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P by GN⁺ 20일전 | ★ favorite | 댓글 8개
  • 주커버그는 Meta의 반독점 재판에서 소셜 미디어의 시대가 끝났음을 시사함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에서 친구 콘텐츠 소비 비율이 계속 하락
  • 메타는 자사 플랫폼이 더 이상 소셜 네트워크가 아닌 디지털 콘텐츠 소비 플랫폼이라고 주장함
  • FTC는 메타의 독점적 행위가 혁신과 선택권을 저해했다고 주장하지만 입증이 어려움
  • 틱톡, 생성형 AI 등 신흥 플랫폼들이 부상하면서 기존 소셜 미디어 정의 자체가 변화

소셜 미디어의 변화

  • 과거의 소셜 네트워크는 친구 간의 소통 중심 플랫폼이었음
  • 현재는 유명인 콘텐츠, 뉴스 반응, AI 생성 영상 등 방송형 콘텐츠 중심으로 변모함
  • 친구들이 올린 게시물은 점점 전체 콘텐츠 속에서 비중이 줄어들고 있음
  • 저커버그, 소셜 미디어가 이제는 “엔터테인먼트와 정보 습득의 공간”이라고 증언함

메타의 방어 전략

  • 메타는 재판에서, 친구 게시물 시청 비율이 감소했다는 자체 데이터를 제시함
    • 페이스북: 22% → 17%
    • 인스타그램: 11% → 7%
  • 자사 플랫폼이 더 이상 전통적 소셜 네트워크가 아니며, 틱톡, 유튜브, 아이메시지 등과 경쟁 중이라 주장함
  • 각 앱 간 UI와 콘텐츠 포맷이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디지털 플랫폼 간의 기능 동질화를 강조함
  • 이는 메타의 독점 주장을 반박하는 동시에, 플랫폼 다양성이 줄어들었다는 현실도 보여줌

FTC의 반독점 주장과 한계

  • 메타가 인스타그램과 WhatsApp을 인수해 경쟁을 억제했다고 주장
  • 그러나 FTC의 시장 정의가 불명확하고, 소셜 네트워크 산업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어 입증이 어려움
  • FTC는 소비자 피해보다 혁신 저하와 선택권 축소에 초점을 맞춤
  • WhatsApp 인수 당시 사용자 수는 5억 명, 현재는 20억 명 이상
  • FTC는 WhatsApp이 독립적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했을 수 있다고 보지만, 실제로 증명하기는 어려움

저커버그의 인스타그램 분사 언급

  • 2018년, 저커버그는 내부 메모에서 인스타그램 분사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음
  •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 성장을 방해하고 있으며, 독립 기업이 더 잘 될 수 있다고 판단했음
  • 그는 반독점 규제로 인한 강제 분사 가능성을 예견하기도 함

새로운 경쟁 구도와 정치적 배경

  • 현재는 틱톡 금지, 생성형 AI 등장,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실험 등으로 시장이 다시 재편되는 중
  • OpenAI도 인스타그램, X(구 트위터)와 경쟁하는 자체 소셜 네트워크 개발 중
  • 유럽연합은 최근 메타와 애플에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벌금 부과 (각각 2억 유로, 5억 유로)
  • 미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여전히 메타에 대한 소송을 지지하고 있음
  • 저커버그는 DEI 반대, 팩트체크 축소 등으로 백악관과의 관계를 강화했으나, 정치적 거래 가능성이 존재함

친구 콘텐츠 소비 비율이 계속 하락하는건, 메타가 페이스북에 광고를 미친듯이 올려서 사람들이 짜증나서 안보기 때문이 아닐까?
타임라인에서 글 2-3개 보면 광고 하나씩이 보이는 광고판이니 사람들이 떠나지 ㅡ.ㅡ+
자기들 문제를 남탓하는 느낌

요새 광고가 더 많아진 것 같더라고요

공감합니다. 글 하나에 광고 2-3개로 느껴질 때도 많습니다...

sns 가 수익 모델로 전락하면서 생기는 문제 아닐까..

저도 그렇겍 생각합니다. 다만 수익 모델을 친구 관계에서 구현한 방식이 아니라 광고 모델로 구현하면서 소셜 미디어가 변모한 거죠

Social Network -> Social Media -> Digital Contents Consume Platform(?)

사람2사람 => 콘텐트 2 콘텐트

Hacker News 의견
  • Zuckerberg와 기사가 Facebook/Meta에 일어난 일을 Wall Street를 만족시키기 위한 Facebook/Meta의 전략적 결정으로 설명하는 것이 놀라움

    • 소셜 미디어는 자연스럽게 발전한 것이 아니라, 광고주와 수익화를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의도적으로 변화한 것임
    • Facebook에서 가족의 콘텐츠는 거의 보이지 않고, 광고와 무관한 콘텐츠만 보게 됨
  • Meta가 Facebook을 '친구와의 연결'에서 '무작위 콘텐츠 스크롤링'으로 바꿨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용자가 원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같음

    • 이는 마치 레스토랑이 모든 음식을 사탕으로 대체하고 '보세요, 아무도 진짜 식사를 원하지 않아요!'라고 말하는 것과 같음
  • Facebook에는 친구 전용 피드가 있지만, 사람들이 더 이상 게시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있음

    • 소셜 미디어는 죽지 않았고, 그룹 채팅으로 이동했음
    • 그룹 채팅의 피드를 보고 싶다는 의견이 있음
  • 12살 아이가 소셜 앱보다 그룹 채팅을 주로 사용함

    • 소셜 미디어가 너무 나빠져서 프로토콜이 최선의 대안이 되었을 수 있음
    • 오래된 프로그래머로서 소음 속에서 희망을 봄
  • 소셜 네트워크가 정확히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있음

    • Facebook은 친구가 새로운 사람과 데이트하거나 파티에 초대받지 못했음을 알 수 있는 곳이었음
    • 이러한 시작에서 제국이 탄생함
  • 소셜 네트워킹(가족/친구)에서 소셜 미디어로 변화하면서 문제가 시작되었다는 관찰이 있음

    • 사람들과의 실제 연결에서 콘텐츠와의 연결로 변화함
  • Meta가 친구가 게시한 콘텐츠를 보는 시간이 줄어들었다고 주장함

    • 사용자가 보는 것은 Facebook이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선호도가 아님
  • Meta가 Instagram, Facebook, TikTok, YouTube, Apple의 iMessage를 경쟁자로 주장하는 그래픽을 보여줌

    • Google은 YouTube를 분리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고, TikTok은 금지되었음
    • 이러한 방어가 좋은 방어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음
  • 북부 미시간의 어머니 지역이 큰 얼음 폭풍으로 인해 전력과 인터넷이 끊겼을 때 Facebook이 주요 소통 수단이 되었음

    • 이러한 특별한 상황에서는 Facebook이 매우 유용했음
  • 소셜 미디어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는 팔로우한 것들의 피드만 보여줬음

    • 이는 영광스러웠지만 수익을 내지 못했음
    • 이제는 광고와 스폰서 콘텐츠로 수익을 내고 있음
    • 이러한 변화가 놀랍지 않음
  • 대부분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떠났고, 광고를 중간에 삽입하는 플랫폼에는 관심이 없음

    •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이러한 쓰레기를 삽입하지 않고 수익을 내는 방법을 찾지 못한다면 다른 플랫폼을 사용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