기술과 진공 시스템 최적화, 레이저 업그레이드로 주요 성능 개선을 이룸
  • 수십 년간의 연구를 통해 1초를 10^-19 단위까지 측정 가능해져, 차세대 시간 단위 정의양자 물리 발전에 기여할 전망임
  • 측정 시간 단축으로 더 넓은 지구 과학, 표준 모델 너머의 새로운 물리 연구에도 활용이 기대됨

NIST 이온 시계의 성능 개선 및 기록 경신

  •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NIST) 연구진이 알루미늄 이온 기반 원자 시계의 성능을 개선하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실현함
  • 이 시계는 19자리 소수점까지의 시간 측정 정확도를 달성함
  • 최근 20년간 이루어진 지속적인 성능 업그레이드의 결과, 기존 세계 최고 기록 대비 41% 높은 정확도와 함께 2.6배 더 높은 안정성을 보임
  • 모든 구성 요소(레이저, 이온 트랩, 진공 챔버 등)를 세밀하게 개선한 결과임
  • 결과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됨

알루미늄 이온 시계의 원리와 혁신

  • 알루미늄 이온은 매우 일정하고 고주파인 '틱' 특성을 보여, 시간 측정에 탁월한 적합성을 가짐
  • 기존에 1초의 정의에 사용된 세슘보다 더 안정적인 주파수를 제공함
  • 주변 온도나 자기장 등 환경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더 우수함
  • 하지만, 알루미늄은 레이저로 탐지 및 냉각이 어려운 특성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마그네슘 이온을 함께 사용하는 '버디 시스템'을 적용함
  • 마그네슘은 레이저로 잘 제어 및 냉각되며, 퀀텀 로직 스펙트로스코피 기술을 통해 알루미늄 이온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음

시스템 성능 개선의 주요 요소

  • 이온이 저장되는 트랩에서의 불필요한 미세 운동(Excess micromotion)이 정확도 저하의 원인이었음
  • 트랩 구조 개선: 더 두꺼운 다이아몬드 웨이퍼 사용 및 전극의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금 도금 최적화로 이온 움직임을 최소화
  • 진공 챔버 역시 기존 스틸 대신 티타늄 소재로 재설계, 내부 수소 농도를 150배 이상 낮춰 이온 충돌 현상 및 실험 중단을 크게 줄임
  • 이러한 개선으로 재로딩 주기는 30분에서 수일로 대폭 연장됨

레이저 안정성과 측정 시간 단축

  • 고성능의 레이저 안정성 확보가 정확도 향상의 핵심임
  • NIST의 JILA 연구실(Jun Ye 그룹)에서 제작된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정적인 레이저를, 광섬유로 3.6km 떨어진 NIST 시계 연구실로 전송함
  • 광주파수 콤(frequency comb) 을 이용해 두 레이저의 특성을 비교, 궁극적으로 시계의 레이저가 Ye 연구실의 레이저 안정성을 얻게 됨
  • 덕분에 이온 측정 시간(틱 측정)이 150ms에서 1초로 연장되어, 19번째 소수점까지 측정 시간을 3주에서 하루 반으로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됨

NIST 이온 시계의 미래 기여와 활용

  • 이 새로운 정확도 기록은, 향후 세계 표준 초(second) 정의의 재정립, 지구과학, 정밀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확장 기반을 제공함
  • 시계 업그레이드는 양자 논리 기반 실험환경(testbed)로서의 역량도 크게 향상시킴
  • 지구 측량, 자연 상수의 변화 여부 등 표준 모델을 넘어선 물리 현상 연구에 이 시계가 핵심 도구로 활용 가능함
  • 시간이 더 짧게 걸리므로 새로운 과학적 측정과 실험의 기회가 열림
  • 앞으로 더 많은 이온을 투입하거나 이온 사이 얽힘(entanglement) 을 적용해 측정 역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음

참고 논문

  • Mason C. Marshall 외, "High-stability single-ion clock with 5.5×10−19 systematic uncertainty", Physical Review Letters, 2025년 7월 14일 온라인 게재, DOI: 10.1103/hb3c-dk28
Hacker News 의견
  • 두 개의 이 시계를 나란히 놓고 고도(수직 위치)가 몇 센티미터 차이만 나도 중력/시간 지연 차이로 측정이 가능함. 직접 이런 수준으로는 아니어도, 세슘 빔 원자시계를 수천 달러대에 구입할 수 있고 직접 손으로 만들어볼 수도 있는 시대에 살고 있음이 놀라움

