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상업용 오픈소스 AI 모델 "HyperCLOVA X SEED" 공개
(clova.ai)-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특화된 소형 상업용 오픈소스 AI 모델
- 3B, 1.5B, 0.5B 세 가지 파라미터 크기로 구성되어 다양한 산업 및 활용 환경에 맞춤형 적용 가능
- 3B 모델은 이미지와 영상 이해 역량을 갖추고 있어 멀티모달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
- 1.5B와 0.5B는 텍스트 기반 이해 및 생성에 강점이 있으며, 특히 한국어 처리 성능에서 경쟁 모델보다 뛰어난 성과를 보여줌
- 모델은 Hugging Face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조건을 충족할 경우 상업적으로도 자유롭게 활용 가능함
AI 생태계에 씨앗을 뿌리다: 상업용 오픈소스 AI, HyperCLOVA X SEED
- HyperCLOVA X SEED는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오픈소스 AI 모델
-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특화된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
- 3가지 모델 크기(3B, 1.5B, 0.5B)로 출시되어 다양한 환경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
HyperCLOVA X SEED 3B
- 이미지 이해(vision understanding)에 최적화된 모델
- 한국어 및 한국 문화 맥락의 시각 정보를 정밀하게 처리할 수 있음
- 예: 영상 속 장소를 파악하고 여행 코스를 제안하는 복합적 질의응답 지원
- 관광 가이드, 이미지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 등 다양한 활용 가능
- 벤치마크 결과에서 한국어 기반 비전 및 텍스트 이해에서 높은 성능 입증
HyperCLOVA X SEED 1.5B
- 지시 이행 능력을 갖춘 텍스트 중심 모델
- 번역, 요약, 포맷 지시 등의 고도화된 텍스트 생성 작업 수행 가능
- 한국어뿐 아니라 영어, 일본어 등 주요 언어에 대한 번역 및 처리 능력 보유
- JSON, 반말 톤 등 특정 응답 형식도 지원 가능
- 주요 한국어 벤치마크(KMMLU, KoBEST 등)에서 경쟁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 기록
HyperCLOVA X SEED 0.5B
- 초소형 경량 모델로, 자연스러운 한국어 대화 및 지식 응답 가능
- 자원 제약 환경에서의 모바일, 스마트홈,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합
- 예: 인테리어 조언 등 실생활 질의에 대해 구조화된 답변 제공
- KMMLU, KoBEST 등 한국어 벤치마크에서 동급 대비 뛰어난 성능
- 경쟁 모델보다 39배 적은 학습 비용으로 높은 효율성 달성
학습 비용 비교:
- HyperCLOVA X SEED 0.5B: A100 GPU 시간 4,358시간, 비용 $6,537
- QWEN2.5-0.5B: A100 GPU 시간 169,257시간, 비용 $253,886
HyperCLOVA X SEED 활용 방법
- Hugging Face에서 모델 다운로드 가능
- 대부분의 상업적 활용이 자유롭게 허용됨 (특정 조건 제외)
- 사용 기업 및 기관을 위해 테스트용 인프라 지원 제공 예정
- 네이버는 소버린 AI 여정의 동반자로서 기업들의 자체 AI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것
라이센스 확인해보니, 위의 osd 요건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오픈소스라는 모든 글자는 제외하고 공개 소스 혹은 소스이용가능으로 고쳐서 정확한 표현이 되도록 부탁드립니다.