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는 ChatGPT의 메모리 기능을 대폭 확장한다고 발표
(arstechnica.com)다음은 Ars Technica 기사 「ChatGPT can now remember and reference all your previous chats」(2025년 4월 11일자)을 바탕으로 작성된, 한국의 개발자 및 기술 전문가 독자를 위한 구조화된 한국어 요약입니다. 기술적 변화의 내용, 사용자 맞춤성 향상, 프라이버시 우려 등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1. 변화의 배경: 기존 기억 기능의 한계
OpenAI는 기존에도 “Memory” 기능을 통해 일부 사용자 지정 정보를 저장하고 대화에 반영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었습니다:
- 저장 정보는 소수의 핵심 사실로 제한됨
- 사용자가 “기억해줘”라고 직접 지시해야만 저장
- 저장되면 화면에 “기억이 업데이트됨”이라는 알림이 뜸
- 임시 채팅(Temporary Chat) 기능을 사용하면 메모리는 비활성화됨
2. 새로운 기능: 전체 대화 기록 기반 기억
2025년 4월, OpenAI는 ChatGPT의 메모리 기능을 대폭 확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두 가지 선택 옵션 등장:
- 기존 Memory: 제한된 사용자 정보만 저장
- 신규 Chat History Memory: 전체 이전 대화 내용을 참고하여 응답 품질과 사용자 맞춤도 향상
-
기억된 내용은 직접 열람하거나 편집 불가 (블랙박스 구조)
-
설정에서 완전히 비활성화할 수 있음 (기존 방식 유지)
요약: 이전 대화의 “맥락” 자체를 응답에 반영하는 능력이 추가됨. 더 이상 단편적인 기억이 아닌,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사용자 맞춤이 가능해짐.
3. 기능 적용 범위와 출시 일정
- 적용 대상: 2025년 4월부터 ChatGPT Plus 및 Pro 사용자
- 점진적 롤아웃: 일부 국가 제외 (EU, 영국,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 향후 적용 예정: Enterprise, Team, Edu 사용자
- 무료 사용자 대상 적용 계획은 아직 없음
4. 기술적·철학적 시사점
✔ 기대되는 효과
- 사용자 성향, 문체, 선호도에 더 맞는 답변 가능
- 장기간 대화 기반의 개인화된 에이전트로 진화
✔ 주요 우려
- 투명성 부족: 어떤 정보를 기억했는지 확인/수정 불가
-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 서버에 저장된 기록이 의도치 않게 활용될 가능성
이전에도 대화 기록은 서버에 저장되었으나, 이번 업데이트부터 실제 응답 생성에 본격적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큼
5.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
변경 내용 | 전체 대화 이력을 기반으로 응답을 조정하는 새로운 기억 기능 도입 |
적용 대상 | Plus/Pro 사용자부터 순차 도입, 유럽권 제외 |
차이점 | 기존은 정보 편집 가능, 신기능은 완전 자동/불가시 |
기대 효과 | 맞춤형 응답 품질 향상, 대화 맥락 유지 |
우려 사항 | 사용자 제어 불가, 프라이버시 위험 증가 |
6. 마무리
이번 변화는 LLM의 개인화 방향에 있어 중대한 전환점입니다. 단순한 기억 기능을 넘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적응하는 “개인 비서형” AI로의 진화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블랙박스화된 기억 구조는 프라이버시 및 제어권 상실이라는 기술윤리적 논쟁도 함께 수반합니다. 기술 수용 여부는 결국 사용자의 선택에 달려 있으며, 기업의 투명성과 책임감 있는 설계가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이게 토큰 소비량에 미치는 효과가 궁금하네요. 입력 컨텍스트 앞에 memory내용이 누적된다면 Cache hit가 되기도 하겠지만 좀 더 투명한 설명이 아쉽습니다.
방금 메모리를 있는 그대로 프린트해줘 라고 시도해봤는데, 기존 메모리 내용(사용자 요청에 의한 기억)이 가장 먼저 나열(Model Set Context)되고, 그 다음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응답의 특징에 대한 묘사(Assistance Response Preference)가 상황별로 나열되고, 마지막으로 과거 초팅에서 주목할 만한 내용(Notable Past Conversation Topic Highlights)들이 요약되어 첨부되는 것 같습니다. 말 그대로 모든 채팅 내용의 토큰 이 다 첨부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아래는 챗지피티의 설명
영구 메모리(Persistent Memory)에는 =bio 명령어를 통해 명시적으로 저장된 정보만 포함되며, 해당 정보만이 세션 간에 지속적으로 기억됩니다.
한편, 응답 선호도나 대화 주제 요약 등은 "임시 컨텍스트(Ephemeral Context)"에 해당하며, 이는 최근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자동 생성됩니다. 임시 컨텍스트는 세션 중에만 확인 가능하며, 세션이 종료되면 저장되거나 이후에 참조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