    • 세슘 시계는 약 1마일(1.6km) 수준의 수직 이동 분해능과 비교할 수 있음. 세슘 시계의 재미있는 점은 세 개 정도를 미니밴에 실어서 캠핑 갈 때 쓸 수 있다는 점임
      http://leapsecond.com/great2005/

    • 이런 수준의 정밀도가 놀랍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합리적으로 잘 갖춰진 연구실'에서 자체적으로 광학 시계를 만든다면 얼마나 어렵고 비쌀까 궁금함. 시중에 몇 개의 랙 크기만 한 광학시계가 상당히 비싼 값에 판매되고 있는데, 재료 자체가 아직도 비싼 건지, 아니면 오직 전문성 때문인지 궁금함

    • 초정밀 시계를 비교하는 이 방식이 아주 멋짐. 앞으로 아인슈타인식 고도계를 어디서나 볼 수 있기를 기대함

    • “수직 위치 몇 센티미터의 변화 측정”이 실제로 얼마만큼의 시간 동안 가능한지 궁금함. 즉각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음

    • 앞으로 어느 정도까지 정밀도가 현실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지 궁금함. 정말 언젠가 중력을 이용해 우주 규모가 아닌 일반 일상 속, 예컨대 누군가 옆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중력파나 간섭 패턴까지 볼 수 있는 시대가 올지 상상해보게 됨

  • SKO BUFFS. NOAA에서 잠깐 일한 적이 있는데, 같은 캠퍼스에 있는 NIST에서 산책하며 근무했던 게 정말 좋았음. 엄청 멋진 건물이었음. 그런데 전체 캠퍼스가 폐쇄될 위기임

    • 약간 관련된 내용인데, 로드아일랜드 뉴포트 해군기지에 있는 NOAA의 새 해양운영시설 건설은 계속되고 있음을 언급하고 싶음. 한편으론 일부 폐쇄 논의와 동시에 새 건설이 진행되는 의미 있는 패턴이나 논리가 존재하는지 궁금함
  • 최근에 있었던 원자 시계 관련 논의들을 정리함.

  • 비전문가의 입장에서, 시계의 정확도를 측정하려면 그보다 더 정확한 시계가 필요하지 않냐는 의문이 있음.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의 정확성은 어떻게 측정하는지 궁금함

    • 예를 들면 여러 대의 시계를 만들어 서로 비교하는 방법이 있음
  • 시계의 정확도를 어떻게 측정하는지 궁금함. 모든 시계에 미세한 오류가 있다면 모두 틀린 것이 아닌지 의문이 듦

    • 시계의 정확도는 정의에 따름, 이후 정밀도를 측정함. 두 개의 시계를 만들고 서로 얼마나 어긋나는지 측정하면 정밀도를 알 수 있음.
      두 시계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있으면 측정 가능한 시간지연 등 재미있는 실험이 가능함. 예를 들어

      • 서로 다른 원소의 두 시계를 이용해 '우주의 상수'라 불리는 값이 변하는지 측정 가능
      • 시계의 방향(예: 옆으로 눕힘)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관찰해 우주에 '특정 방향'이 있는지 연구
      • 어떤 이론에 따르면, 암흑물질이 시계 주파수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에, 먼 거리에 시계를 두고 공간적 암흑물질 밀도의 변조를 찾는 실험
      • 시계의 안정화를 위해 조정된 모든 요인(자기장 등)의 변화도 관찰 가능, 그래서 시계가 고감도 자기장 측정기도 됨
    • 정밀 시계 이야기할 때 꼭 나오는 재미있는 질문임.
      동일한 시계를 두 개 이상 제작해 동시에 같은 시간에 맞춰 사용함. 완벽한 시계라면 시간이 지나도 차이가 없겠지만, 실제로는 점차 어긋나게 됨(체계적 편이와 무작위 편이 모두 존재).
      이 차이를 보면 시계의 오차가 마치 '무작위 보행'처럼 확산함. 시계 여러 개로 실험하면, 오차 분산이 어떤 시계가 더 뛰어난지 보여줌.
      절대적으로 완벽한 표준 없이도 두 대를 비교해 무작위성을 측정할 수 있음

    • 1967년부터 1초의 물리적 정의가 도입되어 있음
      https://en.wikipedia.org/wiki/Second#Atomic_definition

