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요약

  • 고대 이집트 천문신 '누트(Nut)'의 묘사에서 은하수(Milky Way)의 시각적 표현이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일부 관과 무덤 천장에는 은하수의 ‘Great Rift’를 닮은 곡선이 등장하며, 이는 누트와 은하수 사이의 상징적 연관을 시사한다.
  • 연구자는 문헌 분석뿐 아니라 시각적 증거를 바탕으로, 누트가 은하수를 대표하진 않지만 그 몸 위에 표현되는 천체 중 하나라고 결론 내렸다.

① 연구 배경 및 누트 신의 묘사

  • 천문학자 Dr. Or Graur는 5,000년 전 고대 이집트 관 555개 중 125개의 ‘누트(Nut)’ 신 이미지를 분석함.
  • 누트는 하늘의 여신으로, 벌거벗은 채 아치 형태로 묘사되며 별이나 태양 원반으로 덮여 있음.
  • 그녀는 하늘을 상징하며, 태양이 저물 때 삼켜 다시 아침에 낳는 주기적 역할을 담당.

② 시각적 증거와 구체적 분석

  • Nesitaudjatakhet의 관에서 누트의 몸을 가로지르는 검은 곡선이 은하수의 Great Rift를 연상시킴.
  • 동일한 곡선은 왕들의 계곡 일부 무덤 천장에서도 발견됨 (예: Ramesses VI, Seti I).
  • 이는 흔치 않은 묘사이며, 누트 자체가 은하수는 아니지만 은하수가 그녀의 몸에 장식 요소로 나타난다는 점을 지지.

③ 이전 연구와 연구자의 결론

  • 2024년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 문헌과 천문 시뮬레이션을 통해 은하수가 누트의 역할을 강조했음을 제시.
  • 당시에는 은하수가 누트의 팔과 등을 따라 겨울과 여름에 걸쳐 하늘을 가로질렀다고 해석.
  • 이번 시각적 연구를 통해 누트는 은하수를 포함한 여러 천체를 몸에 장식하는 ‘하늘 자체’로 인식된다는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