    • 사실상 시계의 '정확도'가 아니라 '노이즈 크기'를 측정하는 것임. 시계 원천 자체는 물리적으로 변하지 않지만 노이즈가 섞임.
      예를 들어 아주 미세한 자기장, 온도 변화 등도 시계 속도를 바꿀 수 있어서 최대한 차단/제어가 필요함. 남아 있는 영향은 계산으로 보정하고, 이 값이 곧 정확도임.
      직접 측정하고 싶다면, 똑같은 시계를 두 대 동기화해 놓고 시간이 지난 뒤 서로 비교하는 방법도 있음(상대성이론에 의한 영향도 고려 필요함)

    • 시간은 변하지 않는 물리현상을 기반으로 정의함.
      예를 들어 모든 전자는 완벽히 동일하기 때문에, 이런 특성을 이용해 정확한 시간 기준을 만들 수 있음

  • '시계'인지, 혹은 위치 인코더에서처럼 어디까지나 '시계 신호'인지 헷갈림. 즉, 특정 범위 내에서만 '절대값' 역할을 하는 것 아닌지 궁금함

    • 이처럼 트랩된 단일 이온, 혹은 중성 원자 격자 기반 광학 원자시계는 연속적인 시계 신호 자체를 생성하지 않음.
      대신 레이저(주파수빔, frequency comb)가 필요함. 수백 THz의 광학신호를 MHz~GHz 단위의 전자 신호로 나눠줌.
      실제 시간표현용 신호시계로 완전 연속성을 확보하려면 여러 대의 광학시계가 필요함(현재는 이온, 중성 원자를 다 잃어버리면서 자주 재설정 필요).
      연속 신호는 레이저가 담당함. 이 레이저는 에르븀, 이터븀 유리 기반의 적외선으로 동작하고, 이온의 공명주파수와 맞춰져 있음.
      짧은 구간에서는 노이즈를 거르기 힘드니, 실리콘 공진기의 품질로 주파수 안정성이 결정됨(매우 낮은 온도에서 냉각, 적외선 투과 등 품질 조건).
      컴퓨터의 시계 신호처럼, 장기적으론 NTP 등 외부와 동기화 수준이고, 단기적으로는 내부 쿼츠 오실레이터 수준.
      이번 광학 이온시계는 참고 주파수의 불확실성이 역대 최저 수준임. 하지만 트랩된 한 개 이온이 쓰이기에 중성 원자 격자 기반(수천 개 원자 활용)보다 단기 노이즈가 큼.
      그래서 실제 출력 신호를 매우 오랜 시간(최소 수일) 평균해야 명시된 정확도에 도달함.
      단기간(1초) 정확도는 현재 최고 성능의 세슘·수소 마이크로파 시계 대비 약 천 배 수준이나, 평균만 해도 기존 마이크로파 시계 성능에 도달함

    • 빅뱅 같은 우주적 기점 이외에는 절대적 시간 기준이 정말 존재하는 것인지 궁금함

    • 시계 신호는 누적해 모두 셀 수 있고, 장기적으로 매우 정확함. 회전 인코더처럼 수조 번의 신호 누적도 개념상 가능함(일반적으로 인코더는 이런 카운팅을 거의 안 할 뿐임)

  • 다이아몬드와 금으로 만든 '최고의 시계'라는 설명이 마음에 듦. 마치 마인크래프트 느낌임

  • 기사에 디바이스 사진 등 흥미로운 이미지가 많음. 알루미늄이 세슘보다 분명히 우수하지만 실제로 다루기 힘들고, 이제 표준이 되지 못하게 했던 장애물들이 이번에 해결된 것으로 보임

  • 프리프린트
    https://arxiv.org/abs/2504.13071("High-Stability Single-Ion Clock with $5.5\times10^{-19}$ Systematic Uncertainty")

  • NIST NTP 서버에 인증된 접근을 원한다면, 반드시 미국 우편 또는 FAX로 편지를 보내야 함(이메일은 허용되지 않음).
    NIST에서는 키 정보를 역시 우편으로만 회신함(이메일 사용 절대 불가).
    평소 우편·FAX를 받는 부서가 현재 접근이 제한되어 있어서 요청 처리에 상당한 지연이 있을 수 있음
    https://nist.gov/pml/time-and-frequency-division/…
    (fedramp 구현할 때 알게 된 사실임)

    • NIST가 NTS(Network Time Security) 도입을 고려할지 궁금함
      https://github.com/jauderho/nts-servers/tree/main

    • 해외 거주자도 FAX 사용이 허용되는지 궁금함. 미국 외 지역 사용자에게는 이 과정이 다소 번거롭게 느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